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 Focus on Mediator Effects of Self-Esteem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은미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5.18
  • Published : 2015.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with focusing on mediator effect of self-esteem. Data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64 group homes by mailing questionnaire survey between August 19th to September 13th, 2013. One hundred seventy two adolescents were respond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group home adolescents' depression had negative effect on school resilience. Second, their depression had also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Finally, self-esteem prov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depression on school resilience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의 우울감이 이들의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8월 19일부터 9월 13일까지 전국 64개소의 공동생활가정에서 보호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총 172명이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우울감은 학교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우울감은 자아존중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적응유연성에 대한 우울감의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동생활가정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2. 유엔아동권리협약 한국 NPO연대, 유엔아동권리 협약과 선택의 정서, 유엔아동권리협약 한국NPO연대 자료집, 2006.
  3. 아동복지법, 제52조 4항.
  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통계연보", 2004
  5. R. Norton, Cecil Carity House, Feminist, 29, 1981.
  6. 이슬기, 양성은, "그룹홈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적응성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3호, pp.35-50, 2012. https://doi.org/10.6115/khea.2012.50.3.035
  7. P. Ackerman and M. Dozier, "The Influence of Foster Parent Investment on Children's Representation of Self and Attachment Figures,"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6, pp.507-520, 2005 https://doi.org/10.1016/j.appdev.2005.06.003
  8. 장혜진, 최은희, 윤혜미, "가정 외 보호유형에 따른 보호제공자와의 유대관계가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제29권, pp.25-50, 2014.
  9. 유안진, 한유진, 최나야, "시설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과 공격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3호, pp.67-82, 2002.
  10. 석주영, 안옥희, 박인전,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의 특성 및 상호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1권, 제6호, pp.15-26, 2003.
  11. 강현아, 신혜령, 박은미, "시설 퇴소청소년의 성인전환 단계에 따른 자립 및 사회적응 현황", 한국아동복지학, 제30권, pp.41-69, 2009.
  12. 노충래, 김미영, 박은미, 강현아, 신혜령, "발달단계 및 위탁형태에 따른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심리 적 적응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집, pp.238-264, 2008.
  13. 류재중, 조아미,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 적응 유연성 모형 적합도 검증 연구", 청소년학 연구, 제14권, 제2호, pp.49-69, 2007.
  14. 정유진, 청소년 학교생활 적응의 관련 변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5. 박수영, 김순규, "보호-보호모델을 활용한 연변 지역 조선족 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연구: 누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21, 2014.
  16. 장연심, 조아미,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미래청소년학회지, 제4권, 제1호, pp.123-136, 2007.
  17. 권구영,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과 학교적응 유연성 간 관계: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제14권, 제1호, pp.205-230, 2012.
  18. 박현선, 이상균, "청소년기 비행친구의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및 지도감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7권, pp.399-427, 2008.
  19. 박현선, "빈곤 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Resilience) 발달메커니즘", 청소년학연구, 제5권, 제3호, pp.147-165, 1998.
  20. E. Hishinuma, J. Chang, J. McArdle, and F. Hamagami, "Adolescent Mental Health, Behavior Problem, and Academic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8, No.5, pp.1327-1342, 2012. https://doi.org/10.1037/a0026978
  21. 조한익, "자기효능감, 희망, 우을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아동교육, 제9권, 제2호, pp.259-271, 2010.
  22. 박수영, 이창환, "학교 적응유연성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전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653-664,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2.653
  23. 오승환, "저소득층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결정요인: 적응유연성 요인의 탐색", 한국아동복지학, 제21호, pp.181-205, 2006.
  24. 청소년위원회, 위기(가능)청소년 지원모델 개발 연구, 청소년위원회, 2005.
  25. 좌현숙, "빈곤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영역간 종단적 상호관계: 심리, 사회, 학교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2호, pp.247-278, 2010.
  26. 조혜정, "빈곤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요인 특성 연구", 학생생활상담, 제24권, pp.47-67, 2006.
  27. 장신재, 양혜원, "부모-자녀관계, 우울 및 공격성 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5-29, 2007.
  28. 박은미, 장신재, "시설보호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4호, pp.111-119, 2009.
  29. 박은영,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6호, pp.1-27, 2011.
  30. 신민영, 김호영, 김지혜,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증상을 호소하는 청소년의 우울: 자기개념의 매개변인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4호, pp.903-916, 2005.
  31. 조춘범, 김동기,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성별간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4호, pp.207-229, 2010.
  32. 강현아, 노충래, 전종설, 정익중,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 경험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93-222, 2012.
  33. 최미례, 이인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 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2권, 제2호, pp.363-383, 2003.
  34. M. Rutter,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In J. Rolf, A. Masten, and D. Cicchetti, K. Nuechterlein, and S. Weintraub (Ed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pp.181-214), Cambridge Unveeersity Press, 1990.
  35. 노혜련, "요보호아동 그룹홈에 관한 연구", 분야 별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서울카톨릭사회복지회, 1998.
  36. 손경숙, 변상해, "그룹홈 청소년의 정서와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일반가정에 있는 청소년과의 비교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2호, pp.119-152, 2007
  37. 손경숙, "공동생활가정 아동의 정서조절 현황 및 종사자 인식", Journal of Child Studies, Vol.12, pp.41-71, 2006.
  38. 전준현, 이수천,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 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pp.5-28, 2009.
  39. 김미연, "그룹홈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제24권, pp.8-38, 2010.
  40. 김성경,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17-137, 2003.
  41. 김형태, 조순실,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3호, pp.259-286, 2009.
  42. 김형태, 이수천, 전준현, 방미진, "그룹홈 아동. 청소년의 시리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룹홈가족 요인", 학교사회복지, 제22권, pp.1-22, 2012.
  43. 이수천, 김형태, "그룹홈 청소년이 맺는 대리양육자와의 애착관계가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3권 제2호, pp.87-111, 2012.
  44. 조성연, "그룹홈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머니 양육 행동과 형제자매관계 및 사회적 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81-391, 2004.
  45. 서보준, 김명자, "그룹홈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pp.1-26, 2010.
  46. 김유진,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대해 사회적지지가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상담연구, 제2권, 제1호, pp.1-22, 2012.
  47. 김형태, "그룹홈 아동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38호, pp.211-234, 2012.
  48. 조순실, 아동 그룹홈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조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49. 김광수, 아동 그룹홈 실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제3호, 제1권, pp.172-197, 2007.
  50. 김숙경, "공동생활가정에서의 아동에 대한 보호실태 및 운영 사례 분석", 아동권리연구, 제3권, 제2호, pp.209-235, 2004
  51. 보건복지부, 2014 아동분야사업안내,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 인구아동정책관, pp.123-125, 2014.
  52. 김통원, 김경륜, 김성천, 박은미, 이상균, 아동복지시설 발전방안 개발연구, 보건복지부, 한국아동복지연합회 연구보고서, 2005.
  53. 신혜령, 박은미, 강현아, 아동복지시설 퇴소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프로그램 개발,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아동자립지원센터 연구보고서, 2008
  54. 원지영, "아동복지시스템 퇴소청소년들의 자립 현황과 자립 지원 정책에 대한 고찰: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7호, pp.79-107.
  55. 배주미, 정익중, 김범구, 김영화, 취약청소년 자립지원 모형개발, 한국청소년 상담원 정책보고서, 2010.
  56. 아동복지법, 제37조, 제38조, 제39조.
  57. A. Schroeder, K. Osgood, and J. Oghia, "Family Transitions and Juvenile Delinquency," Social Inquiry, Vol.80, No.4, pp.579-604, 2010. https://doi.org/10.1111/j.1475-682X.2010.00351.x
  58. G. Thompson, D. Lizardi, M. Keyes, and S. Hasin, "Childhood or Adolescent Parental Divorce/Seperation, Parental History of Alchol Problems, and Offspring Lifetime Alcohol Dependence," Drug and Alcohol Dependence, Vol.98, pp.264-269, 2008. https://doi.org/10.1016/j.drugalcdep.2008.06.011
  59. 정선욱, "시설보호아동의 애착유형과 심리사회적 적응", 아동과 권리, 제8권, 제1호, pp.1-15, 2004
  60. I. Benedict, S. Zuravin, and Y. Stalling, "Adult Function of Children who Lived in Kin Versus Nonrelative Family Foster Homes," Child Welfare, Vol.75, pp.529-549, 1996.
  61. 허남순, "일반가정에 위탁된 아동들의 문제행동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제8호, pp.207-233, 2008.
  62. 김성경, 그룹홈 거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63. O. Salami,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Reactions to Violence," Asian Social Science, Vol.6, No.12, pp.101-110, 2010.
  64. J. Clausen, J. Laudsverk, W. Ganger, D. Chadwick, and A. Litrownik, "Mental Health Problem of Children in Foster Car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Vol.7, pp.283-296, 1998. https://doi.org/10.1023/A:1022989411119
  65.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2nd ed.),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1.
  66.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3호, pp.127-166, 2007.
  67.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versity Press, 1965.
  68. J. Santos, "Preidictors of Generalized Indecision among Portugu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9, No.4, pp.381-396, 2001. https://doi.org/10.1177/106907270100900405
  69.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70. H. Dubowitz, S. Zuravin, H. Starr, S. Feigehman, and D. Harrington, Behavior "Problem of Children in Kinship Care," Journal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Vol.14, pp.386-393, 1993.
  71. 허남순, "친인척 가정위탁과 일반가정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위탁가정의 서비스 욕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18권, pp.243-270, 2004
  72. 양심영,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응에 관한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제5호, pp.131-148, 2003.
  73. P. Pecora, J. Whittaker, and A. Maluccio, The Child Welfare Challeng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Aldine de Gruyter, Inc., 1992.
  7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 revision(DSM IV-TR), APA, 2000.
  75. 서초구립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서울대학교 실천 사회복지연구회,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척도집, pp.88-94, 나눔의 집, 2006.
  76.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77. M. Baron an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