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s of Sijo as a manifestation of Gamsung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

  • 조태성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Received : 2014.12.15
  • Accepted : 2015.01.23
  • Published : 2015.01.31

Abstract

Dynamics of Sijo was regarded as a genre of 'closed nature' once. But ironically thanks to the 'closed nature', today dynamics of Sijo is refocused in diverse fields. Sijo is quoted not only in its original field of literature, but also in writing study. Quite remarkably, it is often referred to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further in emotional healing. This article discussed the dynamics of Sijo as a manifestation of emotion especially called Gamsung in the process of the refocus. It is to show effectively that as a literary genre, Sijo can interact and share what is reasonal as well as what is emotional and sentimental in a poem as an emotional container beyond the lyricism Sijo has. Of course, it is also clear that the concept of lyricism may limit the dynamics of Sijo itself. Thus, the key word 'Gamsung' mainly referred to in this article was used to show the dynamics which Sijo has as much as possible, overcoming the limitation. Tha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that Sijo is the genre to represent human emotion most dynamically by reviewing the reasonal aspect of Sijo in addition to its emotional disposition which has been estimated to focus on sentiment or emotion.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structure of Sijo, the specific analysis on such emotional disposition and reasonal aspect was conducted by structurizing that as '(1) Facing, (2) Feeling dynamical, (3) Interpellating by feeling, and (4) feeling by sensation'.

시조의 역동성은 한때 그것이 '닫힌 성격'의 장르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오늘날 바로 그 '닫힌 성격' 덕분에 여러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문학이라는 본래 영역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글쓰기 학습에도 원용되는 사례들도 있었다. 더욱 두드러지는 사례는 시조가 문학치료, 나아가 감성치유의 영역에서 곧잘 언급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재조명 과정의 하나로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을 논의하였다. 문학 장르로서의 시조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을 넘어 서정이라는 그릇으로서의 시 안에서도 감정이나 정서뿐만 아니라 이성적인 것들 또한 얼마든지 상호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였다. 물론 서정성이라는 개념이 시조의 역동성을 스스로 제한해버리는 한계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도 분명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주로 언급하는 '감성'이라는 키워드 역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시조가 가진 역동성을 최대한 드러내 보이려는 시도에서 사용되었다. 즉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감정 혹은 정서에 치중한 면이 강하다고 평가되었던 시조의 감성적 기질에 더해 그것이 가지고 있던 이성적 면모까지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시조라는 장르가 인간의 감성을 가장 역동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이런 감성적 기질과 이성적 면모는 시조의 구조를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1) 맞서게 하기, (2) 역동적으로 느끼기, (3) 느낌으로 호명하기, (4) 느낌으로 느끼기' 등으로 구조화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기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