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gional selection of dental practices in terms of the competition between dental practices and the distribution of revenues

의료기관 간 경쟁과 진료수익 분포를 통해 살펴본 치과의사의 개업 지역 선정

  • Choi, Hyungkil (Department of dental services management and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yeng Ki (Department of dental services management and informatics,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형길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경영정보학교실) ;
  • 김명기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경영정보학교실)
  • Received : 2015.01.13
  • Accepted : 2015.02.13
  • Published : 2015.06.01

Abstract

We can achieve the efficient use of health care human resources with evaluating the competition between dental practices in specific area. Some problems had been reported for use of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HHI) as an exogenous competition variable in empirical studies for the private medical sectors.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various competition and revenue variables to find the most suitable parameter representing the competition in the area.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dental practices(NC2) was the best indicator which represents the competition and the revenue distribution. As the number increases the revenue of the upper ranked practice is growing rapidly, while the revenue of the lower was decreasing. And the mean of revenue tend to be the highest in the area which had 63 dental practices althoug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low. With the simple non-linear regression results,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maximum and minimum revenues in the area.

연구목적: 치과 의료인력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배분을 위해 치과들 간의 경쟁을 평가하여야 한다. 경쟁 수준을 측정할 때 주로 이용하는 허쉬만-허핀달 지수(HHI)는 민간의료기관 간의 경쟁을 논의할 때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단위 지역 내의 경쟁을 가장 잘 표현하는 변수를 찾아내고, 경쟁에 따른 진료수익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통계청에서 발표된 2010년 경제 총조사 자료에서 병의원 전수에 대한 보험과 비보험 진료수익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시군구 지역별로 경쟁 관련 변수들과 수익 관련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여 적절한 경쟁 지수를 선정하였다. 이 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비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치과병의원들의 지역별 경쟁 정도와 진료수익의 분위수별 분포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치과들 간의 경쟁과 수익 분포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는 치과수(NC2)로 나타났다. 치과 수가 증가할수록 상위권 치과의 진료수익이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하위권 치과의 진료수익은 감소하였다. 비선형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지역 내의 치과 수에 따른 최상위 치과의 진료수익과 최하위 치과의 진료수익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항회귀분석 결과 치과수가 63개일 때 진료수익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설명력은 낮았다. 결 론: 치과 수와 지역별 진료수익의 최댓값, 최솟값, 분위수들, 표준편차의 관계식을 구했다. 시군구 지역의 치과수를 알면 이 회귀식들을 활용하여 진료수익의 각종 분위값과 평균값 등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진료수익 분위수별 결과는 경쟁에 따른 치과의사들의 행태변화 연구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