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Anger-Though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evels of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적대감 및 언어적 공격행동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의 비합리적 신념, 분노사고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 Received : 2015.01.06
  • Accepted : 2015.02.05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aggress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primary secondary anger though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evels of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268 middle school boys in Chungnam areas served as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hostility showed the most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lif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hostility nega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life, whereas verbal aggression positively predicted satisfaction with life. Factors of irrational belief,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Analyses of variances revealed that covert hostility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self-depreciation, disregard and disappointment in intimate relationship situation, hopelessness, whereas overt hostility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derogation of others/revenge. In addition, covert hostility group showed lower scores on satisfaction with life than other group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격성 요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의 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특히 내현적, 외현적 적대감 집단 간에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인 일차적 및 이차적 분노사고,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충남지역 남자 중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요인 중 적대감이 삶의 만족도와 가장 큰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대감을 통제한 후에는 언어적 공격행동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적대감은 삶의 만족도를 부적으로, 언어적 공격행동은 정적으로 예언하였다. 둘째, 비합리적 신념,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의 요인들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내현적 적대감 집단은 외현적 적대감 집단에 비해 자기비하,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 무력감 요인의 점수가 높은 반면, 외현적 적대감 집단은 내현적 적대감 집단보다 타인비난/보복 요인의 점수가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내현적 적대감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468782
  2. 홍명숙, 어주경,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제14권, 제6호, pp.3911-3928, 2013.
  3. R. Martin, D. Watson, and C. K. Wan, "A three-factor model of trait anger: Dimensions of affect, behavior, and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Vol.68, pp.869-987, 2000. https://doi.org/10.1111/1467-6494.00119
  4. 김교헌, 전겸구, "분노, 적개감 및 스트레스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권, 제1호, pp.79-95, 1997.
  5. 권혁남, "분노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 인간연구, 제19권, pp.77-105, 2010.
  6. J. Earley, 공격성, 상호작용중심의 집단상담, 2000.
  7. H. Kohut, 자기의 회복(이재훈 옮김), 1977.
  8. H. S. Pan, P. H. Neidig, and K. H. O'Leary, "Predicting mild and severe husband-to-wife physical aggress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2, pp.975-981, 1994. https://doi.org/10.1037/0022-006X.62.5.975
  9. 서수균, "공격성 및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1권, 제3호, pp.849-867, 2012.
  10. 서수균, "한국판 언어성 분노행동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6권, 제1호, pp.239-250, 2007.
  11. A. T. Beck, Prisoner of hate: The cognitive basis of anger, hostility, and violence, New York: Perennial, 2000.
  12. 서수균,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한국학술정보(주), 2005.
  13.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 조사, 2012.
  14. 길주현, 오경자, "자기애의 세부특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7권, 제4호, pp.911-924, 2008.
  15. A. Buss and M. Per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pp.452-459,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16. C. D. Spielberger, G. A. Jacobs, S. F. Russell, and R. J. Crane,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In J. N. Butcher & C. D. Spielberger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2, pp.161-190, Hillsdale, NJ:Erlbaum, 1983.
  17. C. D. Spielberger, E. H. Johnson, S. F. Russell, R. J. Crane, G. A. Jacobs, and T. J. Worde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M. A. Chesney & R. H. Rosenman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pp.5-30, Washington, DS: Hemisphere Publishing, 1985.
  18. R. W. Novaco,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pp.21-6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
  19. C. D. Spielberger and P. London, "Rage boomerangs," American Health, Vol.1, pp.52-56, 1982.
  20. 이홍, 김은정, "청소년의 공격성 하위유형에 따른 인지 및 정서 특성", 청소년연구, 제19권, 제1호, pp.227-250, 2012.
  21. F. Perls, R. F. Hefferline, and P. Goodman, Gestalt therapy, New York:Bentam, 1951.
  22. 고경희, 특성분노, 분노표현 양식과 비합리적 신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0.
  23. F. B. Douglas, "Anger and irrational beliefs in violent inmates,"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 Vol.12, pp.21-215, 1991. https://doi.org/10.1016/0191-8869(91)90128-X
  24. A. E. Ellis and R. C. Tafrate, How to control your anger before it controls you, New York: Citadel Press, 1997.
  25. 권정혜, "인지행동치료의 실제", 1993년도 한국심리학회 동계연수회 자료집, 1993.
  26. 조병삼, 최외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애착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모자화 반응특성", 미술치료연구, 제20권, 제4호, pp.689-709, 2013.
  27. M. L. Medls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ears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Vol.31, pp.457-454, 1976.
  28. W. Burr,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xts of marriage over family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Vol.32, pp.29-37, 1979.
  29. 권석만, 긍정심리학, 서울:학지사, 2008.
  30. E. Din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31.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제16권, 제2호, pp.61-94, 1994.
  32. H. Li and S. Wang, "The role of cognitive distortion in online game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Vol.35, pp.1468-1475, 2013.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3.05.021
  33. A. Deborah, Cognitive distortions in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in The Adler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1999.
  34. J. L. Deffenbacher and J. A. Hogg, "Irrational beliefs, depression, and anger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nel, Vol.27, pp.349-353, 1986.
  35. 이기재, 최해림,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및 비합리적 신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제30권, 제2호, pp.81-99, 2009.
  36. 조용래, 역기능적 신념과 부적응적인 자동적 사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98.
  37. A. T. Beck, G. Emery, and R. L. Greenberg, Anxiety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New York: Basic Books, 1985.
  38. R. R. DiGiuseppe, R. C. Tarate, and C. I. Eckhardt, "Critical issues in the treatment of anger,"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Vol.1, pp.111-132, 1994. https://doi.org/10.1016/S1077-7229(05)80089-6
  39. 서수균, 권석만,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1권, pp.487-501.
  40.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Guilford Press, 2010.
  41. E. Din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1985.
  42. L. Canter and M. Canter, Assertive Discipline for parents, Harper & Row Publishers, Inc,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