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on Change in Interactive Bibliotherapy Experience with A Middle-aged Widowed Spouse

배우자 사별 중년여성의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질적 단일 사례연구

  • 박정애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학과) ;
  • 이명우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 Received : 2015.11.20
  • Accepted : 2015.12.1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and i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to explore change in interactive bibliotherapy experience with a middle-aged widowed spouse. A Middle-aged Widowed Spouse was taken as a research partaker. Through this research, we explored partitively the partaker's experience changes by each session during the commencing of interactive bibliotherapy and the partaker's inner/external experience change after the end of session. The result, interactive bibliotherapy facilitated and expressed the reaction of a partaker by its writing skills and reading materials including partaker's own poems. Furthermore, facilitated emotion from material and self-awareness made a partaker understand and accept itself through therapeutical interaction. In addition, those kind of changes appeared inner/external experience in life, and lasted after the end of the session. In this regard, the inner/external change appeared from a partaker means the effect of bibliotherapy, and we can notice that it is a result that facilitated through truthful reaction of counselor and texts.

이 연구는 질적 단일 사례연구로, 배우자 사별 경험이 있는 중년여성이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를 경험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배우자 사별 외상 경험이 있는 40대 후반의 중년여성 1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진행 중에는 회기 별로 참여자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 회기가 종결된 이후에는 참여자의 내적인 그리고 외적인 경험으로 구분하여 변화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적 독서치료는 참여자의 자작시를 포함한 읽기 자료와 쓰기 기법이 참여자의 반응을 촉진하고 표출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매체를 통하여 촉진된 감정과 자각된 인식은 상담자와의 치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현실에서의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생활에서 내적, 외적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회기 종결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여기에서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타난 내적/외적 변화는 독서치료의 효과를 의미하고, 이는 텍스트와 더불어 상담자의 진실한 반응을 통하여 촉진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미영. 2009. 질적사례연구. 서울: 청목.(Ko, Mi-Young. 2009.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 Seoul: Chungmok.)
  2. 고용남. 2011.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2(2): 489-504.(Ko, Yong-Nam. 2011.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Bibliotherap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2(2): 489-504.)
  3. 김경선, 성승연. 2012. 독서치료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삶의 인식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7(3): 475-516.(Kim, Kyong-Sun and Sung, Seoung-Yun. 2012.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iddle-aged Women's Change in the Understanding Life through Biblio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7(3): 475-516.)
  4. 김남식. 2003. 독서치료의 이론적 이해. 상담과 선교. 가을: 33-70.(Kim, Nam-Sig. 2003. "Theoritical Understand of Bibliotherapy." Counaeling and Mission, Fall: 33-70.)
  5. 김현희 외. 2004.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Kim, Hyun-Hee. et al. 2004. Bibliotherapy. Seoul: Hakjisa.)
  6. 김현희 외. 2010.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치료. 서울: 학지사.(Kim, Hyun-Hee. et al. 2010. Bibliotherapy. Seoul: Hakjisa.)
  7. 김현희. 2004. 표현예술치료로서의 독서치료. 독서치료연구. 창간호: 99-117.
  8. 김효순. 2007.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의 적응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간발달연구, 14(4): 65-86.
  9. 박명희. 2014. 근거이론을 통한 집단독서치료 참여경험.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463-488.(Park, Myung-Hee. 2014. "A Study of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 of the Participants in Gruop Bibliotherapy by Grounded Theo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3):463-488.)
  10. 박정애, 이명우. 2015. 교통사고로 참여자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트라우마 이해-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2): 227-254.(Park, Jung-Ae and Lee and Myung-Woo. 2015. "Understanding Trauma in A Middle Aged Woman h ad S uffered A Spousal B ereavement b y A T raffic A cciden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4(2): 227-254.)
  11. 변학수(2006). 통합적 문학치료. 서울: 학지사.(Byeon, Hak-Su. 2006. Integrative Poetry & Bibliotherapy. Seoul: Hakjisa.)
  12.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71-701.(Seo, Young-Seok, Cho, Hwa-Jin, An, Ha-Yan and Lee, Jung-Sun. 2012.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South Koreans: Types and Prevalenc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4(3): 671-701.)
  13. 송남영. 2013. 중증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사례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Song, Nam-Young. 2013. A Case Study on Communication of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Focused on Strategic Contexts and Contents. Ph.D.Diss., Departmem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ungkongoe University.)
  14. 양복순. 2002. 중년여성의 참여자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Yang, Bok-Soon. 2002. Hye-chyu-na-a-gam process of the Middle Aged Widow : a Ground Theory Study. Ph.D.Diss., Departmem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Ewha University.)
  15. 오경미. 2007. 중년 여성의 참여자의미에 대한 주관성 연구. 주관성 연구, 14: 79-92.
  16. 이문희, 유성경. 2009. 소암 이동식 선생의 치료개입모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10(2): 741-768.
  17. 임선영. 2013. 외상적 관계상실로부터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4): 745-772.(Im, Sun-Young. 2013.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after Relational Los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4): 745-772.)
  18. 조민아. 2009. 성_비정형적 행동(gender-atypical behavior)을 보이는 남아 상담의 질적 사례연구. 상담학연구, 10(2): 1051-1077.
  19. 최남희. 2010.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피해자학연구, 18(1): 285-309.(Choi, Nam-Hee and Ryu, Jung. 2010. "Trauma Narrative Reconstruction and Recovery." Research of Victimology, 18(1): 285-309.)
  20. 최미례. 2010. 독서치료의 현황과 상담에의 적용. 한국심리치료학회지, 2(1): 81-98.(Choi, Mi-Rae. 2010. "Current Status of Bibliotherapy and Its Application to Counsel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2(1): 81-98.)
  21. 최태산, 김정한, 이동훈. 2014.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PTSD 예방을 위한 재난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접근. 문화예술교육연구, 9(5): 99-118.(Choi, Tae-San, Kim, Jeong-Han and Lee, Dong-Hun. 2014. "A Systemic Approach about Psycho-Social Interventions Programs on Disaster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Cultural Perspective." Th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tudies, 9(5): 99-118.)
  22. 황금숙. 2005. 외국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305-320.(Hoang, Gum-Soak. 2005.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ibliotherapy in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 305-320.) https://doi.org/10.4275/KSLIS.2005.39.2.305
  23. Danzin, N. 1984. The Research Act. Englewood Cliffs. NJ: Prentic Hall.
  24. Elo, S and Kyngas, H. 2005.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25.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try Therapy-The Interactive Process : A Handbook. MN : North Star Press of St. Cloud.
  26. Patton, M. Q. 1980. Qualatative Research Mathods. Beverly Hills. CA: Sage.
  27. Palmer, R. E. 2011.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이한우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28. Stake, R. E. 2000. 질적 사례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옮김. 서울: 창지사
  29. Yin, R. K. 2005. 사례연구방법. 신경식, 서아영 옮김. 서울: 한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