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창의성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Creativity Elements on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the Ages of 3-5

  • 이미란 (동양대학교 유아교육과) ;
  • 천희영 (고신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송영주 (계명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14.12.15
  • 심사 : 2015.02.03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에서 창의성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창의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지도서의 1883개 활동을 대상으로 하여 지도서의 연령, 생활주제, 활동유형, 누리과정의 영역에 따른 창의성 요소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지도서 활동 중 창의성 관련 활동은 89%이었으며 3세, 4세, 5세 지도서 순으로 창의성 활동 비율이 높았다. 둘째, 지도서 활동은 인지적, 성향적, 동기적 창의성 요소의 순으로 많이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창의성 요소는 생활주제 '생활도구'에서 가장 많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가장 적게 포함되었다. 넷째, 창의성 요소는 자유선택활동 보다 대 소집단활동으로 더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누리과정 영역 중 자연탐구, 사회관계, 의사소통, 예술경험, 신체운동 건강의 순으로 창의성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효율적 창의성 교육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ndencies and general distributive features of creativity elements on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for the ages of 3-5. This was done by analysis of 1,883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teachers' guide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creativity element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ity was 95.1% for the age of three, 93.1% for the age of four, and 78.6% for the age of five. Second, the most common creativity element was cognitive element and the next was motivational element, and the least was dispositional element. Third, regarding themes, the frequency of creativity elements was highest in 'tools for living', and lowest in 'countries of the world'. Fourth, the creativity element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group activities rather than free choice activities. Last, the frequency of creativity elements was highest in nature exploration, and was followed by social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practicing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유아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3a). 3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0.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2013b).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1.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3c).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정.보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7. 교육과학기술부.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한국의 다빈치 교육, 융합인재교육(STEAM) 2011년 성과 발표회 자료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8. 권유선, 김민정, 최혜진 (2011).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2), 187-212.
  9. 금민선 (2004).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활용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금민선, 홍용희 (2003).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활용실태. 교육과학연구, 34(3), 19-40.
  11. 김남희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언어생활 관련 활동 비교 분석. 광주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선아 (1998). 유치원에서의 창의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수 운영 실제 및 요구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숙자, 우신욱 (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환경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1), 365-386.
  14. 김윤희 (2014). 유아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수경 (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수학적 기초 능력 기르기'와 관련한 활동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아청 (2002).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7. 박찬옥, 정미자, 김영옥 (1997). 제 5차 유치원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의 적절성 평가 연구. 유아교육연구, 17(2), 27-53.
  18. 배성옥 (2013). 5세 누리과정 교육내용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목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배효정 (2014).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현황 및 창의성 교육에서의 교사역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손미이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방법. 육아지원연구, 4(1), 133-152.
  21. 송규운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1), 39-54.
  22. 송지선 (2010).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사회생활 영역 관련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안정숙 (2008).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인식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안혜정 (2013). '5세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 및 지도서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양지애, 이영애 (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1(1), 203-227.
  26. 오현주 (2010). 유치원 지도서의 과학 교육활동 분석: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윤기영 (2006).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 통일교육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319-338.
  28. 이경수 (2013). 누리과정 3-4세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과정 관련내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순자, 김진화 (2014).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471-505.
  30. 장휘숙 (1981). 유치원 유아의 창조성 개발을 위한 실험적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전경원 (2012). 유아창의성교육. 서울: 학지사.
  32. 정선화 (2011). 유아 창의성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및 가족기능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여옥, 이경화 (2009).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전래동화 활용 문학 활동의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9(1), 75-94.
  34. 조석희, 호사라, 전재현 (2005).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프로그램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5. 조연순, 정지은 (2012). 국내 창의성 교육 연구 동향분석: 창의성의 범주 및 수준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2), 333-352.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33
  36. 창의인재기획실 (2009). 국내외 수학.과학 및 창의교육 전력동향 및 교육사례 조사 분석.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7. 최아영 (2013). 교육과정 관련 내용 및 구성방향에 따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태성란, 황혜정 (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253-272.
  39.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총론적 고찰.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40. 현금자 (2012).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내용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현상원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홍소영, 이종승 (2009). 유아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359-381.
  43. 황해익, 서보순 (2010).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유아교육연구, 30(3), 117-140.
  44. Amabile, T. M. (1998).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창의성과 동기유발(전경원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1989).
  45. Beghetto, R. A., & Kaufman, J. C. (2007).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of for "mini-c"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2), 73-79.
  46. Csiikszentmihalyi, M. (2003).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창의성의 즐거움(노혜숙 옮김). 서울: 북로드(원판 1996).
  47.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313-335).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Dababneha, K., Ihmeideha, F. M., & Al-Omarib, A. A. (2010). Promoting kindergarten children's creativity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Jorda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9), 1165-1184. https://doi.org/10.1080/03004430902872950
  49. Dacey, J. S. (199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cross the lifespan. In G. J. Puccio & M. C. Murdock (Eds.), Creativity assesment: Reading and resources (pp.323-345). Buffalo, NY: CEF Press.
  50.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https://doi.org/10.1037/a0013688
  51. Rhodes, M. (1961). Analysis of creativity. Phi Delta Kappan, 42(7), 305-310.
  52. Runco, M. A. (2010). Educational based on parsimonious theory of creativity. In R. A. Beghetto, & J. C. Kaufman (Eds.),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235-251).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Sawyer, R. K. (2003). Emergence in creativity and development. In K. R. Sawyer (Ed.), Creativity and development (pp.91-138). UK: Oxford University Press.
  54. Starko, A. J. (2005).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3rd ed.). Mahwah,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Torrance, E. P. (1975). Creativity research in education: Still alive.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pp.278-296). Chicago, IL: Aldine Publishing Company.
  56. Torrance. E. P. (1979). The search for satori and creativity. Buffalo, NY: Creativity Education Foundation.
  57. Urban, K. K. (1990). Recent tren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in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for High Ability, 1(1), 99-113.

피인용 문헌

  1. 명화 패러디를 활용한 유아미술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명화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vol.12, pp.3,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