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S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in Schisandra Fruit by Water Extraction Condition

오미자의 물 추출조건에 따른 s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함량 비교

  • Kim, Hee-Soon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Moon, Hyun-Kyu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 Lee, Young-Ju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Lee, Chun-Young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Hwang, Kwang-Ho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Kim, Ouk-Hee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Yoo, In-Sil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 Jung, Kweon (Kangbuk Agro-Fishery Products Inspection Cent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 김희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영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이춘영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황광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김욱희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유인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 정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강북농수산물검사소)
  • Received : 2014.06.12
  • Accepted : 2014.12.09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content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condition when we generally drink the extractive of Schisandra fruit with using water.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the Schisandra fruit,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were analysed with HPLC. The results of extracting 1 dose of the Schisandra fruit tea, which is some as 1 g of Schisandra fruit, in 100 mL of water by differing the extraction type,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time were of the followings. The total content of schizandrin, gomisin A and gomisin N of powder type in $26^{\circ}C$ leaching was the highest (p < 0.05) as the leaching content of 24 hours (5.54 mg/g) showed difference with different times and the contents of raw type Schisandra fruit were less than 0.1 mg/g in all of extraction time. The contents of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in $60^{\circ}C$ heating extraction was over 4.50 mg/g except for the 5 minute (2.94 mg/g), and the contents of raw Schisandra fruit were less than 0.3 mg/g. In case of $100^{\circ}C$ heating extraction, the contents of powder type Schisandra fruit showed over 5.10 mg/g in every time zone, and the raw type Schisandra fruit was less than 1.0 mg/g.

본 연구는 식약공용 오미자를 메탄올 추출해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확인한 후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이 높게 나온 시료 중 하나를 선정해 오미자를 차로 음용 시 물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과 상온 침출로 추출상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함량을 비교하여 적절한 음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미자를 원산지별 메탄올 추출물 시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평균 함량은 10.57 mg/g이었다. 국산 오미자 11.42 mg/g, 수입산 오미자 10.12 mg/g으로 국산 오미자의 메탄올 추출물의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총 합 함량이 더 높았다(p < 0.05). 메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온 오미자를 이용해 물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방법, 추출형태, 추출온도, 추출시간을 달리해 생리활성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오미자 물 추출방법에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조건은 추출형태였다. 원형보다 분말형태로 오미자를 물 추출 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나왔다(p < 0.05).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의 총 합 함량이 높게 나온 추출방법은 오미자를 분말형태로 $26^{\circ}C$에서 24시간 침출하거나 $100^{\circ}C$에서 5분 이상 열수 추출했을 때 유의적 차이가 없이 높게 나왔으나(p > 0.05) 오미자를 고온 열수 추출 시 떫은맛과 신맛이 강해지므로 따라서 오미자의 물 추출의 경우 분말상태로 24시간 이상 침출하는 것이 오미자의 생리활성 물질인 schizandrin, gomisin A, gomisin N을 좀 더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기호적인 면도 고려할 수 있는 음용법 이었다. 차를 마시는 기능성을 고려하여 향후 오미자 뿐 아니라 가정에서 차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약용식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특성에 따른 물 추출물에 대한 효율적인 추출법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종: 한의약과 식원, 식품산업과 영양, 5, 1-9 (2000).
  2. Yamada, H.: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studies on efficacy of japanese and chinese herbal medicines, Kitasato Arch Exp Med, 65, 159-180 (1992).
  3. 김미혜, 김명철, 박종석, 김종욱, 이종옥: 다류원료 식물류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3, 12-18 (2001).
  4. 박선영, 정세영: 오미자성분 Schizandrin의 Cisplatin유도신장 독성에 대한 억제효과, 환경보건독성학회지, 13, 125-131 (1998).
  5. 허정행, 박진구, 천호준, 김영식, 강삼식, 배기환: gomisin A 및 gomisin N의 간독성 보호작용, 생약학회지, 37, 294-301 (2006).
  6. 김현구, 나경민, 예수향, 한호석: 오미자 추출물의 추출특 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 학회지, 19, 484-490 (2004).
  7. Jeong, S. I., Kim, S. J., Kwon, T. H., Yu, K.Y. and Kim, S. Y.: Schizandrin prevents damage of murine mesangial cells via blocking NADPH oxidase-induce ROS signaling in high glucose, Food and Chem, 50, 1045-1053 (2012). https://doi.org/10.1016/j.fct.2011.11.028
  8. Mak, D. H. and Ko, K. M.: Alterations in susceptibility to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and hepatic antioxidant/detoxification system in streptozotocin-induced short-term diabetic rats: Effects of insulin and schisandrin B treatment, Mol Cell Biochem, 175, 225-232 (1997). https://doi.org/10.1023/A:1006883919687
  9. Gu, B. H., Minh N. V., Lee, S. H., Lim S. W., Lee, Y. M., Lee, K. S. and Kim D. K.: Deoxyschisandrin inhibits H2O2-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through nuclear factor-${\kappa}$B, Int J Mol Med, 26, 401-406 (2010).
  10. 이신호, 임용숙: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7(2): 239-243 (1998).
  11.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민국약전 (2012).
  12. Nakajima, K., Taguchi, H., Ikeya, Y., Endo, T. and Yosioka, I.: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XIII. Quantitative analysis of lignans in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Yakugaku zasshi, 103, 743-749 (1983).
  13. Slanina, J., Taborska, E. and Lojkova, L.: Lignans in the seeds and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cultured in Europe, Planta Medica, 63, 277-280 (1997). https://doi.org/10.1055/s-2006-957676
  14. 김관수, 류수노, 강삼식: 오미자 리그난 성분의 정량분석, 생약학회지, 33, 272-276 (2002).
  15. 황자영: 오미자의 조리조건과 추출용매에 따른 lignan 함량 변화,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998).
  16. 노숙령, 오현석: 오미자 추출물의 간암세포(SNU-398) 증식 억제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35, 201-206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