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Labour Economics (노동경제논집)
- Volume 38 Issue 4
- /
- Pages.57-81
- /
- 2015
- /
- 1229-6651(pISSN)
Why have Marriages been Delayed?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 김성준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 Received : 2015.05.13
- Accepted : 2015.12.0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try to explain delays in one's first marriage that are observed in contemporary society by accounting for possible factors that may play a substantial role in delaying marriages.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ith unobserved heterogeneity was employ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odds of getting married compared to odds of not getting married are 0.91 times, i.e. 8.5% lower for women with bachelor's degree than women with high school diploma or below. The odds of getting married compared to odds of not getting married are 0.4 times, i.e. 59.6% lower in case of women with masters and/or doctorate program degree than women with bachelor's degree. Employed men's odds of getting married to not getting married are increased by a factor of 1.65 compared to the unemployed men. In addition, if one's family circumstances are economically below average at the age of 14, the odds decrease by a multiple of 0.65. With these results,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not only education level but also one's economic ability play significant roles in determining one's marriage decision.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자들이 초혼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을 설명한다. 분석 결과, 교육수준과 관련하여, 여자 대졸자는 고졸 이하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Odds)이 0.91배, 약 8.5% 낮아지고, 여자 석 박사 졸업자는 여자 대졸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0.40배(59.6%)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력과 관련하여, 남자 취업자의 경우 미취업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5배 높아지며, 직업이 상시직이면 상시직이 아닌 경우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0배 높아진다. 또한, 만 14세 때의 가정 형편이 평균 이하인 경우 평균 이상인 경우에 비해 결혼할 확률이 0.65배 낮아진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볼 때,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뿐만 아니라 경제력을 갖춘 남성 청년층의 감소에 상당 부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