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ental Perception on the Mechanism of Child Development and Importance of Education

속담에 나타난 아동발달 기제와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 Received : 2014.12.16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Korean parents' perception on nature versus nurture and to examine the dualism in the mechanism of human development. For this goal, the present study used the Korean proverbs about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as a measurement scale for developmental values. This study 1) examined the degree of agreement on the proverbs, 2)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agreement as the subjec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3) compared agreement scores as the topic of proverb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08 parents. As the first result, the agreement scores between nature and nurture proverbs were very similar, whereas the agreement sco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proverbs was relatively higher.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related socio-economic variables as the topic of proverbs.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had some different beliefs in the nurture as their age and i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s their sex.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reement scores of nature and nurture proverbs. From these results, it seems that the interactionism between nature and nurture is generally accepted by Korean parents, and child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belief.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들이 인간발달에 있어서의 주요 논쟁점인 선천론 대 후천론에 대해 모두 동의하는 이중적 가치관을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아동발달 및 교육과 관련된 속담 15개를 선정하여 그 뜻에 대한 동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녀양육 경험이 있는 부모 608명이었다. 주요 결과로 첫째, 선천론과 후천론 속담의 동의정도는 유사한 점수분포를 보였고, 교육의 중요성 속담은 상대적으로 높은 동의 점수를 보였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선천론 속담은 연령, 학력, 자녀수에서, 후천론 속담은 연령에서만, 그리고 교육의 중요성 속담은 성별, 학력, 자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선천론과 후천론 속담에 대한 동의도의 차이검정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들은 발달의 기제에 대해 선천론 및 후천론의 상호작용적 관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발달기제에 대한 신념에 관계없이 교육이 매우 중요한 가치로 인식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란혜, 이미정 (2011).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지지. 한국생활과학회지, 20(5), 941-953. https://doi.org/10.5934/KJHE.2011.20.5.941
  2. 강소정, 조병은 (2013).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성교육이 중학생의 건강한 성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5(1), 15-36.
  3. 고영복 (2004). 속담속의 인간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 출판부.
  4. 국가통계포탈 (2014). http://www.kosis.kr.
  5. 김경랑 (2013). 문화, 문학: 한국과 알제리 속담에 나타난 전통 여성관 비교. 비교문화연구, 30, 53-71.
  6. 김경신 (2002).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 한국노년학연구, 11. 63-86.
  7. 김경신 (2010). 한국여성과 재미한인여성의 가족가치관 비교연구 - 코호트 및 개인사 분석을 통한 지속과 변화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271-296.
  8. 김나영 (2011). 미혼남녀의 출산관련 가치관과 이상적인 자녀수의 인과관계. 사회과학연구논총, 26, 5-24.
  9. 김미진 (2008). 제주도 여성속담의 이중성. 영주어문, 16, 43-66.
  10. 김송교 (1999). 속담에 나타난 가치관의 비교 : 가난에 나타난 한영간의 가치관. 영어영문학, 18(2), 81-101.
  11. 김영미, 한상훈 (2014). 중년기 남녀의 가족기능 및 가족가치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논총, 35(2), 79-100.
  12. 김영옥, 백혜리 (2000). 조선시대 아동 양육방법에 관한 문헌적 탐구. 중앙유아교육학회지, 4(1), 5-25.
  13. 김은주, 서영희, 임재택 (2006). 한국 속담에 나타난 전통 아동교육관 연구. 아동교육, 15(4), 37-55.
  14. 김혜환, 김태헌 (2008). 저출산 시대의 가족가치관과 교육적 대응. 인구교육, 1(1), 21-35.
  15. 김희섭, 이경화 (2007). 속담을 통해 본 제주의 전통적 자녀양육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303-323.
  16. 남정은 (2013).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 441-460.
  17. 박수빈, 김희화 (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과 자녀가치관 간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5), 79-89. https://doi.org/10.6115/khea.2012.50.5.079
  18. 방운규 (2004). 여성 관련 속담에 나타난 한국인의 의식구조. 겨레어문학, 32, 51-83.
  19. 백주희 (2009). 가족가치관과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학적 변인: 국제비교 분석.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7(3), 239-251.
  20. 변주수, 진미정 (2008). 가족가치관과 돌봄노동지원정책 욕구의 관련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259-277.
  21. 성한기, 손영화 (2007). 기혼 여성의 성가치관이 결혼 만족, 혼외관계 의도 및 이혼 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2), 175-196.
  22. 송재선 (2010). 우리말 속담 큰 사전. 서울: 교육출판공학사.
  23. 신수진, 최준식 (2002).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24. 심영 (2006). 속담에 나타난 소비가치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소비문화 연구: 바람직한 한국 소비문화정립의 기초. 소비자학연구, 17(2), 85-113.
  25. 심형진 (2013). 한국사상 철학 : 속담을 통해서 본 교육관 분석과 그 활용 방안. 한국사상과 문화, 66, 185-205.
  26. 어윤경 (2010). 진로상담: 전공-직무 일치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직무만족도 변화 추이. 상담학연구, 11(2), 721-738.
  27. 오혜진, 주경란 (2004). 유치원아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교육관에 대한 세대 간 비교연구. 아동교육, 13(2), 165-183.
  28. 우성령 (1981). 속담을 통해 본 한국인의 교육관. 교육논총, 1, 1078-1108.
  29. 윤상우, 김상돈 (2010). 사회병리적 Agenda: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6(1), 91-117.
  30. 이기문, 조남호 (2014). 속담 사전 (3판), 서울: 일조각.
  31. 이병래, 엄은나 (2008). 어머니와 예비 어머니의 부모관 및 자녀관. 유아교육학논집, 12(3), 175-194.
  32. 이사라, 이주연, 박민선, 송승민, 박선영 (2013). 영아발달. 서울: 파워북.
  33. 이하배(2001). 우리 속담에 나타난 성차별의 사회화: 유교적 사회화와의 관련 속에서. 한독사회과학논총, 11, 185-207.
  34. 임희섭 (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 나남출판.
  35. 조복희, 안선희, 이영환, 이진숙 (1998). 한국 부모-자녀관계 속담에 대한 동의도와 가족환경 및 가족가치관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8), 105-123.
  36. 조복희, 이주연, 이영환 (2009). 속담을 통해서 본 조선족의 부모-자녀 관계 가치관. 대한가정학회지, 47(8), 37-51.
  37. 조복희, 이진숙 (1998). 한국 부모 관련 속담의 분류 및 이에 대한 인식도. 아동학회지, 19(1), 5-26.
  38. 조복희, 한유미 (2008). 속담을 통해 본 한국인의 자녀의 가치와 양육의 어려움에 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85-93.
  39. 조성남, 윤옥경 (2000). 가치관과 행위양식의 세대간 차이와 유사성. 사회과학연구논총, 5, 103-135.
  40. 조평환, 이종호 (2008). 우리 말 속담사전. 서울: 파미르.
  41. 최근학 (1990). 한국 속담사전(개정 2판), 서울: 문화 출판공사.
  42. 최인영, 최혜경 (2009).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81-109.
  4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울: 일조각.
  44. 한민, 최인철, 김범준, 이훈진 (2012). 한국 대학생의 성차: 정서, 사고방식, 가치관을 중심으로. 조사연구, 13(3), 33-62.
  45. 홍은실 (2007). 대학생의 재정에 대한 지식과 가치관에 관한 연구: 지식과 가치관에 따른 유형분류 및 재정적 특성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89-106.
  46. Allport, G. W., & Vernon, P. E. (1951). The study of values manual. Boston: Hughton Mifflin.
  47. Collins, W. A., Maccoby, E. E., Steinberg, L., Hetherington, E. M., & Bornstein, M. H. (2000). Contemporary research on parenting: The case for nature and nurture. American Psychologist, 55(2), 218-232. https://doi.org/10.1037/0003-066X.55.2.218
  48. Collins, W. A., Maccoby, E. E., Steinberg, L., Hetherington, E. M., & Bornstein, M. H. (2001). Toward nature with nurture. American Psychologist, 56(2), 171-173.
  49. Gibbs, R. W., & Beitel, D. (1995). What proverb understanding reveals about how people think. Psychological Bulletin, 118, 133-154. https://doi.org/10.1037/0033-2909.118.1.133
  50. Gottesman, I. I. (1963). Genetic aspects of intelligent behavior. In N. R. Eillis (Ed.), Handbook of mental deficiency (pp. 253-295). NY: McGraw-Hill.
  51. Mieder, W. (1985). A proverb is a short sentence of wisdom. Provervium, 2, 109-143.
  52. Nippold, M. A. (1998).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e school-age and adolescent years(2nd Ed.). Austin, TX: Pro-Ed.
  53. Papalia, D. E., Olds, S. W., & Feldman, R. D. (2006). A child's world: Infancy through adolescence. NY: McGraw Hill.
  54. Rutter, M. (2002). Nature, nurture and development: From evangelism through science toward policy and practice. Child Development, 73(1), 1-21. https://doi.org/10.1111/1467-8624.00388
  55. Scarr, S., & Weinberg, R. A. (1983). The Minnesota adoption studies: Genetic diffenrences and malleability. Child Development, 54(2), 260-267. https://doi.org/10.2307/1129689
  56. Shaffer, D. R., & Kipp, K. (2010). Developmental psychology. Belmont, CA: Wadsworth.
  57. Shonkoff, J. P., & Phippips, D. (2000, Eds.), From neruons to neighborhoods: The science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y Press.
  58. Voland, E. (2000). Nature or nurture? - The debate of the century, a category error, and the illuminating impact of evolutionary psychology. European Psychologist, 5(3), 191-201. https://doi.org/10.1027//1016-9040.5.3.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