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동체 라디오를 통한 다문화 인식개선과 스토리설계 방안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Story Building by Community Radio

  • 홍숙영 (한세대 미디어영상학부)
  • 투고 : 2015.03.30
  • 심사 : 2015.05.15
  • 발행 : 2015.05.28

초록

본 연구는 공동체 라디오인 관악FM의 다문화프로그램인 '굿모닝 세상의 아줌마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제작진과 출연진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공동체라디오가 생산하는 콘텐츠 및 제작자들이 인식하는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콘텐츠, 그리고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설계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주여성들은 자국의 문화, 기후, 풍습 등에 대해 대표성을 갖고 대체로 공적인 담론을 펼치고 있었으며, 한국 제작진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이주여성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 사적 경험의 공유를 원한 반면 이주여성들은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차별의 철폐 등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스토리텔링은 공적 담론을 전제로 한 사적담론이어야 하며, 한국과 이주민 문화를 모두 경험하고 잘 아는 매개자의 활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매체에 적합한 이야기의 기획과 구성, 전달을 위해 이주여성들에 대한 교육과 제작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ory of 'Good Morning, Ladies of the World', a multicultural program of a community radio Gwanak FM. Furthermore, the study performed an in-depth interview on Korean producing staffs and migrant cast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for the design of multicultural media story telling. As a result, the migrant women presented overall public discourses on their own culture, climate and customs as a sense of representative. While Korean staffs wanted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their culture and to share private experiences, migrant women wished understanding and respect to their culture and removal of discrimination or prejudice. Accordingly, the storytelling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st be a private discourse on the basis of a public discourse, and it turned out that the user of a mediator who experienced and knew culture of Korea and the migrant is necessary. And, this study recommended the need of education of migrant women and media support for a proper story planning, structuring and delivery.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4/10/06/0200000000AKR20141006131300004.HTML?from=search
  2. 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4091211217672070
  3.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528977.html
  4. 박근수, 신희정,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07-31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07
  5.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589827.html
  6.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08311343561&code=920401&med=khan
  7. 주재원,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472-485,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472
  8. 정의철, "다문화사회 소통과 미디어정책 : 정책현황, 문제점,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7권, 제5호, pp.244-284, 2013.
  9. Jurgen Haberma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MIT press, 1991.
  10. Nancy Fraser, "Rethinking the public sphere: A contribution to the critique of actually existing democracy," Social text, No.25/26, pp.56-80, 1990.
  11. 장임숙, 이원일,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인 권 정책에 대한 태도",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4 호, pp.177-199, 2011.
  12. 이기용, "중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문화와 평화, 제7권, 제2호, pp.204-227, 2013.
  13. 이용재, "대학생들의 사회갈등인식과 다문화인식의 상호관계에 대한 고찰", 다문화와 인간, 제3권, 제1호, pp.179-210, 2014.
  14. 서종남, "청소년의 다문화인식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연구 -초중고 학생의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인하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83-110, 2012.
  15. Alexei V. Matveev and Richard G. Milter, "The value of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teams," Team Performance Management, Vol.10, No.5/6, pp.104-111, 2004. https://doi.org/10.1108/13527590410556827
  16. John W Berry and Rudolf Kalin, "Multicultural and ethnic attitudes in Canada: An overview of the 1991 National Survey",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Vol.27, No.3, pp.301-320, 1995. https://doi.org/10.1037/0008-400X.27.3.301
  17. Gordon W. Allport, The nature of prejudice, 25th anniversary ed. Reading, MA : Addison-Wesley, 1979.
  18. Thomas F. Pettigrew, "Intergroup contact theor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9, No.1, pp.65-85, 1998.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9.1.65
  19. Arnd Florack, Ursula Piontkowski, Anette Rohmann, Tanja Balzer, and Steffi Perzig, "Perceived intergroup threat and attitudes of host community members toward immigrant acculturation,"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3, No.5, pp.633-648, 2003. https://doi.org/10.1080/00224540309598468
  20. Benjamin Hardyk, William E. Loges, and Sandra J. Ball-Rokeach, "Radio as a successful local storyteller in Los Angeles: A case study of KKBT and KPCC," Journal of Radio Studies Vol.12, No.1, pp.156-181, 2005. https://doi.org/10.1207/s15506843jrs1201_12
  21. Sandra J. Ball-Rokeach, Yong-Chan Kim, and S. Sorin Matei, "Storytelling neighborhood: Paths to belonging, diverse urban environments,"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No.4, pp.392-428, 2001. https://doi.org/10.1177/009365001028004003
  22. http://www.radiogfm.net
  23. 이현정, 안재웅, 이상우, "다문화 콘텐츠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3호, pp.34-57, 2013.
  24. 윌 킴리카 저, 황민혁 외 역, 다문화주의 시민권, 동명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