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A Study of Career-constitution Process of a Middle-aged Woman

  • 투고 : 2015.03.17
  • 심사 : 2015.04.22
  • 발행 : 2015.05.28

초록

본 연구는 한 중년여성이 자신의 진로를 찾고 만들어가는 과정을 질적연구방법으로 탐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의 진로구성과정은 생존을 위하여 업(業)을 선택하고, 주어진 일을 잘 수행함으로써 직업세계에서 적응하는 직업적응과정 이상의 것으로 밝혀졌다. 진로구성과정은 진정한 '나(Self)'를 찾아가는 여정이었고, 지속적인 선택과 '행함'을 통하여 자신의 '있음'을 이해해가는 실존의 과정이었다. 연구참여자는 진로를 찾고 만들어가는 생의 여정에서 고유한 자신의 삶으로의 복귀를 실행하였고, 가능성을 향한 자기실현을 실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을 '업(業)'과 다르게 실존적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은 실존적 '행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통로이고, 자기실현으로 지향된 실존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생의 진로는 한 번의 선택으로 분명해지는 것이 아니라 지금-여기에서 결단과 실행이 축적됨으로써 만들어지는 잠재성과 가능성 사이의 요동으로 펼쳐지는 과정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진로상담이 개인의 적성과 직업세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연결시키는 선형적 작업을 넘어서 진정한 '나(Self)'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방향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explores the process of a middle-aged woman who finds and constructs her career path. As a result, career constitution process of a research participant choosing a career to make a living and carrying out what she is supposed to do, turned out to be more than just a job adaptation process in the workforce. Career constitution process is a journey in search of "genuine self" and a existential process in which the existence of self is understood by sustained choices and "ac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 on the life journey of finding career path sought to return to her intrinsic life and practiced self-realization toward possi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ork" being different from calling needs to be understood anew in the existential perspective. "work" is not only a passage which makes the meaning of life by existential "actoins" but also a existential method heading toward self-realization. Not only that, career path is a process which doesn't get obvious by one choice but is unfolded by shaking between potential energy and possibilities accumulated by here and now decisions and actions. Thu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ounselling for career path should go beyond the linear task which figures out a person's aptitude, the features of the workforce and connects both. And there is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totally understanding the client's life and in making the meaning of a work in the process of finding genuine "self".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안, 타인의 얼굴, 문학과 지성사, 2011.
  2. 김봉환, 이제경, 유현실, 황매향, 공윤정, 손진희, 강혜영, 김지현, 유정이, 임은미, 손은령, 진로상담이론, 학지사, 2010.
  3. 나혜숙, 실직자 재취업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중고령자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2012.
  4. 문란영,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적 연구, 동신대학교,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2013.
  5. 박경숙, "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 :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의", 노동정책연구, 제3권, 제1호, pp.103-140, 2003.
  6. 서미경, 중고령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7. 신현구,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동시장 참여와 성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8. 양경희, 박금숙, "중년여성의 정서와 건강에 대한 유형", 주관성 연구, 통권 17호, pp.101-115, 2008.
  9. 이기상, 쉽게 풀어 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 누멘, 2010.
  10.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1.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 한길사, 2014.
  12. 이부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3.
  13.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8.
  14. 이용미, 중년여성의 분노 경험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2003.
  15. 이용미, 김근면, 정유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70-58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70
  16.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275
  17. 전혜숙,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과정에서의 학습 경험 탐색 :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2010.
  18. 조광제,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이학사, 2009.
  19. 조용환, 질적 연구논문의 작성과 평가,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 2011.
  20. 조형국, 하이데거의 삶의 해석학, 채륜, 2009.
  21. 최영민, 쉽게 쓴 자기심리학, 학지사, 2011.
  22. http://www.korea.go.kr
  23. 홍은영, 강영실, 하영미, "페경 전후기 중년 여교사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66-74, 2013. https://doi.org/10.5807/kjohn.2013.22.1.66
  24. A. R. Beisser, The paradoxical theory of change, In J. Fagan & I. L. Shephered (Eds.), Gesutalt theory now, New York: Harper & Row (Colophon), 1970.
  25. David R. Hawkins, 호모 스피리투스, 백영미 역 (2009), 판미동, 2003.
  26. David R. Hawkins, 의식혁명, 백영미 역(2011), 판미동, 2004.
  27.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1990.
  28. Gerald Corey,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조현재 공역(2003), 시그마프레스, 2001.
  29. Irvin D. Yalom, 나는 사랑의 처형자가 되기 싫다, 최윤미 역(2007), 시그마프레스, 1989.
  30. Kai Hammermeister,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임호일 역(2001),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31. Mark L. Savickas, Career Counsell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32. Martin Buber, 나와 너, 김천배 역(2010), 대한기독교서회, 1937.
  33. Richard S. Sharf,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 상담, 이재창, 조붕환, 안희정, 황미구, 임경희, 박미진, 김잔희, 최정인, 김수리 공역(2008), 아카데미프레스, 2006.
  34. Thomas E. Hosinski, 화이트헤드 철학 풀어 읽기, 장왕식, 이경호 역(2013), 이문출판사, 1993.
  35. Victor E. Frankl, 무의식의 신, 정태현 역(2013), 한님성서연구소, 1975.
  36. Victor E. Frankl, 프랭클 실존분석과 로고데라피, 심일섭 역(2002), 한글,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