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Health Promoting Lifestyle on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건강증진생활 연구

  • 이주현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김민지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박현춘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유시은 (고려의대 의생명센터) ;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14.12.05
  • Accepted : 2015.01.26
  • Published : 2015.03.28

Abstrac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round the psychosocial aspects such as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e purpose is mentally still less of a mature compared to adults, adolescents need greater understanding. For this purpose, North Korean Youth 150 people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85 par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ed from the additional 65.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of life was perform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general self, school self,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ocial psychology factors such as stress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s refugees is addresse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causal relationship, and promote health of adolescents shows wonderful self-esteem. It suggests that the necessary establishment. This effort is called for to reliably establish the North Korean youth to be part of a future South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같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성인에 비해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에서 제외된 설문지 65부를 제외한 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자아, 학교 자아, 스트레스가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북한이탈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자아존중감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앞으로 남한사회의 일원이 될 북한이탈청소년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사회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지원 프로그램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종, "북한 이탈 주민 정착지원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10-32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310
  2. 편송경, 북한이탈청소년의 진로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국제이주기구 한국대표부, "북한이탈주민의 건강한 정착을 위한 국제회의",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1.
  4. www.unikorea.go.kr, 검색일 2014년 8월 25일.
  5. 이주아, 북한이탈 청소년과 남한 청소년의 자기역량지가과 가치지향에 따른 적응유연성의 차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6. 문성호,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과 청소년복지의 과제",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5-17, 2005.
  7. 1997년 3월 7일 법률 제5297호로 제정. 2005년 3월 24일 일부 개정.
  8. 1991년 12월 31일 법률 제4477호로 제정. 2005년 3월 31일 일부 개정.
  9.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0. 박미석, 이종남, "탈북가족의 남한사회 적응 시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 방안", 통일논총, 제17권, 제1호, 숙명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pp.63-64, 1999.
  11. 안권순,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4호, pp.25-45, 2010.
  12. R. Jessor,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12, pp.597-605, 1991. https://doi.org/10.1016/1054-139X(91)90007-K
  13. 이인숙, 박호란, 김윤수, 박현정, "북한 이탈 아동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상태 평가",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7권, 제4호, pp.256-263, 2011.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4.256
  14. 박인숙, 주현옥, 이화자, "청소년의 건강증진생활 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pp.154-162, 1997.
  15. 백혜정, 길은배, 윤인진, 이영란, "남한 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183-211, 2007.
  16. 이소래,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17. 전은경, 이진화, 김순례, 강민정, 권인숙, "일개 특성화 학교 북한이탈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0권, 제3호, pp.13-23, 2013.
  18. 최슬기, 박상민, 정효지,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통합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9.
  19. 한미현, 유안진, "한국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제33권, 제4호, pp.49-64, 1995.
  20. 한미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1. 신서연, 한국어판 단축형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들의 타당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고기동, 조비룡, "우리나라 노인에서 건강 위험행동과 정신 건강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 패널 (KLoSA)", 대한노인병학회, 제16권, 제2호, 통권 제59호, pp.66-73, 2012.
  23. 조원성,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24. 김미선,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5.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26. 윤순녕, 김정희,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산업간호학회, 제8권, 제2호, pp.130-140, 1999.
  27. 홍외현,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330-346, 1999.
  28. 강말순, 김정남, "일부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요인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84-198, 2000.
  29. 김미한, "명상 캠프 프로그램이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38-34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