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한 광희문(光熙門)의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Activation of Space of Gwangheemun Considering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ality

  • 김지은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
  • 박은수 (한양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 Kim, Ji Eu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ookmin University) ;
  • Park, Eun Soo (Institute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Hanyang University)
  • 투고 : 2015.02.17
  • 발행 : 2015.03.31

초록

최근 문화재청이 서울성곽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할 우리나라 대표유산으로 선정하고 이에 대한 복원 및 정비계획을 내 놓으면서 사적 제10호 서울성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18.627km에 이르는 서울성곽을 구성하는 성벽, 4대문, 4소문 등의 유산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려는 대업은 단순히 외형적 복원사업에 치중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서울성곽은 도성과 그 주변이 밀접하게 연계된 삶의 공간으로서 유구한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발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장선에서 서울성곽 일대와 주변의 역사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여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서울성곽의 4소문 중 하나인 광희문(光熙門)은 서민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조선시대 축성 기술의 변천 과정을 보여 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현재 광희문과 주변지역은 소극적인 접근성과 낙후된 경관, 프로그램의 부재 등으로 인해 그 매력이 부각되지 못하여 국내·외 관광객의 통행이 적고,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공간 및 다양한 콘텐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은 전통적인 역사·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문화재로 공간의 가치를 판단해 왔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소문 중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광희문을 대상으로 고유의 잠재된 무형의 역사·문화·예술적 자원을 발굴하여 광희문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 실재(實在)하는 유형의 전통 건축공간 광희문과 연결-접속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광희문에 새로운 공간으로써의 장소성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selected Seoul Fortress Wall as the representative heritage of Korea to be applied for being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and announced the plan to restore and organize it, which has increased the interest to the Seoul Fortress Wall, the Historical Site No. 10. The great work to make the heritage value of Walls, 4 Big Gates and 4 Small Gates composing the Seoul Fortress wall with the length of 18.627 km to be recognized worldwide has limits if it is focused only on the physical restoration. It is because the Seoul Fortress Wall represents the long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the space of life which connects closely the capital city and its vicinity. We need the plan to discover and utiliz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Seoul Fortress Wall and its vicinity. Especially, Gwangheemun, which is one of the four Small Gates of Seoul Fortress Wall,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represents the transition of fortification technology of Chosun period as the space representing ordinary people. However, now Gwangheemun and its vicinity does not stand out the charm because of passive accessibility, landscape falling behind and absence of program. This made the lack of domestic and overseas tourists and the convenient space and various contents. This reality is because the value of space has been considered simply as a cultural heritage without considering the tradi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Gwangheemun by discovering its own latent intangible cultural, historical and artistic resource, and to find the way to connect with Gwangheemun, the existing tangible traditional architectural space and the way of vitalizing Gwangheemun as a new spa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