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연구

  • Received : 2015.02.17
  • Accepted : 2015.03.23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nd organize educational contents needed to achieve systematic education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ational-level curriculum. For this, the stud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selected and organized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learning element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hich served as the first draft. Then, the study verified its validity through experts' meeting and prepared its final draft. The experts' meeting comprized three teachers engaged in education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two researchers (including a professor) and one person in charge of intellectual property. This study had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first draft of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s per the literature research suggested nine subject and 39 educational contents. The result of validity analysis for the suggested first draft turned out to be generally valid at 4.4 on average. Opinions modified and added by the experts' meeting were 30 in total with 5 altered, 20 modified and 5 added. Second, the result of validity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educational contents by the subject turned out to be generally valid. Average validity by the subject was revealed as Basics of invention 4.4, General invention/patent 4.5, Invention & problem solving 4.3, General intellectual property 4.5, Invention & design 4.6, Particulars of patents 4.4, Patent drawings 4.5, Patent & own business 4.5. Third, the final draft of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elected and organized eight subjects and 40 educational contents. The finally-suggested subjects included Basics of invention, General invention/patent, Invention & problem solving, General intellectual property, Invention & design, Particulars of patents, Patent information, Patent & own bus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체계적인 발명 지식재산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필요한 교육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하여,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발명 지식재산 교육 내용 및 학습 요소를 선정하고 조직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서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협의회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관련 교원 3명, 연구원(교수 포함) 2명, 지식재산 실무 담당자(변리사) 1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 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 초안은 9개 교과목과 39개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초안에 대한 타당도 분석 결과 평균 4.4로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서 수정 및 추가된 의견으로는 총 30건으로 변경 5건, 수정 20건, 추가 5건이 있었다. 둘째, 교과목별 교육 내용의 학습 요소 타당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별 타당도 평균은 발명기초 4.4, 발명 특허 일반 4.5, 발명과 문제 해결 4.3, 지식재산 일반 4.5, 발명과 디자인 4.6, 특허명세서 4.4, 특허 정보 4.4, 특허 도면 4.5, 특허와 창업 4.5이었다. 셋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 교육 내용 최종안은 8개의 교과목과 40개의 교육 내용으로 선정 및 조직 되었다. 최종 제안된 교과목은 발명 기초, 발명 특허 일반, 발명과 문제 해결, 지식재산 일반, 발명과 디자인, 특허명세서, 특허 정보, 특허와 창업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봉수(1992). 교사와 초등교육: 교사론과 초등교육론. 서울: 형설.
  2. 김세직, 정운찬(2007).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46(4), 187-214.
  3. 김종서 외(1997). 교육과정 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31-300.
  5. 서혜애 외(2006). 발명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특허청.
  6. 유승현(2005). CAI:CAM를 넘어서=CAI: beyond CAE. 한국CAD/CAM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1), 1098-1103.
  7. 이경섭 외(1982). 현대교육과정론. 서울: 형설.
  8. 이병욱 외(2007).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특허청.
  9. 이병욱, 김태훈, 강경균(2009).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 타당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219-234.
  10. 이병욱 외(2010). 전문계고 지식재산 실무 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1. 이병욱 외(2012). 창의발명인재 육성 사업 추진 현황 및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특허청, 충남대학교.
  12.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체계구축 및 활성화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충남대학교.
  13. 이병욱, 이규녀, 이혁기(2014). 초.중등학교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 추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1), 25-48.
  14. 이병욱, 이찬주, 이상현(2014).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내용 반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9(2), 1-18.
  15. 이춘식 외(2006). 정규 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특허청.
  16. 정범모(1956). 교육과정. 서울: 중앙교육.
  17. 최유현 외(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1), 148-168.
  18. 특허청(2013).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지식재산생태계 구축 -특허청 '13년 업무계획 발표-. 2013년 3월 25일 보도자료.
  19. Posner, G. J. (1974). The extensiveness of curriculum structure.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20.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