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Youngbong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

  • 투고 : 2015.03.13
  • 심사 : 2015.03.20
  • 발행 : 2015.03.31

초록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 필요성에 따라 1/5,000 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해발고도 1,094 m)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침엽수림, 산지습성림, 식재림으로 세분되었으며, 평지삼림식생은 하반림, 기타식생은 암벽식생, 2차초지, 벌채지 등으로 세분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분포군락수는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9개 군락, 산지습성림 26개 군락, 산지침엽수림 6개 군락, 식재림 11개 군락, 하반림 2개 군락, 기타식생 7개 군락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주요 군락의 분포 비율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군락이 $14,783,125.69m^2$의 26.315%로 가장 높은 분포 비율로 조사되었고, 굴참나무군락이 $8,180,713.97m^2$의 14.5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봉일대 산지낙엽활엽수림의 40.879%는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 또는 차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산지침엽수림은 소나무 군락이 전체의 75.618%로써 대부분의 산지침염수림은 소나무 1종이 상층부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군락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이 전체의 25.628%를 차지하고 있으며, 들메나무와 상층부의 식피율이 비슷하여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은 6개 군락으로 전체의 50.770%를 차지하고 있다. 식재림은 일본잎갈나무가 식재림 전체의 77.175%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밤나무가 7.149%, 리기다소나무가 4.494%, 잣나무가 4.410%로 4개 수종이 전체의 93.228%로 대부분이 이들 4종에 의하여 분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의 삼림식생은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들메나무, 졸참나무 등 소수의 수종들이 최상층부의 우점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종들과 관련된 수많은 군락들은 식생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군락 대체가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보이고, 잠재 자연 식생의 주요종 중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와 굴참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에 의하여 우점할 것으로 보이며 점차적으로 낙엽활엽수의 분포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식생연구는 식물군락과 관련된 조사가 비교적 연구되어 왔으나 식생도 관련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으로 기존에 발표되었던 월악산 식생도 관련 연구(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에 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크게 보완 향상된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Forest vegetation of Youngbong (1,094 m) in Worak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mountain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riparian forest, afforestation and other vegetation. Including 84 communities of mountain forest vegetation and 7 communities of other vegetation, the total of 91 communities were researched; mountain forest vegetation classified by physiognomy classification are 39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26 communities of mountain valley forest, 6 communities of coniferous forests, 2 communities of riparian forests, 11 afforestation and 7 other vegetation. As for the distribution rate for surveyed main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ccount for 40.879 percent of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Fraxinus mandshurica -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takes up 25.627 percent of mountain valley forest, Pinus densiflora community holds 75.618 percent of mountain coniferous forest holds. In conclusion, minority species consisting of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Fraxinus mandshurica, and Quercus serrata are distributed as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most part in a forest vegetation reg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In addition, because of vegetation succession and climate factors, numerous colonies formed by the two species are expected to be replaced by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Fraxinus mandshurica which are climax species in the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Back, S.J., H.K. Kang and S.H. Kim. 2013.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 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7(4): 487-497.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
  3. Choi, S.H., K.K. Oh, H.S. Cho and H.M. Kang. 2005.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106-111.
  4. Kim, C.H. 1992.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the secondart succession in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Ph. D. Thesis. Won Kwang Univ., 156p.
  5. Kim, G.T. and G.C. Choo. 2005. Forest Structure of the Region from Dongchanggyo to Deogjus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75-82.
  6. Kim, J.W. 2004. The Forest Vegetation. World science. 308p.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6. Natural resources survey report on Woraksan national park. 581p.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ional Environment.
  9.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4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0.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2.
  11. Oh, K.K., S.H. Choi, S.H. Kim and W.K. Choi. 2005.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case study of Yeongbong and Doraksan Reg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90-98.
  12. Oh, K.K., S.K. Park, H.Y. Shim and T.H. Kim. 2005. Actual Veget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9(2): 119-129.
  13. Shin, H.K., H.Y. Kwon and H.K. Song. 2011.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Young-bong Area in W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1): 43-55.
  14. Lee, W.T. and Y.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https://doi.org/10.11110/kjpt.1978.8.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