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Certification for Green Building Revitalization in School - Focused on th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

학교시설의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인증현황 분석 연구 - 경기도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

  • 김장영 (경기도교육청 시설과) ;
  • 김성중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기획관리국) ;
  • 이승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 Received : 2015.10.27
  • Accepted : 2015.12.2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In this paper, there are several analysis on G-SEED,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Energy Performance Index, Energy Saving Plan about how they are applied by classification and planning standard. The analysis result found out that G-SEED has low select percentage by having difficulties to managing and additional cost when the each class is selected. And also, Building Energy Efficiency Rating System in school is planed in comparably simple design and similar size and also mostly uses high efficient machines, which was in high lever comparing to the system in facilities in other uses. In the case of EPI, there are differences on acquiring grades by each region. Especially, Gyung-gi region has a low grade on architecture part comparing to other parts, which seems to acquire more grades by strengthen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result from the three standards, many facilities has only formal plan to pass the required standard without considering specialities of each buildings, which has a tendency to have a pattern to have a minimum criteria. However, School has a symbolic building which has a obligation to be the base of the aim for growing green energy buildings and green education for students. Therefore, planning with understanding of specialities of the facility, having various and rational evaluation standards from the planning of the building is necessary.

본 논문에서는 경기지역을 대상으로 학교시설의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검증 기준인 녹색건축인증,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에너지절약계획에 대한 항목별 적용 여부 및 계획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녹색건축인증은 항목 채택 시 추가 비용이 들어가는 항목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항목은 채택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에너지효율등급은 학교시설 특성상 비교적 단순한 형태와 일정한 규모로 계획되고 고효율기자재 사용비율이 높아 다른 용도의 건축물에 비해 높은 등급을 보였다. 그리고 에너지성능지표(EPI)의 경우 지역별로 부문별 취득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경기지역의 경우 타 부문 대비 건축부문에 대한 적용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단열성능 강화 시 보다 높은 점수를 취득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가지 기준에 대한 분석결과, 다수의 시설이 학교가 취득해야 하는 의무 획득 기준에만 맞춘 형식적인 계획으로 인해 건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 획득 항목에만 맞춰 최소한의 기준만 만족하여 계획하는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학교시설은 녹색건축물의 확대라는 목표와 더불어 학생들의 녹색교육을 위한 토대가 되어야 하는 의무를 지닌 상징적인 건축물이다. 따라서 시설의 특성을 파악하고 건축물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다양하고 합리적인 평가항목 적용이 이루어지도록 고려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법률 제 12703호, 2014.5.28., 일부개정), 2014
  2. 산업통상자원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5-195호, 2015.9.9., 일부개정), 2015
  3. 국토교통부, 환경부, 녹색건축 인증기준(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705호, 환경부 고시 제2014-213호), 2014
  4. 국토교통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기준, 2013
  5. 국토교통부, 에너지관리공단,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해설서, 2015
  6. 김정숙, 남영숙, 초중고등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학교시설 개선 방안 연구, (사)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

Cited by

  1. Analysis of the Primary Building Materials in Support of G-SEED Life Cycle Assessment in South Korea vol.10, pp.8, 2018, https://doi.org/10.3390/su10082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