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ystemic Analysis on Hygiene of Food Catering in Korea (2005-2014)

System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한 국내 학교급식 위생의 주요 영향 인자 분석 연구(2005-2014)

  • 민지현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 박문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
  • 이종경 (한양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Received : 2014.12.26
  • Accepted : 2015.02.12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A systemic review on the factors affecting food catering hygiene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risk management of food catering in Korea. In total 47 keywords relating to food catering and food hygiene were searched for published journals in the DBpia for the last decade (2005-2014). As a result, 1,178 published papers were searched and 142 articles were collected by the expert review. To find the major factors affecting food catering and microbial safety, an analysis based on organization and stakeholder were conducted. School catering (64 papers) was a major target rather than industry (5 pagers) or hospitals (3 papers) in the selected articles.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catering were "system/facility/equipment (15 papers)", "hygiene education (12 papers)", "production/delivery company (6 papers)", food materials (4 papers)" and "any combination of the above factors (9 papers)". The major problems are follow. 1) The problems of "system/facility/equipment" were improper space division/separation, lack of mass cooking utensil, lack of hygiene control equipment, difficulty i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lack of cooperation in the HACCP team (dietitian's position), poor hygienic classroom in the case of class dining (students'), hard workload/intensity of labor, poor condition of cook's safety (cook's) and lack of parents' monitoring activity (parents'). 2) The problem of "hygiene education' were related to formal and perfunctory hygiene education, lack of HACCP education, lack of compliance of hygiene practice (cook's), lack of personal hygiene education and little effect of education (students'). 3) The problems of "production/delivery company" were related to hygiene of delivery truck and temperature control, hygiene of employee in the supplying company and control of non-accredited HACCP company. 4) The area of "food materials" cited were distrust of safety regarding to raw materials, fresh cut produces, and pre-treated food materials. 5) In addition, job stability/the salary can affect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nd job stress can affect the performance and the hygiene practic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allocate budget for facility and equipment, conduct field survey, improve hygiene training program and inspection, prepare certification system, improve working condition of employees, and introducing hygiene and layout consulting by exper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pare education programs and develop technology for improving food catering hygiene and providing information.

Systemic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학교급식의 위해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 위생 관련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단체급식 및 위생 분야 키워드 47개를 도출한 후, DBpia 검색엔진을 통하여 도출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최근 10년간(2005-2014) 생산된 총 1,177개 논문을 검색하였다. 이후 관련논문을 수집하고 전문가리뷰를 통하여 최종 142개 논문을 선정하였다. 시설별, 이해당사자별, 외부요인, 내부요인, 직접적 요인, 간접적 요인으로 나눠 문헌을 분석하였다. 시설별로 학교(64편)가 산업체(5편)나 병원(3편)보다 단체급식 위생 관련문헌이 많았다. 학교급식의 주요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스템/시설/설비(15편), 위생교육(12편), 생산/납품업체(6편), 식재료(4편), 복합적 요인(9편)이었다. 학교급식 위생관련 요인을 환경적 요인, 인적 요인, 식재료 요인, 고용 및 직무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이해당사자별로 영양사, 조리종사원, 학생, 교직원, 식재료 납품업체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환경적 요인으로 시설 설비 영역과 시스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시설 설비 영역에서 대상이 영양사인 경우 급식시설의 명확하지 않은 구획 및 구분, 다량조리기기의 부족으로 인한 음식 온도관리 미흡, 위생관리를 위한 기기 구비율 저조, 조리실 온 습도 관리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대상이 학생인 경우에는 교실배식 환경을 문제로 꼽았다. 시스템 영역에서는 영양사가 대상인 경우 학교 내 구성원 간 HACCP 시스템 팀의 낮은 협력정도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조리사/조리종사원이 대상인 경우에는 과도한 업무량과 높은 노동 강도, 급식소 안전 관련 근무 조건의 열악함이 문제가 되었다.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학교급식 모니터 제도의 활동이 저조한 것이 문제로 파악되었다. 두 번째, 인적 요소 측면에서는 "위생교육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서, 교육대상이 조리종사원인 경우 형식적인 위생교육, HACCP 관련 교육 미흡, 낮은 개인위생관리수행이 문제가 되었다. 대상이 학생인 경우에는 위생교육 경험이 적고, 위생교육의 적용 및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식재료 요소 측면에서 원재료 자체의 위생문제와 신선편이식품 전처리 식재료의 불신이 문제로 파악되었다. 한편, 생산 납품업체 관련 납품업체 배송차량 관리 미흡, 생산 납품업체 직원의 위생관리, HACCP 비인증업체의 위생관리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고용 및 직무 요소 측면에서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 연봉수준은 직무만족도 및 직무몰입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수행, 나아가 학교급식 위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학교급식 위생의 원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정부는 예산확보, 현장조사, 인증시스템 제도 마련, 근무 조건 개선, 위생훈련 및 점검 강화, 전문가에 의한 위생컨설팅 및 급식장 설계 컨설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급식위생안전 개선을 위한 교육 자료 및 관련 기술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보숙, 양일선, 박문경: 연차별 학교급식 품질 속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42(8), 770-783 (2009).
  2. 황윤재, 국승용: 학교급식의 운영실태와 개선 방안: 식재료 공급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1-197 (2011).
  3. 박기환: 기후변화와 푸드서비스, (사)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11월 21일 2014 (2014).
  4.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 http://www.ekapepia.com/user/distribution/distDetail.do?nd79437 Accessed Dec. 24, 2014.
  5. 김덕웅, 정수현, 염동민, 신성균, 여생규, 조원대: 개정판 21C 식품위생학. 수학사, 서울, pp. 103-104 (2011).
  6. 신호성, 정기혜, 윤시몬, 이수형: 기후변화와 식중독 발생 예측, 보건사회연구 29(1), 142-162 (2009).
  7. 신호성, 이수형, 김종수, 김진숙, 한규홍: 식중독의 사회 경제적 비용추정: 삶의 질 개념을 적용한 질병비용추정법을 이용하여, 예방의학회지 43(4), 352-361 (2010).
  8. 음성자치신문: http://usjachi.com/detail.php?number=7830&thread=23 Accessed Dec. 23, 2014 (2011).
  9. 식품의약품안전처-식중독 통계시스템: http://www.mfds.go.kr/e-stat/index.do Accessed Dec. 8, 2014.
  10. 교육부-학교급식 실시현황 (2009, 2010, 2011, 2012, 2013): http://www.moe.go.kr/web/100066/ko/board/list.do?bbsId=318 Accessed Dec. 8, 2014.
  11. 안형식, 김현정: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지 57(1), 49-59 (2014).
  12. 교육부: 2013 학교급식 식중독 중점관리 대책('13.8.28 회의자료).
  13. 교육부: 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 (개정판), 2010.
  14. FAO: RECOMMENDED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GENERAL PRINCIPLES OF FOOD HYGIENE, CAC/RCP 1-1969, Rev. 4(2003).
  15. 장혜자, 손혜정, 최경기: 경기도지역 학교급식시설의 기능 공간별 면적 현황 및 구비 기기의 적정요건 제안,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4), 474-487 (2009).
  16. 강근옥: 학교 급식 관리 영양사의 위생 인식 및 관리와 관련된 직무 수행도: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2), 264-275 (2008).
  17. 배현주, 전은경, 이혜연: 급식시설.설비 위생관리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3), 325-332 (2008).
  18. 양효정, 노정옥: 전북 지역 학교 급식소의 메뉴 관리 및 대량 조리기기의 활용도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2), 253-263 (2008).
  19. 이정아, 이진향, 배현주: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오 븐 사용 효과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7), 1064-1072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7.1064
  20. 김미희, 박은혜, 이영은: 경기도지역 학교급식 다기능오븐의 이용실태 및 영양(교)사와 조리사의 만족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9(4), 331-342 (2013). https://doi.org/10.9724/kfcs.2013.29.4.331
  21. 전은경, 배현주: 일부 경북지역 학교 급식시설.설비 위생 관리 수행도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1), 62-73 (2009).
  22. 윤종순, 김외숙, 황성연, 정윤경, 강근옥: 학교 급식 영양 사들의 급식 관리 현황 및 직무 수행도: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2), 256-264 (2009).
  23. 박정욱, 배지현: 대구지역 학교급식 시설.설비의 구비 및 위생관리 실태,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38, 27-39 (2012).
  24. 이경아, 류은순: 배식장소에 따른 부산 일부지역 중학생 의 급식만족도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2), 209-218 (2005). https://doi.org/10.3746/jkfn.2005.34.2.209
  25. 김선아, 이해창, 김은미, 이민아, 박지애, 김정원: 초등학교 교실 급식 환경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3), 321-326 (2007).
  26. 임희랑, 김학선: 학교급식에 대한 급식품질, 급식이미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배식형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9(5), 11-22 (2013).
  27. 김선희: 광주.전남지역 초등학교 영양사들의 HACCP시스템 적용현황에 따른 위생실천도와 장애요인 비교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2), 195-204 (2007).
  28. 신미혜, 윤종순, 강근옥: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들의 위생 의식 및 교육 수행 평가: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2), 301-309 (2009).
  29. 김해정, 유경민: 울산광역시 학교급식 조리 환경에 대한 조리사의 인지도 조사, 한국조리학회지 14(1), 94-106 (2008).
  30. 조연정, 김현아: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안전사고 실태 및 신체적 피로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9), 1482-1491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9.1482
  31. 김은미, 정미경: 초등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5(6), 809-814 (2006). https://doi.org/10.3746/JKFN.2006.35.6.809
  32. 배현주, 채미진, 정현아: 학교 급식소 위생관리에 대한 영양사와 학부모의 견해 비교 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3), 302-313 (2007).
  33. 한은희, 양향숙, 손희숙, 노정옥: 전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8), 1210-1218 (2005). https://doi.org/10.3746/jkfn.2005.34.8.1210
  34. 김은정, 최정화, 곽동경: 경기지역 학교급식에서의 S. aureus 오염도 파악을 위한 미생물 위해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3), 365-378 (2009).
  35. 김양숙, 문혜경: 학교급식의 가열조리후처리 음식 (오징어채소무침)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30(1), 51-63 (2014). https://doi.org/10.9724/kfcs.2014.30.1.051
  36. 홍완수, 임정미, 최영심: 서울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급식 종사자들의 위생관리 및 위생교육 실태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6(3), 252-262 (2010).
  37. 이슬기, 길복임: 경기 일부 지역 학교 급식 조리 종사자의 HACCP 교육이 위생 지식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7(5), 746-752 (2007).
  38. 엄영호: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관리 실태와 위생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6(3), 237-249 (2010).
  39. 송임숙, 채인숙: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HACCP 관련 지식 및 수행도 분석, 한국영양학회지 41(8), 870-886 (2008).
  40. 이혜연, 장혜원, 배현주: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 담당 위생관리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7(1), 21-31 (2011). https://doi.org/10.9724/kfcs.2011.27.1.021
  41. 안정미, 김현아: 경남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7), 1139-1147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7.1139
  42. 김소희: 부산지역 고등학교 학생과 급식종사자의 급식위 생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9), 1414-1426 (2005). https://doi.org/10.3746/jkfn.2005.34.9.1414
  43. 김정미, 이난희: 대구지역 초등학교 4, 5학년 대상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1(2), 213-220 (2012). https://doi.org/10.3746/jkfn.2012.41.2.213
  44. 최미화, 송승민, 이유현: 수원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급식 위생지식과 수행수준의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3), 311-322 (2010).
  45. 김명희, 신원선: 서울시 일부 중.고등학교의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7(10), 1343-1356 (2008). https://doi.org/10.3746/jkfn.2008.37.10.1343
  46. 신원선, 홍완수, 이경은: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급식용 식재료 및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한국식품영양 과학회지 37(3), 379-389 (2008).
  47. 이승주, 이승미: 경기지역 학교급식소에서 전처리 식재료 의 이용에 대한 실태 조사 및 중요도.수행도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2(5), 553-564 (2006).
  48. 강희윤, 정은희, 이승교: 학교급식 식재료로서 지역 농산물, 고품질농산물과 신선편이 채소의 이용현황과 필요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3), 397-411 (2009).
  49. 신미혜, 강근욱: 경기지역의 학교 급식 식재료 사용 현황 및 관리 직무 수행도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4), 592-600 (2008).
  50. 김윤화, 이연경: 학교급식 식재료 및 완제품 배송직원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한국영양학회지 44(1), 74-81 (2011).
  51. 김윤화, 이연경: 학교급식 식재료 제조.가공업체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10), 1535-1544 (2010).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1535
  52. 김윤화, 이연경: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2), 274-282 (2011). https://doi.org/10.3746/jkfn.2011.40.2.274
  53. 이경미, 류경: 서울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위생관리 실태 평가,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3(5), 650-663 (2007).
  54. 김혜경, 길진모: 광주.전남 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영양교사의 학교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및 만족도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5(3), 274-282 (2012).
  55. 성기현, 김현아, 정현영: 경상남도 일부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의 직무만족 요인 분석: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5), 808-817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5.808
  56. 진정희, 유정순, 장경자: 학교급식 영양교사와 영양사의 역할갈등,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 비교: 영양 교사와 영양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영양학회지 45(1), 64-79 (2012).
  57. 추윤정, 류시현. 윤지현: 초등학교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와 급식품질의 관계, 한국영양학회지 39(2), 192-200 (2006).
  58. 김준영, 이영은: 충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만족 및 몰입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6), 943-954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6.943
  59. 이옥, 조민주, 장혜자: 학교급식 직원의 고용유형에 따른 인적 자원 관리 활동에 대한 인식과 조직 몰입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1), 162-171 (2014). https://doi.org/10.3746/jkfn.2014.43.1.162
  60. 최기보, 신기정, 류은순: 부산 일부지역 학교 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5), 619-631 (2009).
  61. 김경미, 이심열: 서울.인천 지역 학교 영양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심리적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7(1), 143-151 (2007).
  62. 김현철, 백수현: 학교급식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조리학회지 17(2), 18-34 (2011).
  63. 경기도 교육청(2014): 2014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진단 컨설팅 보고서.
  64. Food Standard Agency (2014): Available from http://www.food.gov.uk/business-industry/caterers/training Accessed Dec. 18,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