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근린단위 도시주거재생사업 유형

Typology of Project Management System for Urban Housing Renewal in Neigborhood-Scale

  • 투고 : 2014.07.31
  • 심사 : 2015.03.14
  • 발행 : 2015.04.30

초록

Sustainable urban renewals seem equivalent to user-participatory remodeling of obsolete downtown as well as residential slums of cities since both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bureaus agree to support the deteriorated parts of cities with national budgets and special building codes. The agenda of user-participatory schemes cooperated by experts and engineers including government officers is to give the public dwelling welfare so that people can stay their place whether they can't afford to enhance their own built-environment.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has designated urban renewals projects over the country in terms of five categories; residential community, commercial district, basic settlement infrastructure, local identity, and local facilitator program. The urban renewals initiated by habitants, experts and governments of the central and the local will encourage lots of insufficient districts to recover its own prosperity and therefore a procedure of the projects may make the public organize the holistic components to carry out the multi-dimensional achievement in terms of regional community and vernacular identity. There might be a conceptualized matrix as a typical set of urban renewal cases in terms of neighborhood units and central business districts in which any urban redevelopment project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its scale, participants, and identical issues covering local contexts such as tradition, culture, education, economy, industry, and community.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광운대학교

참고문헌

  1. 구자훈.신예철 (2013)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도시디자인 정책방향 및 개선과제 고찰, 국토계획, 48(6)
  2. 권영상 (2013) 주민참여를 통한 패선부지활용 도시재생 통합디자인 방안,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4(5)
  3. 김영우 외3 (2011) 도시 재생관리, 범론사
  4. 김인희 외2 (2013) 지역행복생활권 도입에 따른 서울대도시권 대응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5. 김재광 (2014) 도시재생 관련법제의 현황과 법적과제, 토지공법연구 64
  6. 맹다미 외2 (2011) 서울시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재생을 위한 지역종합진단지표의 구축 및 활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박근철 외3 (2011) 영국의 도시재생 전략체계와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5(1)
  8. 반정화 외2 (2013) 세계 주요도시 혁신사례 연구: 파리, 서울연구원
  9. 배정현.김영훈 (2013) New Urbanism 이론의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3(1), 4
  10. 서수정.임유경 (2009)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1. 온영태 외10 (2012)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한국형 도시재생을 위한 법제 연구, 한울
  12. 이나영.안재섭 (2014) 서울 서촌지역의 문화적 도시재생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13. 이동훈.이성창 (2010)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적 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4. 이정형.송준환 2009 기성시가지 도시재생에 있어 도시촉매수법(Urban Catalyst)에 관한 연구, 25(1)
  15. 정철현.김종업 (2012)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도시 구현 방안 연구: 부산시 구도심의 문화거리 활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