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Last Relocation and Extinction of Seokgojeon

석고전(石鼓殿)의 마지막 이건과 소멸

  • Received : 2015.02.05
  • Accepted : 2015.04.02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e set of three stone drums remaining at the front garden of Westin Chosun Hotel was one of the monuments planned in the early of 1900s to commemorate King Kojong's 40th anniversary on the throne. While the drum work fell behind due to budgetary constraints, a ceremonial structure called Seokgojeon(石鼓殿) was built in 1903 for the purpose of housing the upcoming drums which were completed in 1909. In 1935, those stone drums and Seokgojeon were forced to be apart from each other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 while the drums were moved to Hwangudan(圜丘壇) area adjacently, Seokgojeon was dismantled and relocated in Japanese temple honoring the first residency-general, Ito Hirobumi(伊藤博文) on the north-east part of Namsan. This building has been known to stay intact after the Korean War and be demolish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Yeongbingwan(迎賓館) in the early 1960s, which belongs to The Shilla Hotel presently. We examined well-known records quoted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discovered several documents and photographs from National Archives of Korea to find out that Seokgojeon was relocated once again to Changkyeongwon(昌慶苑) in 1965-1966, and survived until 1983. Through this research, the architectural value of original Seokgojeon and the significance of its structural modification with reinforced concrete during the latest relocation are revealed.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경성부사 제2권, 1936
  2. 경성부사 제4권, 1941
  3.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신보, 매일경제, 황성신문
  4. 석고각상량문, 국립중앙도서관 古朝51나 66-2, 1936
  5. 국유재산취훼허가신청의건 문서철, 국가기록원, BA0152537
  6. 문화재관리상황카드: 사적 제123호 창경원 내 야외무대, 국가기록원, DE0000023
  7. 소화2년도예산개산서 문서철, 국가기록원, CJ0004698
  8. 창경원정화관계 문서철, 국가기록원, BA0122756
  9. 기호철, 통문(1902) 번역본, 웨스틴조선호텔 제공
  10. 김해경.최현임, 일제강점기 장충단공원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4, 2013
  11. 대한건축학회, 영빈관, 대한건축학회지, 1967. 3.
  12. 문화재관리국, 창경궁 발굴조사보고서, 1985
  13. 문화재관리국, 창경원 안내서, 1967
  14. 문화재청, 서울고종어극40년칭경기념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2
  15. 문화재청, 환구단 정밀실측 조사보고서, 2012
  16. 박관우, 장충단과 석고각, 역사복원신문, 2011.12.20. ;
  17. 박관우, 사라진 국보문화재 석고각을 찾아서, 역사복원신문, 2011. 12. 30.
  18. 박성진, 일제강점기 조선왕조 궁궐건축의 이건과 변용,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석사논문, 2007
  19. 박희용, 대한제국의 상징적 공간표상, 환구단, 서울학연구 40호, 2010. 8.
  20. 서울특별시, 한국동물원80년사:창경원편 (1907-1983), 1993
  21. 서울특별시 중구청, 장충동 산4-5 구토지대장, 건축물대장
  22. 서울특별시 중구청, 환구단정비기본계획보고서, 2007. 12
  23.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 2, 한울, 2008
  24. 안종철, 식민지 후기 박문사의 건립, 활용과 해방 후 처리, 동국사학 제46권, 2009
  25. 안창모, 덕수궁, 동녘, 2009
  26.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27. 우동선.박성진 외 6명, 궁궐의 눈문, 백년의 침묵, 효형출판, 2009
  28. 이성환.이토 유키오 편저, 이토 히로부미, 선인, 2009
  29. 이순우, 통감관저, 잊혀진 경술국치의 현장, 하늘재, 2010
  30. 이윤상, 고종 즉위 40년 및 망육순 기념행사와 기념물, 한국학보, vol.29 no.2, 2003
  31. 전봉희, 20세기 창덕궁 지역의 운용과 경관변화에 대한 통합적 고찰 - 1차년도 보고서, 한국연구재단, 2013
  32. 전봉희.박일향, 20세기 사직단 영역의 토지이용 변화와 역사적 제도주의적 해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0권 제12호, 2014. 12.
  33. 전봉희.이강민, 3칸X3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4. 전봉희.주상훈.장필구,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II, 국가기록원, 2009
  35. 정수인, 대한제국시기 환구단의 원형복원과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 27호, 2006
  36. 정인하, 김중업 건축론: 시적울림의 세계, spacetime, 2003
  37. 조선건축회, 조선과 건축, 제11집 제11호, 1932.11.
  38. 황현, 임형택 외 옮김, 역주 매천야록, 문학과지성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