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Pelvic Malposition in Korean Clinical Research

골반부와 관련된 국내임상연구동향 고찰 -골반부의 변위를 중심으로-

  • Park, Jaehyeon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ong-Seo Korean Medical Hospital) ;
  • Nam, Soohyeon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ong-Seo Korean Medical Hospital) ;
  • Kim, Donghoo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ong-Seo Korean Medical Hospital) ;
  • Kang, Jun-Hyuk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Dong-Seo Korean Medical Hospital) ;
  • Heo, Woo-Young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Dong-Seo Korean Medical Hospital)
  • 박재현 (동서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 남수현 (동서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 김동후 (동서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 강준혁 (동서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 허우영 (동서한방병원 침구과)
  • Received : 2015.03.16
  • Accepted : 2015.04.01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clinical research related to pelvic malposition published in Korean medicine journals.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in Korean databases (OASIS, NDSL, RISS, and KTKP), and sorted the articles by publishing date, pelvic malposition type, field of study, and measurement index. Results 1. 25 original articles and 9 case report articles were reviewed. 2. In recent years, this topic has been studied more frequently, with an increasing number of original articles published. 3. 16 articles analyzed pelvic malposition type. And half of the articles focused on ilium. 4. The original articles have figure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pelvic malposition measurement indices and other measurement indices or diseases. 5. Treatment tools, such as chuna therapy, the mckenzie method, devices for correcting malposition, acupuncture were used in the case report articles. 6. 29 measurement indices, such as Ferguson's angle, Ilium shadow measurement, and Iliac height difference were used.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pelvic malposition is related to other diseases and measurement indices, and manual medicine on pelvic malposition can be effective. However,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empirical evidence from medical articles to support this, further clinic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References

  1.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추나의학.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1: 265,279,304,312,317,401-8.
  2. 이진현, 김창곤, 조동찬, 문수정, 박태용, 고연석, 남항우, 이정한. 단순 방사선 영상 검사를 통한 추나의학적 진단 방법:척추.골반변위 명명체계를 중심으로.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4;9(1):1-14.
  3. Donald A. Neuman.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범문에듀케이션. 2011:369-76.
  4.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추나의학.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1: 265,304.
  5. Donald A. Neuman.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범문에듀케이션. 2011:357-60.
  6. 척추신경추나의학회. 추나의학.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11: 265,312,317,394-408.
  7. Donald A. Neuman.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범문에듀케이션. 2011:521-2.
  8. 노영현, 금동호. 요통환자의 치료전 후 요천추각 변화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0;10(1):11-21.
  9. 이진현, 조동찬, 김창곤, 문수정, 박태용, 고연석, 이수경, 송용선, 이정한. 요통 환자의 요천추 및 골반 지표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2):139-49.
  10. 이재영, 한상엽, 남항우, 정벌, 이차로, 한상욱. 만성 요통 환자에서 성별에 따른 고관절 내회전 각도의 비교.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5(2):9-16.
  11. 김진수, 최희승, 정윤규, 추원정, 남항우. 고관절 내회전 각도와 단분절 요추 추간판 탈출증 발생 부위의 상관성 분석.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3;8(1):39-47.
  12. 김신웅, 남항우, 김세준, 손슬기, 김종수, 정재현, 윤영웅, 최영준, 문병헌, 유수빈, 임한빛, 김동환.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한 고관절 내회전 각도와 단분절 요추 추간판 탈출증 발생 부위의 상관성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4;24(4):117-27.
  13. 조성우. 요천추 및 골반 지표와 요통 치료 호전도에 대한 후향적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4;24(3):139-48.
  14. 정원석, 송미연, 김성수. 폐경 전 성인 비만 여성의 요.천추 만곡과 복부비만도와의 상관성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4):175-83.
  15. 조유정, 정석희, 송미연. 만성 요통 환자의 하지 길이 부전과 요천추부 및 골반의 방사선학적 지표와의 관계.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4):171-83.
  16. 이동은, 김형일, 조웅희, 박원형, 차윤엽. 요천추부의 정렬과 설문을 통한 요통 자각도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1):115-23.
  17. 공재철, 문수정, 조동찬, 고연석, 송용선, 이정한. 만성 요통 환자의 골반지표와 발의 생체역학적 특징 연구. 동리생리병리학회지. 2012;26(1):81-7.
  18. 양요찬, 송은모, 김고운, 조재흥, 송미연. 서울지역 대학생들의 요천추 만곡과 목-허리둘레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4):159-66.
  19. 김철한, 김정연, 신병철. 출산과 골반 변위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127-36.
  20. 김철한, 김희준, 신병철, 김정연, 송윤경, 임형호. 출산유형이 산모의 골반변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4;5(1):11-7.
  21. 배우열, 권헌준, 정종훈, 이종훈, 김동섭, 조성우. 골반 부전과 요통 발생 위치의 상관 관계에 대한 고찰:기립위 Pelvis X-ray 분석을 통하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3): 79-85.
  22. 박정우, 정수현. 자세이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골반 높이 차이와 보행 밸런스 관계에 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4;24(3):149-55.
  23. 김경석, 류지미, 김고운, 김귀현, 정원석, 이종수. 내반슬로 인한 대퇴경골각의 변화가 골반경사각에 미치는 영향.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9;4(2):13-20.
  24. 민영광. Barge의 천골 기저부 X-ray에 대한 연구.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1;6(1):19-26.
  25. 박민정, 이경윤, 서진우, 박쾌환. 골반변위와 대퇴골두 높이차이에 대한 상관성 비교:Gonstead's technique을 중심으로.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4;5(1):213-22.
  26. 이강수, 이영준, 이명종. 제 5요추-제 1천추간의 후관절각 비대칭성이 추간판탈출증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4;14(1):91-7.
  27. 최유석, 김대필, 금동호. 제5요추-제1천추간 후관절증후군 환자의 방사선학적 소견에 관한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2):183-91.
  28. 장건, 이길재, 이병이, 송윤경, 임형호. 급성 제 4요추 측방 골반 뒤틀림이 있는 요통환자의 IVD angle과 Ferguson's angle 및 전만각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4):199-208.
  29. 이경무, 박동수, 김순중, 정수현. Pelvic AP X-ray 촬영 자세에 따른 골반변위 변화의 비교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4):161-9.
  30. 박지현, 홍서영. 30대 성인의 골반, 척추 및 견갑대 정렬의 패턴 분석 : Full Spine AP X-ray 분석에 따른.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2):89-99.
  31. 이정민, 국길호, 최보미, 정현아, 홍서영. 기능성 족지장단 분석과 X-ray의 골반변위 진단의 비교 연구:X-ray 촬영 자세 및 평가 기준에 따라.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5(2): 169-80.
  32. 한재웅, 김권희. 골반 후방경사가 보행에 미치는 영향. 척추진단교정학회지. 2012;1(1):23-7.
  33. 황형주, 허광호, 금동호.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골반 경사 치험 2례:Mckenzie 수기요법을 이용.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7;2(1):85-97.
  34. 장준호, 정지은, 박현호, 김수현, 김민철. 측면골반경사를 유발하는 근육의 아시혈 치료를 통한 기능성척추측만증 동반 요추추간판탈출증 환자 호전 1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2):223-31.
  35. 오원교, 신병철. 봉추나요법과 한방치료를 병행한 후하방장골 변위 교정 3예.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1): 173-85.
  36. 조현정, 구희준, 양승정, 박경미, 조성희. 분만 후 치골결합분리 환자 1례의 임상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 21(2):263-72.
  37. 조웅희, 김형길, 이동은, 박원형, 차윤엽. 고관절 내회전 변형 교정장치를 통한 내반슬 환자의 호전된 증례보고 4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20(3):131-7.
  38. 차윤엽, 남동현. 만성 미골통을 호소하는 미골 후방 아탈구 환자의 추나 치료 치험 1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0; 20(2):191-7.
  39. 박지현, 정현아, 홍서영. 추나치료를 이용한 골반, 척추 및 견갑대 부정렬의 치험 3례:Full spine AP X-ray, VAS 분석에 따른.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10;5(2):135-49.
  40. 안희빈, 김순중, 정수현. 골반 경사가 동반된 만성 통증 환자에게 족부 보조기를 적용한 증례 4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1;21(2):309-18.
  41. 반지혜, 이은희, 박가영, 박지영, 이아영. 자연분만 후 발생한 치골결합분리 1례와 증상유발 골반이완증 1례 임상 비교 보고.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2;25(4):113-24.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4.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