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ravel Agency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여행사 종사원의 조직침묵,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 김판영 (백석대학교 관광학부) ;
  • 이영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5.01.27
  • Accepted : 2015.02.23
  • Published : 2015.05.28

Abstract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abusive supervision(AS) and organizational silence(OS) in organizations and literature about the 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OC). But there is a shortage of studies about the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silence in trave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asons of abuse supervision in organizations, its effects, results and applications which can minimize or remove abusive supervision by discussion. In this sense,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9 travel agencies in Seoul and 241 of them were taken.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proposed. Abusive supervision affects on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 in travel agent. Organizational silence ha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silence plays as a role of mediator variable in proposal research model.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research will encourage future multi-level theoretical and empirical work on abusive supervision.

최근 들어 비인격적 감독 및 조직침묵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의 결과변수와의 영향관계 등을 분석하고 논의를 통해 조직 및 개인적 대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매출액 상위 9개 여행사 중에서 241명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비인격적 감독은 조직침묵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침묵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침묵은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후속연구에서 진행되어지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심, 차길수, "카지노산업에서의 비인격적 감독, 일탈행동 및 감성지능의 관계에 관한 연구", Tourism Research, 제36호, pp.1-22, 2012.
  2. M. E. Chan and D. J. McAllister, "Abusive Supervision Through the Lens of Employee State Paranoia,"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9, No.1, pp.44-66, 2014. https://doi.org/10.5465/amr.2011.0419
  3. 박계홍, 최영근,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탐 색",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제1호, pp.127-151, 2012.
  4. 하선미, 문재승,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성격특성과 인구통계변수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6권, 제1호, pp.75-105, 2013.
  5. 박종철, "호텔종사원의 상사의 리더십에 따른 침묵현상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7권, 제2호, pp.235-255, 2013.
  6. 최철수, "여행사 종사원의 상사특성이 조직침묵,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18권, 제3호, pp.353-370, 2014.
  7. 홍영옥, 강재완, 이형룡, "호텔기업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과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8권, 제6호, pp.189-207, 2014.
  8. B. Ashforth, "Petty Tyranny in Organization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s, Vol.14, No.2, pp.126-140, 1997.
  9. 김정진, 박경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461-481, 2012.
  10. 박희태, 손승연, 윤석화,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 유형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pp.21-46, 2014.
  11. 이상민, "카지노 기업 조직문화와 비인격적 감독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카지노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5호, pp.249-265, 2014.
  12. P. Garcia, L. Wang, V. Lu, K. Kiazard, and S. Restubog, "When Victims become Culprits: The Role of Subordinates' Neurot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Devi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72, pp.225-229, 2015. https://doi.org/10.1016/j.paid.2014.08.017
  13. C. A. Henle and M. A. Gross, "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 Effects of Employee Personality and Emotion on Abusive Supervis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22, pp.461-474, 2014. https://doi.org/10.1007/s10551-013-1771-6
  14. 이경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가족침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3호, pp.1233-1255, 2014.
  15. 조용현, 장준호, 정상춘,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호작용공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34집, pp.179-213, 2012.
  16. 이경근, 조용현, "상사의 비인격적인 감독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부심과 존중감의 역할",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제37집, 제4권, pp.65-92, 2013.
  17. 이경근, 조용현, "상사의 비인격적인 감독과 부하의 조직시민행동 차원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 제3호, pp.173-191, 2010.
  18. 한주원, 박경규,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과 부하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4집, 제3권, pp.61-89, 2010.
  19. 임창현, 이희수,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상사신뢰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HRD연구, 제15권, 제3호, pp.85-115, 2013.
  20. 강제상, 고대유, "한국적 조직침묵(organizational silence)의 개념과 측정도구 검증", 한국인사행정학보, 제13권, 제1호, pp.141-159, 2014.
  21. 신규희, 이종학, 이수범, "호텔.외식업체 종사원 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 검증", 호텔경영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33-152, 2012.
  22. 정현선, 하헌경, 박동건,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냉소주의를 통한 자기 효능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1호, pp.89-104, 2010.
  23. C. T. Brinsfield, "Employee Silence Motives: Investigation of Dimensionality and Development of Measur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4, pp.671-697, 2013. https://doi.org/10.1002/job.1829
  24. M. Knoll and R. Van Dick, "Do I Hear the Whistle? A First Attempt to Measure Four Forms of Employee Silence and Their Correlat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113, pp.349-362, 2013. https://doi.org/10.1007/s10551-012-1308-4
  25. C. I. C. Farh and Z. Chen, "Beyond the Individual Victim: Multilevel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in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9, No.6, pp.1074-1095, 2014. https://doi.org/10.1037/a0037636
  26. H. M. S. Rahman,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chool Teachers: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Bangladesh," South Asian Journal of Management, Vol.19, No.3, pp.7-17, 2012.
  27. M. Salleh, A. Amin, S. Mude, and M. Abdul-Halim, "Fairness of Performance Apprais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ian Social Science, Vol.9, No.2, pp.121-128, 2013.
  28. N. Deniz, A. Noyan and O. G. Ertosu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Private Healthcare Compan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99, pp.691-700, 2013. https://doi.org/10.1016/j.sbspro.2013.10.540
  29. 고선희, "항공사 승무원의 감성노동이 소진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95-40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395
  30. 김영춘, 정민숙, "리더십, 조직문화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01-21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