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목회자 아내의 자아정체감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elf-Identit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Pastor's Wives: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 투고 : 2014.10.24
  • 심사 : 2015.04.21
  • 발행 : 2015.05.28

초록

본 연구는 목회자 아내들의 자아정체감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목회자 아내 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경로분석과 Sobel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정체감과 영적 체험, 우울 및 주관적 웰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영적 체험과 우울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영적 체험과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자아정체감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넷째, 영적 체험은 우울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목회자 아내들의 자아정체감과 영적 체험이 행복을 증진시키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between self-ident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8 pastor's wives, an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sed through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elf-identity, spiritual experie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not between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Second, spiritual experience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self-identity and subject well-being. Third, self-identity had no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rth, spiritual experience had no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self-identity and spiritual experience that could be taken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지숙, "사모의 인생, 남는 건 곪아 터지는 속", 한국여성신학, 제57호, pp.23-30, 2004.
  2. 장은진, "목회자 아내의 정신건강과 상담에 대한 요구도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6권, pp.187-210, 2008.
  3. 이진영, 전요섭, "목회자 아내의 정서적 고립감 극 복을 위한 자기노출과 지지집단 형성", 한국개혁신학, 제34권, pp.193-231, 2012.
  4. 전정희, 한재희, "자기소외를 경험하는 목회자 아 내의 심리사회적 현상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59-186, 2012.
  5. D. C. Baker and H. P. Scott, "Predictors of Well-Being Among Pasters' Wives: A Comparison With NonClergy Wives," The Journal of Pastoral Care, Vol.46, No.1, pp.33-43, 1992. https://doi.org/10.1177/002234099204600107
  6. 국가통계포털, 건강검진통계, 생애전환기건강진단 정신건강검사 결과, 2010.
  7. 국가통계포털, 국민건강영양조사, 우울증상 경험률 추이, 2012.
  8. L. A. Brackin, Lonelin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Spirituality as Experienced by the Southern Baptist Clergy Wife, The Graduate College of University of Arizona Doctoral Dissertation, 2001.
  9. 변외진, 김춘경,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한구심리학회지: 여성, 제12권, 제3호, pp.255-257, 2007.
  10. 이경혜, 중년 기혼여성의 역할적응과 자아정체감 형성과의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11. 홍용인, "캐롤 길리건(Carol Gilligan)의 돌봄 (Caring)의 개념으로 본 목회자 아내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0권, pp.347-378, 2010.
  12. 고효정, 오명옥, 김혜영,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삶의 질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6권, 제4호, pp.619-631, 2000.
  13. 김경신, 김정란, "중년기 기혼여성의 자아정체감 및 위기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4호, pp.105-120, 2001.
  14. 한미정, 이지현,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75-284, 2013. https://doi.org/10.4069/kjwhn.2013.19.4.275
  15. 김정엽,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pp.103-116, 1997.
  16. L. Underwood and J. Teresi, "The Daily Spiritual Experience Scale: Development, Theoretical Description,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liminary Construct Validity Using Health-Related Data,"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Vol.24, No.1, pp.22-33, 2002. https://doi.org/10.1207/S15324796ABM2401_04
  17. 장영림, 중년기 여성의 영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생산성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8. 신희석, "생의 의미가 중년 주부의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7권, 제1호, pp.29-45, 2002.
  19. 정덕신, 배성만, 주은선,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9권, 제3호, pp.301-314, 2014.
  20. 홍주연, 윤미,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권, 제1호, pp.219-242, 2013.
  21. 김명소, 김혜원, 임지영, 차경호, 한영석, "한국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415-442, 2003.
  22. C. Lee, "Patterns of Stress and Support Among Adventist Clergy: Do Pasters and their Spouses Differ?," Pastoral Psychology, Vol.55, pp.761-771, 2007. https://doi.org/10.1007/s11089-007-0086-x
  23.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5권, 제1호, pp.140-162, 1996.
  24. 배성우, 신원식, "CES-D척도의 요인구조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제18권, pp.165-190, 2005.
  25. 김정호, 유제민, 서경현, 임성견, 김선주, 김미리혜, 공수자, 강태영, 이지선, 황정은, "'삶의 만족' 은 만족스러운가: 주관적 웰빙 측정의 보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187-205, 2009.
  26.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275
  27. B. Doolittle and M. Farrell, "The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depression in an urban clinic,"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 No.3, pp.114-118, 2004.
  28. 윤갑정,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3호, pp.113-131, 2012.
  29. 윤현숙, 원성원,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0권, 제4호, pp.1077-1093, 2010.
  30. 장요한, 권명진, "영성프로그램이 갱년기 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4호, pp.437-442,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4.437
  31. 박희숙, 중년 여성의 우울,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및 자살하지 않는 이유 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2. R. M. Baron and D. M.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