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종복(2005).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서강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현숙(2009). 중학교 3학년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부진 원인 연구.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경은(2009). STAD 협동 학습이 수학부진아들의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 수업 중심으로.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구채선(2006).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동락(2010). 상호적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성철(2001). STAD협동학습이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선영(2008). 동료멘토링을 이용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수동(2009). 수행평가를 통한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 평가 전략 탐구. 홀리스틱교육 연구, 13(2), 41-60.
- 김순희.한승국(2003). 중학교 수학과 학습부진아의 효과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자체학습 효과에 대해. 교과교육연구, 24(1), 27-62.
- 김애경(2002). 또래지도 전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사칙연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영길(2007). 또래교수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판수.조지영(2004). 수학 학습 부진아의 인식 및 학습 실태 연구. 논문집, 6, 67-90.
- 김현진.박재황(2014). 현실요법을 적용한 교과학습부진아용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증진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301-319
- 김홍찬.이정은(2010).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방안으로써의 수학일지 쓰기.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3(4), 525-547.
- 길은정(2011). TAI협동학습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정순(2008).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45-61. https://doi.org/10.4275/KSLIS.2008.42.1.045
- 박귀자.민천식(2008).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논총, 23(2), 335-361.
- 박일수(2002). 팀 보조 개별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금희(2008). STAD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연산능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성익(1997).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박현정(2002). 구조화 협동학습전략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현화(2007).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성열욱.신경순(2001). 소집단 학습을 통한 수학과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4(2), 125-134.
- 송경미(2009). 중학교 특별보충과정에서 또래교수가 수학적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윤희(2004). LT 협동학습 모형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춘섭(2002). 소집단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진희(2003). 또래교수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인천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경화.강옥려(2013). STAD협동학습을 적용한 수학학습이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4(3), 153-170.
- 양기경(2006). 학습부진아의 성격에 따른 협동학습과 마인드맵 활용 수업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낙진(1990). 협동학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여현숙(1992). 학업우수아와 부진아간의 Tutor ing 학습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성삼(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 출판부.
- 오양교(1993). 동료사사학습과 개인학습이 학업성취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근미(2010). 또래교사 역할 경험이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근미.김수연(2010). 수학 학습부진아의 또래 교사 역할 경험이 분수연산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 9(2), 31-49.
- 유재은(2001).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학습 부진아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원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매(2007). 시지각 자료를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학습부진아동의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애(2013). 팀 보조개별(TAI)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수와 연산 능력 및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규명(2000). 상호적인 또래교수가 수학 장애학생의 수학 성취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대식.김수연.이은주.허승준(2006).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서울: 학지사.
- 이은주(2007).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적 동기유발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종호(2013). 온라인 학습에서 실재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현아(2002).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영희(2012). 멘토링 교수학습방법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준형.이재(2008).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의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4), 427-436.
- 정문성(1996). 사회과 협동 학습에서의 논쟁 교수 모형. 교육논총, 13.
- 정미진.권성룡(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3(1), 127-153.
- 정보경(2006). 상호적인 또래지도가 수준별 하반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연실(2009). 또래교수를 통한 자기교시훈련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사칙연산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인숙.전성숙.황선경.김동희.하주영(2011).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파주: 수문사.
- 정현석(2012). 동료지도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에게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희원(2002).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영미(2006). 수학 기초학력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 탐색 : 초3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 기초 수학 결과 분석. 학교수학, 8(1), 69-88.
- 조승래(2003). 동료학생과의 협력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지도에 관하여. 건국대학교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차요섭(2012). 학습부진 학생의 수업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협력학습: 모둠 수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금주(2005).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정현.김상룡(2011). 이전 학년의 교과서를 활용한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에 관한 사례 연구. 初等數學敎育, 14(1), 81-95.
- 한민영(2008). STAD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종화(1993). 학습능력에 다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선애(2006).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방안.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은영(2008).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학 교수방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정의(2005). 릴레이식 또래교수가 수학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성분(2001). 협동학습에서 수준별 학습자료 적용이 수학부진아의 학습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nkem, K. (2006). Factors influencing information needs among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8(1), 7-23. https://doi.org/10.1016/j.lisr.2005.11.003
- Bolich, B. L. (2001). Peer tutoring and social behaviors: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6(2), 16-30.
- Bor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John Wiley & Sons: WILEY.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 3-8.
- Hedges, L. (1981). Distribution theory for Glass's estimator of effect size and related estimator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6, 107-128. https://doi.org/10.3102/10769986006002107
- Harrison, G. V. (1969). The effects of trained and untrained student tutors on the criterion performance of disadvantaged first graders.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 Jacqueline, C., Vijayan, P., & Julia H. (2011).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정인숙.전성숙.황선경.김동희.하주영 역). 파주: 수문사. (영어 원작은 2008년 출판)
- Johnson, D. W.& Johnson. R. T.(1986). Main streaming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Exceptional Children, 52(6), 553-61.
- Johnson, D. W., & Johnson, R. T. (1983). Effect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xperiences on social development. Exceptional Children, 49, 323-329. https://doi.org/10.1177/001440298304900405
- Ke, F., Grabowski, B. (2007). Game playing for maths learning: Cooperative or no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8(2), 249-259.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6.00593.x
- Koufogiannakis, D., & Natasha, W. (2006).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to undergraduate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ence based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1(3), 3-43.
- Labbo, L. D., & Teale, W. R. (1990) Cross-age reading: A strategy for helping poor readers. Reading Teacher, 43(6), 362-369.
- Lee, G. H., & Xia, W. (2006). Organizational size and IT innovation adoption: a meta-analysis. Information and Management, 43(8), 975-985. https://doi.org/10.1016/j.im.2006.09.003
- Oortwijn, M. B., Boekaerts, M., Vedder, P. (2008). The effect of stimulating immigrant and national pupils' helping behaviour during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rooms on their maths-related talk. Educational studies, 34(4), 333-342. https://doi.org/10.1080/03055690802257093
- Pelones, M. T., Revuelta, S. (2007). Computer-Aided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In Math: Its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Change In Math Perception Of Fourth Year Students.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Annual, 18(6), 3306-3312.
- Penelope, B. (2004) Student Mentoring and Peer Tutoring. MSOR Connections, 4(1), 12-16. https://doi.org/10.11120/msor.2004.04010012
- Pierce, M. M., & Stahlbrand, K., Armstrong, S. B. (1983). Parter Learning in educational setting: Taking acue from the kid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no. ED 240-782.
- Robinson, D. R., Schofield, J. W., & Steers-Wentzell1, K. L. (2005). Peer and Cross-Age Tutoring in Math: Outcomes and Their Design Implication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7(4), 327-362. https://doi.org/10.1007/s10648-005-8137-2
- Slavin, R. E. (1981).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39, 654-658.
- Slavin, R. E. (1989). Cooperative learning & Cooperative school. Educational Leadership, 45, 7-13.
- Topping, K. (1987). Peer tutored paired reading: Outcome data from the projects. Educational Psychology, 7(2), 33-45. https://doi.org/10.1080/0144341870070105
- Trapani, C. (1988). Peer Tutoring: Integrating academic and social skills remediation in the classroo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7-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