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ect of Oral Media on the Reformation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esent Christianity

구어적 매체가 16세기 종교개혁에 미친 영향과 현대 기독교의 적용

  • Received : 2015.01.08
  • Accepted : 2015.04.01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characteristics of oral media, which is orality and literacy combined, in order to analyze its effect on the age of Reformation and today, and to draw applicable points on the present Christian mission. The electronic age is an age of secondary orality, the orality of telephones, radio, and television, which depends on writing and print for its existence. Historicall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shift from orality to literacy and on to electronic processing has engaged in social, economic, political, religious and other structures. With this perspectiv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researchers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oral culture, examined how it combined with media literacy and became oral media, and witnessed how reformers in the sixteenth century utilized it timely along with what the ending result was. In the second part, researcher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media based on literacy and orality, and presented several applicable points to the present state of the Christian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술성과 문자성이 결합된 구어적 매체의 특징과 그것이 16세기와 21세기에 미친 영향을 각각 분석하여 현대 기독교에로의 적용점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오늘날의 전자시대는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등과 같은 이차적인 구술성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면서도 그 존립을 쓰기와 인쇄에 힘입는 구술성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구술성에서 문자성으로 전환, 나아가서 전자 시대로의 전환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종교적 구조 및 그 밖의 여러 구조와 서로 맞물려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첫 부분에서 1차적 구술문화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이 어떻게 문자 매체와 결합하여 구어적 매체가 되었으며 나아가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얼마나 시의 적절하게 그 새로운 매체를 활용함으로 종교개혁에 큰 힘을 발휘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문자성에 기반한 전자매체가 구술성과 결합하여 전혀 새로운 현대 구어적 매체를 이루었다는 사실을 살펴보고 현대 기독교에 적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베르너 파울슈티히, 근대 초기 매체의 역사, 황대현 역, 지식의 풍경, 2007.
  2. W. J. Ong,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Routledge, 2012.
  3. M. McLuhan, The Gutenberg Galaxy: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0.
  4. 황대현, "독일 종교개혁 초기의 소책자", 역사교육, 제107권, pp.191-216, 2008.
  5. 윤태진, 문자문화, 구술문화, 영상문화의 진화와 상호작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6. J. Goody, The Interface Between the Written and the Or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7. 진중권, 호모 코레아니쿠스, 지식하우스, 2007.
  8. 김명훈,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구술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제24권, pp.73-112, 2010.
  9. 최경은, "종교개혁이 서적인쇄에 미친 영향", 독일언어문학, 제57권, pp.239-264, 2012.
  10. 황대현, "도시수공업자는 종교개혁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서양사론, 제100권, pp.155-186, 2009.
  11. 조기연, "종교개혁자들의 예배개혁: 얻은 것과 잃은 것", 신학과 실천, 제12권, pp.129-164, 2007.
  12. 니콜 하워드, 책, 문명과 지식의 진화사, 송대범역, 플래닛 미디어, 2007.
  13. E. Eisenstein, The Printing Press as an Agent for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4. E. W. Gritsch, Thomas Muntzer: A Tragedy of Errors, For tress, 1989.
  15. 박준철, "종교개혁의 수용과 거부", 서양사론, 제92권, pp.41-64, 2007.
  16. 김영국, "문자를 활용한 매체광고의 감성적 표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166-17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166
  17. 김대중, SNS시대 새로운 기회를 창조하는 소셜리더가 되라, 다음생각, 2011.
  18. S. E. Chiang, "Editor's notice," Orality Journal Vol.1, pp.7-9, 2012.
  19. T. Bradshaw, "Reading At Risk: A Survey of Literary Reading in America," In Research Division Report #46,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2004.
  20. S. Chiang (Ed.), Making Disciples of Oral Learners, ION with Elim Publishing, 2005.
  21. G. Barna and D. Kinnaman, Churchless, Tyndale Momentum, 2014.
  22. S. H. Steinberg, Five Hundred Years of Printing, Penguin Books, 1974.
  23. 김명찬, "새로운 모바일(소셜네트워크서비스) 디지털 시대의 변화에 대한 예배의 세대별 대응 모색", 신학과 실천, 제38권, pp.337-365, 2010.
  24. 한재동, "정-속-부재와 동-멸-임재의 설교학 - 설교에서 문어와 구어의 문제", 신학과 실천, 제28권, pp.169-203, 2011.
  25. N. T. Wright, The New Testament and the People of God, Fortress Press, 1992.
  26. 전영미,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종교교육적 활용", 기독교교육정보, 제28권, pp.143-166, 2011.
  27. 손현지, "디지털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에서의 아날로그감성 커뮤니케이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146-15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146
  28. G. Lovejoy, "The Extent of Orality," Orality Journal, Vol.1, pp.11-39, 2012.
  29. G. Grevelle, "Literacy, Orality, and the Web," Orality Journal, Vol.2, pp.11-25, 2013.
  30. 봉원영, "자아탄력성의 이해화 기독교대학에서 의 소그룹 활동을 통한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509-52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509
  31. 성훈경, 현대선교의 구술성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2. 맹명관, 메시지 전달 혁명, 규장,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