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mpact Structure on Busi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Business Intention by the Conflict Solu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Projects

재건축사업의 추진 단계별 갈등해결이 사업만족도 및 사업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구조 분석

  • 김형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Received : 2015.02.23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a indicator related to the response, handling and management which are appeared on each step of business enforcement in Reconstruction projects. Then, it aims to appropriately and reasonably resolve the conflicts of reconstruction business with relevant subjects. These projects physician satisfaction and continual business was going to have the impact that any analysis of the structure in an 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structure on the business satisfaction and a intention for continuous business through this evaluation. This study sets a operational hypothesis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n, it creates the structural model by using the Smart PLS 3.0. After analyzing the impact structure, this study adopts the final Five hypothesis which shows (+) path coefficient as set in the hypothesis and test statistic above 1.65. then, The 'Approval for union establishment(H1)' has a path coefficient of 0.127. In addition, the 'Approval for business enforcement(H2)' has a path coefficient of 0.343. The 'Management and disposition plan(H4)' has a path coefficient of 0.145. and the 'External Factors(H6)' has a path coefficient of 0.124. Finally, The 'satisfaction of business' which affects the 'intention for continuous business(H7)' has a path coefficient of 0.727.

본 연구의 목적은 재건축사업의 사업시행단계에서 나타나는 갈등에 대한 조정에 관한 지표를 도출하여 관련주체를 대상으로 적합한 체계를 통해 재건축 사업의 갈등을 해결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러한 평가를 통해 사업만족도와 지속적 사업의사에 어떠한 영향구조를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작적 가설을 설정하고, Smart PLS 3.0 을 이용한 구조모형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의 경로계수로 도출되면서 t 통계량도 1.65 이상으로 유의한 최종 5개의 가설을 최종으로 채택하였다. 우선 '조합설립인가(H1)'에 미치는 경로계수가 0.127, '사업시행인가(H2)'에 미치는 경로계수가 0.343으로 나타났다. '관리처분계획은 사업만족도(H4)'에 0.145의 경로계수 값을 나타냈으며, '외부요인은 사업만족도(H6)'에 0.124의 경로계수 값이 도출되었다. 또한 '지속적 사업의사(H8)'에도 0.258의 경로계수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사업만족도는 지속적 사업의사(H7)'에 0.727의 경로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구회, 이길재, 원유호, "부동산 유형별 마케팅전략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적, 제44권, 제1호, 2014.
  2. 김선용, 도시정비사업 갈등 해결 방안; 부산지역 도시정비사업지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 박병옥, 도시재생사업에서의 갈등유형 연구: 주택 재건축개발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환용, 김호권, "재건축.재개발 사업의 갈등해소및 사업투명화 연구", 주택연구, 제15권, 제1호, 2007.
  5. 백명기, 단독주택 재건축사업 갈등해소 방안 연구,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6.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7. 유원석, 성남시 민원사례 분석을 통한 공공참여형 도시정비사업의 갈등특성 연구,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8. 이광균, 이주형, "수요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통한 미분양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318-132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318
  9. 이덕호, 조합원 참여 확대를 통한 도시정비사업의 갈등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이로나,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의 갈등영향 평가를 통한 관리시스템 구축,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1. 이상경, 신우진, 정착무, "내용분석을 이용한 재건축 사업 관련 주체들간 갈등에 관한 연구", 도시계획, 제36권, 제6호, 2001.
  12. 장성환, 도시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이해집단 간 갈등 구조 분석; 주택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3. 황중만, 이주형,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438-450,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438
  14.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15.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Dallas E. Johnson(ed), Applied Multivariate Methods for Data Analysts, pp.295-336, Duxbury Press, 1998.
  16.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17.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
  18.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