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지도성 유형 및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A Study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Director's Leadership Style and Type of Decision-making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 민혜영 (경인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14.10.14
  • 심사 : 2015.02.03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연구해봄으로써 보다 질 높은 보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의사결정 유형의 영향력을 검토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원장의 지도성 유형및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부분 가장 긍정적인 지도성 유형인 효율형일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의 경우도 가장 이상적인 유형인 참여형 의사결정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모든 하위 요소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긍정적인 지도성과 민주적인 참여적 의사결정 과정을 선호하는 원장의 경우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주어 어린이집의 질적 발전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directors' leadership style and the type of decision-making on improving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which is essential to operate high-quality nursing.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184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for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eriori tes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recognition of directors'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exist in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adership and decision-making of directors as recognized by the teachers. The score of child care teachers' self-development, work, welfare & social stabilit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it the highest when directors' leadership type was efficiency-centered. Similarly,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type, which is the most ideal type, scored the highest in all sub-components of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directors' type of decision-making. This implies that the directors who prefer positive leadership and democratic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type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which will positively affect the child care centers' qualitative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어대사전 (2014). 이희승 편저. 민중서림.
  2. 권영미 (2014).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사회적지지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영자 (2009).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근희 (2007). 보육시설유형과 처우개선비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명수 (2011).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정 (2001).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정도와 교사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애자 (2005). 유아교육기관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연옥 (2012). 유아교사의 소진 척도 개발과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옥련 (1977). 유치원 경영관리. 서울: 교육과학사.
  10. 김인자 (2008). 어린이집 시설장 리더십이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정휘 (1994).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혜정 (2006).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 시설장과의 인간관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나진 (1985).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역할 갈등 및 역할모호성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노완호 (1996).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노종희 (2001). 교원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 연구, 19(2), 163-181.
  16. 박경화 (2011).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선화 (2012).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영화 (2006). 교사 직무스트레스와 시설장 리더십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옥숙 (2011).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분석.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유미 (2012). 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인희 (2010).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박진희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손지연 (2007). 학교장의 의사소통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손태기 (2007). 학교장의 의사결정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양인자 (2010). 보육교사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윤미정 (2011).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윤정란 (2005). 보육시설장의 리더십 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30.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이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순옥 (2000). 어린이집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분석. 천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임정원 (1998).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역할 갈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정태범 (1994). 교육행정학. 서울: 정민사.
  35. 조은주 (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민좌 (2001).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한인자 (2005).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한현지, 서영숙 (2013). 어린이집 운영관리 과정에 나타난 원장의 의사결정.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147-169.
  39. 홍원식 (2000). 학교장의 의사결정유형과 교사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황병숙 (2005).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Bently, R. R., & Rempel, A. M. (1972). Manual for the Purdue teacher opinionative. West Lafayette, Indiana: Univ. Book store.
  42. Bolger, N., & Amarel, D. (2007). Effects of social support visibility on adjustment to stress: Experimental evidence. Source Department of Psychology. Columbia university, NY, USA.
  43. Chi, H., Lan, C., & Battogtokh, D. (2012).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knowledg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cial Behavior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40(6), 1015-1024. https://doi.org/10.2224/sbp.2012.40.6.1015
  44. Gardner, J. W. (1990). On leadership. NY: The free press.
  45. Gasser, D. T. (1985). A survey of the sources of role, task and environmental stress of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6(6), December, 1457.
  46. Halpin, A. W. (1966). Theory and research in administration. NY: MacMillan.
  47. Hersey, P., & Blanchard, K. H. (1982).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48. Jord-Bloom, P. (1989).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https://doi.org/10.1080/02568548809594933
  49. Lampe, S. E. (1997). Shared decision making in schools: Effect on teacher efficacy. Education: Indianapolis, 118(1), 150-157.
  50. Nanus, B. (1992). Visionary leadership: Creating a compelling sense of direction for your organiz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51. Nissly, J. A., Mor Barak, M. E., & Levin, A. (2005). Stress, social support and workers' intentions to leave their jobs in public child welfare.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9(1), 79-100. https://doi.org/10.1300/J147v29n01_06
  52. Pope, S., & Stremmel, A. (1992).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Child Youth Care Forum, 21(1), 39-54. https://doi.org/10.1007/BF00757347
  53. Vroom, V. H., & Jago, A. G. (1988). The new leadership. Engelwood Cliffs, NJ: Prentice-Hall.
  54. Yukl, G. A. (2002). Leadership in organizations (5th ed.) NJ: Prentice Hall.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Image of educare Infa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rincipals of Pre-service Teacher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cus on before and after educare practice vol.27, pp.3, 2015, https://doi.org/10.21024/pnuedi.27.3.201709.43
  2.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5,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