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Youth Crisis Forecasting by Youth Counseling Data Analysis

청소년상담데이터 기반 위기청소년 예측

  • 이연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정보연구실) ;
  • 천미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정보연구실) ;
  • 송태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정보연구실)
  • Received : 2015.02.24
  • Accepted : 2015.03.25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study is to identify relevance between nature and types of risk factors that delinquent teenagers are exposed and types of methodologies implemented to prevent committing school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suicide or to help recovering from violent activities and suicide attempts. The results show that school dropout has much relevance in risk factors such as probation, lawbreaking, smoking, drinking, runaway, domestic violence victim, and suicidal attempt. Risk rate of school dropout for those teenagers who smoke and drink in the period of runaway is 2.76 times higher than those teenagers who do not smoke or drink. More specifically, drinking increases more risk of school dropout than smoking.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mpirical evidence that calls for comprehensive risk management for delinquent teenagers encompassing home, school, and community rather than focusing on risk itself.

본 연구는 비행 청소년이 학교폭력과 가정폭력, 학업중단, 자살이라는 위기로부터 일상의 건전한 청소년으로 회귀시키거나 선제적 개입 또는 사전 예방을 위해 실제로 위기에 내몰린 청소년을 분석하여 위기문제간의 연관된 패턴을 찾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보호관찰, 범법, 흡연, 음주, 가출, 가정폭력_피해, 자살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청소년이 가출을 해서 음주와 흡연을 하는 경우에는 학업중단의 위험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2.76배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고, 흡연보다 음주가 청소년의 학업중단에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위기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면한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잠재적 위기청소년의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복합적 위기관리가 필요함을 입증한 과학적 근거자료로서의 활용가치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2012.2.
  2.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2014.
  3. 교육부․여성가족부 보도자료,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수립", 2013.11.28.
  4. 김범구, 조아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5-31, 2013.
  5. 김보영, 이정숙, "청소년 자살생각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pp.651-661,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6. 김선아, "학업중단청소년 중 비행과 일반 청소년의 개인사회적 요인과 중단 후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16-22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216
  7. 김은영,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또래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26호, pp.88-111, 2008.
  8. 김재엽, 이근영,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 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2권, 제2호, pp.53-74, 2010.
  9. 김정란,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내재화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69-279, 2014. https://doi.org/10.5934/kjhe.2014.23.2.269
  10. 김정란, 김혜신, "가정폭력 및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자살 충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310-333, 2014.
  11. 김지수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61-26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261
  12. 김지혜, 안치민, "가출청소년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책", 한국청소년연구, 제17권, 제2호, pp.133-157, 2006.
  13. 김창군, 임계령, "학교폭력 발생원인과 대처방안", 법학연구, 제38집, pp.171-198, 2010.
  14. 김형모, 이숙진, 서해정, 최은정, 김은정, 문순희, "가정폭력 노출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1호, pp.53-77, 2007.
  15. 남영옥,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의 중재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5권, 제3호, pp.199-218, 2008.
  16. 노성호, "학교폭력의 실태와 문제점", 범죄방지포럼, 제15호, pp.11-33, 2004.
  17. 도기봉, "학교요인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서 개인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0권, 제3호, pp.51-74, 2008.
  18. 류방란, 최윤선, 신희경, 이규재, 학교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7.
  19. 박희정, "연관 규칙 마이닝에서의 평가기준 표준화 방안",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1권, 제5호, pp.891-899, 2010.
  20. 배주미, 김동민, 정슬기, 강태훈, 박현진, 2010년 전국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한국청소년 상담원, 2010.
  21. 배화옥,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매개", 아동과 권리, 제14권, 제2호, pp.193-217, 2010.
  22. 백종림, 정익중, "부부폭력목격 경험과 학대경험이 아동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21-142, 2013.
  23. 서울시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2012 서울특별시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2012.
  24. 손애리,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청소년 유해업소 출입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3호, pp.15-26, 2014.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3.15
  25. 송태민, "한국 학교폭력의 실태-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사이버 따돌림 유형별 예측모형-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주제발표자료", 2014.5.28.
  26. 엄명용, "비행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청소년비행 예측요인의 발굴", 한국사회복지학, 제42권, pp.254-289, 2000.
  27. 원경림, "중학생의 가정폭력피해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4호, pp.59-85, 2014.
  28. 유용식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89-1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189
  29. 윤철경 이혜연, 서정아, 윤경원, 김영한, 백혜정, 이봉주, 양미진, 위기청소년지원시설과 지원정책현황 및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위원회, 2005.
  30. 이상균,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1. 이상호, "유교윤리교육 적용을 통한 학교폭력예방 방안 모색",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3집, pp.225-251, 2013.
  32. 이정자, 유영숙, 정현주, "사회적 유능성 프로그램이 Wee 센터에 의뢰된 위기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제4권, pp.43-61, 2012.
  33. 이종원, 이유진, 김준홍, 2012년 청소년유해환경접촉 종합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2.
  34. 이현주, 김용남, "고등학교 학업중단율 변화의 지역별, 학교유형별 현황 및 학교관련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49-185, 2012.
  35. 이호택,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검증", 여성연구, 제83권, 제2호, pp.101-147, 2012.
  36. 이호택,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부모 애책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논단, 제11권, 제1호, pp.25-52, 2012.
  37. 장용환, 송지혜, "아동기의 학대경험이 청소년 자아존중감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책과학연구, 제20권, 제2호, pp.80-104, 2010.
  38. 정묘순, 서수균, "청소년 자살시도 예측변인: 자살위기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2호, pp.145-171, 2014.
  39. 정병삼, "가정폭력이 남자 청소년의 가부장적 남성성과 폭력성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제22권, 제1호, pp.5-28, 2011.
  40. 정윤경, 김혜진, 김정우,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보호태도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 연구, 제23권, 제4호, pp.79-100, 2012.
  41. 정종진, "생태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폭력의 유발 요인", 초등상담연구, 제11권, 제3호, pp.331-350, 2012.
  42. 조민희, 이재민, "범죄예방과 학교 안전을 위한 CPTED 적용방안",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제23권, 제1호, pp.95-108, 2012.
  43. 조아미, 이진숙,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7호, pp.145-170, 2014.
  44. 질병관리본부, 2014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2014.
  45. 청소년폭력예방재단, 2013년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발표, 2014.
  46. 최동선, 이상준,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47. 최상근, 양수경, 남기곤, 권경림, 연보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48. 통계청, "2013년 사망원인통계 보도자료", 2014.9.23.
  49. 통계청, 사회조사, 2013.
  50. 황정임, 장혜경, 윤덕경, 김영란, 주재선 김동식, 이인선, 정수연, 정춘숙, 김은경, 2013년 가정폭력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2013.
  51. C. P. Bradshaw, A. L. Sawyer, and L. M. O'Brennan, "A social disorganization perspective on bullying-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The influence of school contex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43, pp.204-220, 2009. https://doi.org/10.1007/s10464-009-9240-1
  52. M. R. Burt, G. Resnick, and N. Mathesone, Comprehensive Service Integration Programs for at-Risk Youth, Final Report, Washington, DC: Urban Institute, 1992.
  53. G. Gini, P. Albiero, B. Benelli, and G. Altoe, "Determinants of adolescents'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Journal of Adolescence, Vol.31, pp.91-105, 2008.
  54. G. Johnson, "Teacher in the inner city: Experience-based ratings of factors that place students at risk," Preventing school failure, Vol.42, No.1, pp.19-26, 1997. https://doi.org/10.1080/10459889809603164
  55. J. J. McWhirter, B. T. McWhirter, E. H. McWhirter, and R. J. McWhirter, At-risk youth: A comprehensive response, Belmont, CA: Thomson Brooks/Cole, 2004.
  56. D. Nabuzoka and P. K. Smith, "Sociometric status and soci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learning difficultie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34, No.8, pp.1435-1448, 1993.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3.tb02101.x
  57. D. Olweus,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UK: Blackwell, 1993.
  58. J. Renaud, M. T. Berlim, A. McGirr, M. Tousignant, and G. Turecki, "Current psychiatric morbidity, aggression/impulsivity,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child and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J Affect Disord, Vol.105, pp.221-228, 2008. https://doi.org/10.1016/j.jad.2007.05.013
  59. C. Salmivalli, "Bullying and the peer group: A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Vol.15, pp.112-120, 2009.
  60. L. D. Voss and J. Mulligan, "Bullying in school: are short pupils at risk? Questionnaire study in a cohort," BMJ, Vol.320, No.7235, pp.612-613, 2000. https://doi.org/10.1136/bmj.320.7235.612
  61. www.law.go.kr
  62. www.wh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