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른 집단적 교수효능감 및 융합교육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인식

Teacher's Perception towards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Barriers in the Integrative Education by Teaching Levels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 투고 : 2014.12.09
  • 심사 : 2015.02.10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라 융합교육에 대한 집단적 교수효능감과 장애요인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241명의 초 중등교사가 집단적 교수효능감 및 융합교육의 장애요인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른 집단적 교수효능감 및 융합교육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른 집단적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융합교육의 장애요인에 대한 교사인식은 소속 학교급 및 영재교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중등교사보다, 그리고 영재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융합교육을 교육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그 장애요인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현장정착을 위하여 소속 학교급과 영재교육 경험에 따라 고려해야 할 점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explored teacher's perception towards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barriers in the integrative education by teaching levels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A total of 241 teachers answered the collective teacher efficacy scale and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barriers in the integrative education, which responses were analyzed by teaching levels (elementary/secondary level)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yes/no) in using the ANOVAs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collective teaching efficacy by teachers levels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towards barriers in the integrative education by teaching levels and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For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e reasons, which based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ields and suggested the supportive ways in promoting for the successful application and settlement of the integrative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연, 이재호, 진석언(2011). 수.과학 영재학생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3), 469-481.
  2. 권혁수, 이효녕(2008). 과학, 기술, 공학, 그리고 수학(STEM) 교육에서 동기유발: 메타 분석적 접근. 중등교육연구, 56(3), 125-148.
  3. 교육부(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서울: 교육부.
  4. 금영충, 배선아(2012).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2), 57-75.
  5. 김남희, 한화정, 홍보라, 심규철(2012). 고등학교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 관련 학습 내용에 관한 과학융합요소와 STEAM 요소 분석 및 '과학' 과목의 '생명과학 I', '생명과학 II'와의 연계성. 생물교육, 40(1), 121-131.
  6. 김미진(2003).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아영, 김미진(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1), 37-58.
  8. 김재혁(2001). 초등영어 교사 연수의 효과. 초등영어교육, 7(1), 103-129.
  9.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10. 김진영(2012). 생명과학 중심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나장함(2004).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구. 교육과정연구, 22(1), 101-104.
  12. 미래창조과학부(2013a). 27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융합인재 양성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 2013.5.23.
  13. 미래창조과학부(2013b).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14. 박미현(2004). 과학 교사의 전공과 비전공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수업의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병열, 이효녕(2014). 중등 과학 영재학생들이 시스템 사고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3), 421-444. https://doi.org/10.9722/JGTE.2014.24.3.421
  16. 박정주(2010a). 집단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개인 및 학교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8(4), 21-41.
  17. 박정주(2010b). 집단적 교사효능감, 개인적 교사효능감, 교사몰입 간 관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29(4), 285-303.
  18. 방담이(2011). 학문 통합적 유비를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대학교 화학 실험 수업전략의 개발 및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배선아(2011).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서예원, 이재분, 유경재, 정영옥, 빅지은, 이경숙, 채현정, 신민, 김수겸, 강윤정, 이균호(2012).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22. 손준호, 김종희(2014). 코티칭을 활용한 과학기반 STEAM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포스터(p-08), 66, 72.
  23. 송정범, 이태욱(2011).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5(1), 11-22.
  24.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4), 514-523.
  25. 안혜령(2011). 통합교육과 STEAM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우정주(2013). STEAM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경민, 최일선(2010). 통합교육과정의 효과적 운영. 서울: 학지사.
  28. 이미순(2006). 소외 영재교사의 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지각분석. 한국교육, 33(4), 97-120.
  29. 이미순(2010). 영재교사의 스트레스가 영재교육 지속여부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7(3), 419-436.
  30. 이미순(2013). 융합교육의 장애요소가 융합교육의 미래 적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0(4), 259-278.
  31. 이미순(2014a).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성공지능교수효능감과 집단적 교수효능감의 분석. 중등교육연구, 62(1), 93-116.
  32. 이미순(2014b). 융합교육 연수경험과 수업적용 여부가 융합교육과정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2(1), 251-271.
  33. 이미순, 조석희, 이현주(2006). 소외 영재 교사의 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지각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4. 이영만, 홍영기(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35. 이영은(2012). 창의적 설계와 과학탐구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은숙(2012).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재호(2011).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5(3), 459-467.
  38. 이재호(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6(1), 123-130.
  39. 이지원, 박혜정, 김중복(2013). 융합인재교육(STEAM) 연수를 통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현장적용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32(1), 47-59.
  40. 이효녕, 권혁수, 김미랑, 김용기, 남정철, 박경숙, 박병열, 서보현, 손동일, 오영재, 오희진, 이성수, 이영은, 전재돈, 정현일, 조현준, 한인기(2012).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융합인재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한 I-STEAM 교육 프로그램. 서울: 북스힐.
  41. 이효녕, 김승환(2009). 과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시스템에 대한 인지 특성. 과학교육연구지, 33(1), 12-30.
  42.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2(1), 30-45.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30
  43. 임유나(2012).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25(4), 55-80.
  44. 장현진(2012). 융합교육(STEAM)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정혜미(2011). 고등학교 과학, 화학 I, 화학 II 중심의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은영(2011).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연구: 고등학교 과학과목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조정화(2012).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교과의 운영 실태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태진미(2011).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https://doi.org/10.9722/JGTE.2011.21.4.1011
  49. 한국교육개발원(2012). 영재를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0. 한대동(2008). 수업과 교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학교혁신 사례연구. 비교교육연구, 18(1), 141-169.
  51. 한혜숙, 이화정(2012). STEAM교육을 실행한 교사들의 STEAM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수, 12(3), 573-603.
  52. 홍성우(2013).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영재교사의 인식과 영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초등학교 과학영재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Apedoe, X. S., Reynolds, B., Ellefson, M. R., & Schunn, C. D.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 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5), 454-465. https://doi.org/10.1007/s10956-008-9114-6
  54. Armor, D., Conroy-Oseguera, P., Cox, M., King, N., McDonnell, L., Pascal, A., Pauly, E., & Zellman, G. (1976). Analysis of the school preferred reading programs in selected Los Angeles minority schools. REPORT NO. R-2007- LAUSD.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130 243).
  55. Bailey, K., Bergthold, B., Braunstein, B., Fleischman, N., Holbrook, M., Tuman, J., Waissbluth, X., & Zambo, L. (1996). The language learner's autobiography: Examining the "apprenticeship of observation. In D. Freeman & J. Richards (eds.). Teacher learning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57. Berman, P., McLaughlin, M., Bass, G., Pauly, E., & Zellman, G. (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VII: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Report No. R-1589/7-HEW). Santa Monica, CA: The Rand Corpor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140 432).
  58. Brown, R., Brown, J., Reardon, K., & Merrill, C. (2011). Understanding STEM: Current perceptions.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6), 5-9.
  59. Chang, K. (2003). Using diaries as a reflective tool on an English writing teacher training course. Foreign Language Education, 10(3), 113-136.
  60. Drake, S. M., & Burns, R. C. (2004). Integrated curriculum.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61. Frazier, W., & Sterling, D. (2008). Motor mania: Rewing up for technological design. The Technology Teacher 67(5), 5-12.
  62.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4), 569-582.
  63. Goddard, R. D. (2001). Collective efficacy: A neglected construct in the study of school of schools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3), 467-476. https://doi.org/10.1037/0022-0663.93.3.467
  64. Goddard, R. D., Hoy, W. K., & Woolfolk-Hoy, A. (2000). Collective teacher efficacy: It meaning, measure, and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2), 479-507. https://doi.org/10.3102/00028312037002479
  65. Goh, C. (1999). Nationwide curriculum innovation: How do we manage?. In C. Kennedy, P. Doyle, & C. Goh (eds.), Exploring chang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Oxford: Macmillan Heinemann.
  66. Pinar, K. (1999). Introducing new course materials. In C. Kennedy, P. Doyle, & C. Goh (eds.), Exploring chang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Oxford: Macmillan Heinemann.
  67. Richards, J., & Ho, B. (1998). Reflective thinking through journal writing. In J. C. Richards, Beyond train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Root-Bernstein, R., & Root-Bernstein, M. (1999). Sparks of genius: The thirteen thinking tools of the world's most creative people. Boston: Houghton Mifflin.
  69. Routman, R. (1991). Invitations: Changing as teachers and learners K-12. Portsmouth, NH: Heinemann.
  70. Schwarzer, R., & Hallum, S. (2008). Perceived teacher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job stress and burnout: Mediation analyse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Special Issue: Health and Well-Being, 57, 152-171.
  71. Tschannen-Moran, M., Woolfolk-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2), 202-248. https://doi.org/10.3102/00346543068002202
  72. Wallace, M. J. (1991). Training foreign language teacher: A reflective approa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Wender, I. (2004). Relation of technology, science, self-concept, interest, and gender. Journal of Technology Studies, 30(3), 4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