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Fall Prevention Self Efficacy and Fall Prevention Health Belief on Fall Prevention Awareness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효능감과 낙상예방건강신념이 낙상예방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12.09
  • Accepted : 2015.02.05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all prevention awareness of care-giver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care-givers who worked at 7 different long term care hospitals which were located in D city and 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4 to August 2014. 20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out of 215 data which were collect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effects of care-givers' education level, certificate status, period of work experience and fall-related learning hours on their fall prevention awareness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among fall prevention health belief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isability, perceived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fall prevention awareness. Thirdly, while such factors as perceived benefit, perceived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fall prevention awareness, the period of work experience had negative effects. The regression model shows the power of explanation of 31.7 percent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a fine-tuned program to improve care-givers' fall prevention awareness in a way of promoting fall prevention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sensitivity while considering the care-givers' period of work experience.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였다. D광역시와 N시에 소재하는 7개 요양병원의 간병사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 215부 중 20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병원 간병사의 학력, 요양보호사 자격증 유무, 근무경력과 낙상관련 교육시간에 따른 낙상예방인지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낙상예방건강신념 중 지각된유익성, 지각된장애성, 지각된민감성과 낙상예방효능감은 낙상예방인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요양병원 간병사에게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한 결과, 정적영향요인은 지각된유익성, 낙상예방효능감, 지각된민감성, 부적영향요인은 근무경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낙상예상인지도에 대한 설명력은 31.7%였다. 이러한 결과로 요양병원 간병사의 낙상예방인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간병사의 근무경력에 따른 낙상예방효능감과 건강신념 중 지각된 유익성과 지각된 민감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극 모색해야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의료기관정책과, 요양병원 옥석 가린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2.11.30.
  2.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2.
  3. 오두남, 김선호, 정미영, "재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과 영향요인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358-36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358
  4. J. A. Stevens, R. K. Noonan, and L. Z. Rubenstein, "Older adult fall prevention: Perception, beliefs, and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Vol.4, No.1, pp.16-20, 2010. https://doi.org/10.1177/1559827609348350
  5. 최정실, 김지수, "보호자 없는 병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에 대한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403-4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403
  6. 정지영, 윤순영, "요양병원 간호인력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직접간호수행 정도 및 노인학대 인지도",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33-241, 2012.
  7. 신영석, 황도경, 남궁은하, 남궁은하, 윤석준, 정형선, 간병서비스 제도화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0-91.
  8. 국민권익위원회, 요양병원.의료기관에 있어서 간병서비스 건강보험 적용, 보건복지부, 2008.2.25.
  9. 신경림, 신수진, 김정선, 김진영, "낙상 예방프로그램이 저소득 여성노인의 낙상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예방행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1호, pp.104-112, 2005.
  10. 장현정,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낙상 예방행위 예측모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 정덕유, 김혜진, 변진이,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낙상관련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에관한 연구", 여성건강, 제14권, 제1호, pp.81-96, 2013.
  12. 김민숙, 김정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이 낙상관련 지식, 낙상관련부담감 및 낙상예방 돌봄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778-79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78
  13. 이인경, 최자윤,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55-62, 2013.
  14. 박민경, 김현영, "응급실 간호사의 건강신념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76-186,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2.176
  15. 조경아, 보호자 없는 병실에 근무하는 간병인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와 낙상 예방행위,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6. I. M. Rosenstock, "The health model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Health Education Monographs, Vol.2, pp.354-386, 1974. https://doi.org/10.1177/109019817400200405
  17. 문은숙, 이은숙,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지식, 건강신념, 골다공증성 골절예방행위간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47-156, 2010.
  18. K. Milisen, J. Coussement, H. Arnout, V. Vanlerberghe, L. de Paepe, and D. Schoevaerdts, et al.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practice guideline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multicenter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50, No.4, pp.495-507, 2013.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2.09.020
  19.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0. 길현희, 최정실,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간병업무 중요도, 지식정도와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5-65, 2012.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55
  21. P. C. Dykes, D. Carroll, K. McColgan, A. C. Hurley, S. R. Lipsitz, and L. Colombo, et al., "Scales for assessing self-efficacy of nurses and assistants for preventing falls," J Adv Nurs., Vol.67, No.2, pp.438-449, 2011.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501.x
  22. J. M. Morse, Preventing patient falls: Establishing a fall intervention program, 2nd ed. New York: Springer; 2009.
  23. 보건복지부 보험정책과, 포괄간호서비스 건강보험 적용 시범사업 추진계획 등,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4.10. 21.
  24. 김미선, 은영, "노인요양원 요양보호사의 낙상관련지식과 낙상예방돌봄행위",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1-18, 2014. https://doi.org/10.5953/JMJH.2014.21.1.11
  25. B. D. Carpenter, S. Balsis, P. G. Otilingam, P. K. Hanson, and M. Gatz,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The Gerontologist., Vol.49, No.2, pp.236-247, 2009. https://doi.org/10.1093/geront/gnp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