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중학생들의 게임중독 결정요인 -여가와 가족환경요인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Gam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Boys focused on Leisure and Family-Environmental Factors

  • 오지영 (건강복지정책연구소) ;
  • 김석환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 보건의료행정과)
  • Oh, Ji-You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Welfare Policy) ;
  • Kim, Seok-Hwan (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Seoyeong University)
  • 투고 : 2015.03.09
  • 심사 : 2015.04.23
  • 발행 : 2015.04.30

초록

Objectives: A large number of teenagers are addicted to Internet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leisure and family factors affecting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boys. Methods: The data was used from 'Survey on the Online Game and Family Leisure Activities of Youth and Children in 2009' conducted by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Data were obtained from 1,681 middle school boys and analyzed by using the SPSS(version 20) program. Factors affecting game addiction were analyzed b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game addition among middle school boys; psychology disorder about leisure,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disorder about leisure,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mother-child problem communi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leisure facility and programs to participate leisure life and activate communication with par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자영, 정현지. 인터넷 게임중독 실태 및 문제행동 유형에 관한연구: J시 남자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보 2011;1(2):50-68.
  2. 김석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가정환경요인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3. 김수현.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3.
  4. 김희자. 고학력부모를 둔 청소년의 게임중독 성향. 한국콘텐츠학회 2013;13(3):184-197.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184
  5. 노용구. 건강한 가족문화를 위한 여가정책.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2005;28:5-15.
  6. 방그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석사학위논문]. 서울: 숭실대학교대학원, 2011.
  7. 박보경.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석사학위논문], 포항: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8. 방희정, 조아미.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003;16(1):1-22.
  9. 서혜경.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어머니의 자녀교육 관심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0. 신승배, 이주열, 김석환. 일부 지역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2011;12(1):45-58.
  11. 유승호. 게임중독의 현황과 대처 방안. 서울: 게임종합지원센터, 2001.
  12. 이형호.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 척도개발과 인지행동 치료 효과[박사학위논문], 서울: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13. 이홍직외 7명.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인터넷수준과 흡연과의 관계.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8(5):695-702.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5.695
  14. 인터넷정보검색시스템. http://isis.kisa.or.kr/sub05/index.jsp?pageId=050401. 2015.
  15. 윤명숙, 김남희, 박완경. 중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게임 및 가족, 여가요인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4;21(4):309-337.
  16. 이인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및 학교생활 만족도가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4.
  17. 이현주, 고혜진. 청소년 인터넷 게임 과몰입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사이버사회문화 2012;3(1):85-114.
  18. 이희경. 청소년의 게임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 몰입과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03;10(4):355-380.
  19.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유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 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2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년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의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가족단위 여가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2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2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년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24. Griffiths, Mark D. Amusement machine play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video games and fruit machines. Journal of Adolescence 1991;14(1):53-73. https://doi.org/10.1016/0140-1971(91)90045-S
  25. Lin CH, Lin SL, Wu CP. Th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leisure boredom on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Adolescence 2009;44(176):993-1004.
  26. Tahiroglu et al 8. Internet use among Turkish adolescents. Cyber Psychology & Behavior 2008;11(5):537-543. https://doi.org/10.1089/cpb.2007.0165
  27. Young KS.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on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1996;79:899-902. https://doi.org/10.2466/pr0.1996.79.3.899
  28. Young KS.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