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conscious Signs in Visual Signification of Lacan's Metaphor

라캉 은유의 시각적 의미작용을 통한 무의식적 기호 연구

  • 박상혁 (충청북도청 산업디자인실)
  • Received : 2014.12.29
  • Accepted : 2015.02.26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universe of discourse presented in the visual image is bound up with the experience and culture of parties; its sender and recipient. Signification of visual message is revealed through the mutual independent process. The mechanism where production of signifiant by sender and reception of metaphoric signifiant function unconsciously can be applied to Lacan's theory;"The unconscious is structured like a language". By applying Lacan's metaphoric formula which takes linguistic approach to visual image it is suggested that analysis of signification is possible. This analysis can be a base for seeking varied level of signifiant presented in visual metaphor logically and practically. Metaphoric structure of the signifiant and the matrix analysis can develop a creative idea and propose a practical way for the visual image production. Thus empirical study about nastic response and the future analysis result is expected to be possible.

시각이미지에 나타나는 메시지 담론의 본질은 시각이미지 발신자와 이를 받아들이는 수신자 모두의 경험과 문화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각메시지의 의미작용은 상호주체적인 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것이다. 발신자의 기표 생산과 은유적 기표가 수용자에게 무의식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 지어져 있다'는 라캉의 이론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언어적으로 접근한 라캉의 은유 공식을 시각적 이미지에 적용하여 은유 구조와 의미작용 분석의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은 시각적 은유 표현에 나타난 기표의 다양한 층위를 논리적이고 실용적으로 모색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기표의 은유적 구조와 분석 매트릭스는 시각적 이미지 생산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전개와 실천적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향후 분석결과와 더불어 수신자 감성 반응의 실증적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eonard Mlodinow, Subliminal : How your unconscious mind rules your behavior, Vintage, p.34, 2013.
  2. D. H. Lawrence, Fantasia of the Unconscious, penguin books, p.243, 1991.
  3. Sean Homer, Jacques Lacan, Routledge, p.69, 2005.
  4. 박찬부, "정신분석학의 언어적 무의식 재론-프로이트에서 라깡으로", 한국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8권, 제1호, p.123, 2006.
  5. 김석, 프로이트&라캉 : 무의식의 초대, 김영사, p.134, 2010.
  6. 박영원, "섹스어필 광고에 나타난 메타포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49, p.25, 2002.
  7. 김대규, 무의식의 수사학, 해냄, p.23, 1992.
  8. D. Gillian, Advertising as communication, New york : Routledge, p.172, 1982.
  9. 히라가 마사코 지음, 김동환, 최영호 옮김, 은유와 도상성 : 인지언어학적 텍스트 분석, 연세대학교출판부, p.65, 2007.
  10. J. Lacan, Ecrit, Seuil, pp.507-508, 1966.
  11. 김석, 에크리 :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p.139, 2014.
  12. 조엘 도르 지음, 홍준기, 강응섭 옮김, 라깡 세미나․에크리 독해 I, 아난케, p.72, 2009.
  13. Algirdas Julien Greimas and Jacques Fontanille, The Semiotics of Passions: From States of Affairs to States of Feeling,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and London, p.16, 1993.
  14. 박찬부, 라캉 : 재현과 그 불만, 문학과 지성사, p.12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