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about the Features of Mathematical Learn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Distribution Graphs of the Responses Percentag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답지 반응률 분포 그래프를 활용한 중학생의 수학과 학업 특성 분석

  • Received : 2015.01.09
  • Accepted : 2015.02.12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we can improve in the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n the bases of the analyses of multiple-choice items se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is goal, by using the distribution curves of the responses percentages, we will grasp the featur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which appear to student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about not only item itself but also the contents included in particular distracters. These analyses provide more information than the descriptive statistical values such as the mean of correct answer percentage and the discrimination of whole group and the mean of responses percentages of replies of subgroups. Because the distribution curves of the responses percentages reveal the transition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educational achievement very well. From these analyses we acquire the implications about the concept of prime factor or prime factorization, ratio(proportion) such as velocity, linear function, volume of cone, properties of solid figure, and probabilities of empty event and total event.

이 글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출제된 선다형 문항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이나 교수 학습, 평가에 개선할 여지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답지 반응률 분포 그래프를 이용하여 문항 전체뿐만 아니라 특정 답지가 담고 있는 내용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전체 집단의 평균 정답률과 변별도, 부분 집단별 평균 답지 반응률과 같은 기술통계치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왜냐하면 학생들의 능력에 따른 반응의 변화가 잘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의 문항 분석으로부터 소인수 개념이나 소인수분해, 속도와 같은 비, 일차함수의 개념, 원뿔의 부피, 입체도형의 성질, 공사건과 전사건의 확률 등에 대해서 시사점을 얻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 권연근, 이형주, 유희경, 윤성혁, 김태희, 김수철, 유승연, 윤혜미(2014). 중학교 수학1. 두산동아.
  2. 고호경, 김응환, 양순열, 권세화, 권순학, 정낙연, 장인선, 임유원, 최수영, 이성재, 노솔, 백형윤, 홍창섭(2013). 중학교 수학1. 교학사.
  3. 김경희, 최인봉, 김완수, 송미영, 신진아, 박인용, 김종훈, 김성훈(2012).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중학교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1-2.
  4. 김동영, 김도남, 김영란, 김현정,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이광상, 이인호, 심재호, 배주경, 정기문, 최원호, 박영신(2013c).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출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4.
  5. 김화경(2014). '수학과 학업성취도 정오답지 반응률 분포에 기반을 둔 학업성취도 특성 분석'애 대한 토론.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른 학교교육의 진단과 과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4-71.
  6. 류희찬, 류성림, 이경화, 신보미, 강순모, 윤옥교, 김명수, 조성오, 천태선, 김철호(2014). 중학교 수학1. 천재교과서.
  7. 이인호, 조윤동, 이광상(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14-30-3.
  8. 이인호, 김경주, 이상일, 이정우, 서민철, 조윤동, 이광상, 김현경, 배주경, 황필아, 심재호, 이기영, 이봉우, 정기문(2014). 답지 반응률 분포 곡선을 활용한 중학교 3학년 교과별 학업성취 특성 심층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