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Older People in Local Small Cities

사회적 지지가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김정유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 최유석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5.02.24
  • Accepted : 2015.03.25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Using 492 older people in Chunche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oci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older people. Findings show that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of older people. Analysis on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reveals that all of the supports from families, friends, and important other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the elderly. However, buffer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s not confirmed. Depression of older people is also associated with gender, household typ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and chronic diseas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o prevent depression of older people and future research agenda.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4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과 어떠한 관련을 맺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별(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중요한 타인의 지지) 분석에서도 모두 지지 수준이 높은 노인의 경우,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사회적 지지의 스트레스 완충효과는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우울 수준은 성별, 가구형태, 경제활동 여부,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 우울 예방과 관련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민숙, 김나영,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1호, pp.161-176, 2007.
  2. 통계청, 고령자통계, 2013.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행위 통계, 2014.
  4. 김정엽, 이재모, "저소득 여성노인과 일반여성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399-420, 2008.
  5. 이영자, 김태현,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79-93, 1999.
  6. 이평숙, 이영미, 임지영, 황라일, 박은영,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77-484, 2004.
  7. 장미희, 김윤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간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3-42, 2005.
  8. D. Garrigan and E. Murphy,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in Two Community Program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21, No.2, pp.31-38, 1995. https://doi.org/10.3928/0098-9134-19950201-08
  9.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2호, pp.197-211, 2007.
  10. 김미령,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인자녀의 지지가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2권, pp.1-27, 2012.
  11. 조성자, 김병석, "노년기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 우울, 자기효능감, 마인풀니스 (mindfulness)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4권, 제1호, pp.49-71, 2014.
  12. 민성길, 최신 정신의학, 제5판, 일조각, 2012.
  13. 권중돈, 김동기, 김기수, 박수진, "노인의 가족응집력, 스트레스, 우울 및 문제음주의 구조적 관계 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3-25, 2012.
  14. 전해숙, "스트레스, 심리사회적 자원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5권, 제2호, pp.35-53, 2012.
  15. 김현순, 김병석,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7권, 제1호, pp.23-37, 2007.
  16. 이인정,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34-62, 2011.
  17. P. A. Thoit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6, No.5, pp.53-79, 1995.
  18. T. C. Antonucci and R. Fuhrer, "Social Relation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a Sample of Community-Dwelling French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Vol.12, No.1, pp.189-195, 1997. https://doi.org/10.1037/0882-7974.12.1.189
  19. 한경혜, "농촌 단독가구 노인의 자녀관계", 한국노년학, 제16권, 제2호, pp.21-38, 1996.
  20. 박경숙, 고령화 사회 이미 진행된 미래, 의암출판, 2003.
  21. 이신영, 김은정, "독거노인의 친구.이웃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 노인복지연구, 제56호, pp.137-164, 2012.
  22. 강희숙, 김근조,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제26권, 제4호, pp.451-459, 2000.
  23. 김병하,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연구", 한국노년학, 제19권, 제2호, pp.173-192, 1999.
  24. 이민아, "결혼상태에 따른 우울도와 성차", 한국사회학, 제44집, 제4호, pp.32-62, 2010.
  25.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90
  26. M. Silverstein and V. Bengtson, "Does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Parents? the Contingencies of Declining Health and Widowhood," Social Science Medicine, Vol.38, No.7, pp.943-957, 1994. https://doi.org/10.1016/0277-9536(94)90427-8
  27. 조은희, 전진호, 이상원,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노인병, 제4권, 제3호, pp.148-163, 2000.
  28. S. Cohen and T. A. Willi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29. F. H. Norris and S. A. Murrell, "Older Adult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before and after Bereave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42, No.6, pp.606-612, 1987. https://doi.org/10.1093/geronj/42.6.606
  30. W. M. Ensel and N. Lin, "The Life Stress Paradigm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2, No.Dec, pp.321-341, 1991. https://doi.org/10.2307/2137101
  31. J. A. Yesavage, T. L. Brink, T. L. Rose, O. Lum, V. Huang, M. Adey, and V. O. Leir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Vol.17, No.1, pp.37-49, 1983.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32. G. D. Zimet, N. W. Dahlem, and G. K. Farley, "The Multidi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2, pp.30-41, 1988.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33. 신준섭, 이영분,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7권, pp.247-248, 1999.
  3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5. 김애정, 김옥수, 백성희, 장종화, 김정희,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91-399, 2012.
  36. 서인균, 이연실,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371-399, 2014.
  37. 이홍자, 김춘미, "노인의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38-346, 2012.
  38. 이인정,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31-65, 2012.
  39. 정미경, 이규미,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낙관주의 및 적응유연성의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제30권, 제2호, pp.629-642, 2010.
  40. 문명자, "재가노인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4호, pp.542-550,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4.542
  41. 조유향, "농촌노인의 고독감, 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농촌의학회지, 제27권, 제1호, pp.87-98, 2002.
  42. 노병일, 모선희,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 제27권, 제1호, pp.53-69, 2007.
  43.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3권, pp.7-22, 2002.
  44. 하근영, 홍달아기, "노인의 교우관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노년학연구, 제8권, pp.75-90, 1999.
  45. 이현경, 손민성, 최만규, "우리나라 노인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672-68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72
  46. L. I. Pearlin,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0, No.Sep, pp.241-256, 1989. https://doi.org/10.2307/2136956
  47. G. W. Brown, B. Andrews, T. Harris, Z. Adler, and L. Bridg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Medicine, Vol.16, pp.813-831, 1986.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11831

Cited by

  1.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Rural Community Living Homes vol.27, pp.S,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S.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