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 for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Uninhabited Islands : A Cas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무인도서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소고 -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사례로 -

  • Seo, Jong 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Shin, Young Ho (BK21+ 4-Zero Land Space Creation Group,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서종철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 신영호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BK21+ 4-Zero지향 국토공간창조사업단)
  • Received : 2015.05.06
  • Accepted : 2015.05.23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We sugges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scheme of uninhabited island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for efficient management. Islands (seom) and reefs (yeo) were classified based on approximate HHW. Uninhabited islands were categorized into vegetated islands and rocky islands depending on presence of woody vegetation cover for physical geographic and ecological value and importance. Reefs were also divided into an underwater reef and a reef which covers and uncovers based on approximate LLW. We excluded those area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main land by waterbody even though it is in approx. HHW from islands. We considered several divided areas which adjoin geographically and ecologically one another under the condition of approx. LLW as an island. By using above schemes, we categorized 50 uninhabited island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into three groups; 24 vegetated islands, 14 rocky islands, and 12 reefs. If the public institutions adopt these schemes as national standards, it will be useful in managing uninhabited islands nationwide.

태안해안국립공원에 포함된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무인도서 관련 용어의 정의를 제시하고 유형을 분류하였다. 무인도서를 규정하는 만조의 기준을 약최고고조위로 구체화하였고 만조 시에 잠기는 개체는 여로 구분하였다. 무인도서는 지리적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목본 식생의 정착 여부에 따라 무인도와 돌섬으로 구분하였다. 여는 약최저저조위를 기준으로 수중여와 간출여로 구분하였다. 만조 시에도 바다로 둘러싸이지 않는 경우는 무인도서에서 배제하였고, 간조 시에 지형적 생태적으로 연결되는 여러 개의 개체는 하나의 무인도서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활용하여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무인도서를 24개의 무인도와 14개의 돌섬, 12개의 여로 재분류하여 총 50개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을 전국의 무인도서에 확대해 적용한다면 무인도서를 관리하는 공공기관에서 도서분류의 국가표준을 마련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