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ocial role of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for Sewol ferry disaster

세월호 참사에 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사회적 역할

  • Received : 2015.03.16
  • Accepted : 2015.04.16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suggest the social role of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for Sewol ferry disaster on sea near Jindo-gun at April 16, 2014. Social each part and the discrete member be going to carry out the social role for the disaster so that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part may be gather, operate, provide related record informations. Record informations is ways to reflect, to supplement about something and means to effect it. They naturally generated though automatic managed, it need to purposeful activity. From finding to lack, to remedy a problem, Korean society and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part shall be reinforcing directions and competency of the solution with various angles. Practical union and assistance of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part for Sewol ferry disaster, at first it be a help to recognize officially evidence for the accident. Secondary it producing and using better than current state of the area's record information part. Finally it may be actively comprise and implement our competency and emotion.

본 연구는 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군 부근 해상에서 청해진해운이 운영하는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되면서 다수의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한 사건에 관하여 기록정보관리 분야가 구체적으로 어떤 사회적 역할을 해야 하며,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사회 각 분야와 그 구성원들은 이런 사건 자체와 그에 대한 상황에 대해서 사회가 부여하거나 자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경우 관련 기록정보를 모으고, 운영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기록정보는 어떤 일을 되짚어 생각하거나 분석하여, 반성하고 보완하는 수단이자 이에 작용할 도구이기도 하다. 기록정보는 자연스럽게 만들어지지만 자동적으로 관리되지는 않으며, 목적의식을 가져야 생산 관리된다. 무엇이 부족한지,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를 밝히는 것에서부터, 우리 사회와 기록정보관리분야가 문제해결 방향과 역량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기록정보관리 분야의 적극적인 결합 및 조력은 1차적으로 사건에 대한 증거를 찾고 공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2차적으로는 특정한 분야의 기록정보가 더 잘 만들어지고 활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가진 전문적인 역량과 감정을, 가장 능동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Keywords

Cited by

  1.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2. 미국 9/11 메모리얼의 설립과 재난컬렉션 수집에 관한 연구 vol.55, pp.None, 2015, https://doi.org/10.20923/kjas.2018.55.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