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 대중국 FDI의 공간적 패턴 변화(1988~2013)

The Spatial Pattern Change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FDI on China (1988~2013)

  • 이정윤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Lee, Jung-Yo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Commer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5.01.20
  • 심사 : 2015.02.16
  • 발행 : 2015.02.28

초록

제조업 해외직접투자(FDI)는 주로 투자 대상국에 생산법인을 설립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결국 본국과 긴밀히 연계된 해외 공급사슬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생산체계 통합 및 국제물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조업 FDI의 공간적 패턴과 그 변화 추이를 연구하는 것은 글로벌 생산시스템과 국제물류 체계를 이해하는 단초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 해외직접투자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중국을 사례로 총 16,700개 해외생산법인에 대한 투자 추이를 시기별, 지역(성 시)별로 분석함으로써, FDI를 통해 한 중 제조업 공급사슬의 지리적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관련 투자 패턴의 공간적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대중국 제조업 FDI는 시기별, 지역별로 매우 차별적인 양상을 보이는데, 투자 초기에는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해안 지역이 가장 중요한 투자대상이었으나, 이후 우리나라와 멀리 떨어진 해안 및 내륙지역에 대한 투자가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금번 성과를 국내 모기업 입지 및 산업특성과 연결하여 분석한다면, FDI에 기반한 역내 제조업 공급사슬 구축 패턴과 관련 국제물류 연구에 더욱 풍성한 논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anufacturing FDI is mainly conducted by establishing production firms in the host country. The foreign branch facilities which are closely connected to headquarters in the home countries through the global supply chain have decisive effects on the integration of global production system and on the pattern changes in international logistics. Therefor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supply chain through FDI can be the key factor to understand the global production and international logistics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direct investments in China by Korean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s. The results show a great deal of differential in periods and regions in investment. At the early period of Korean manufacturing FDI, the coast provinces in China which are adjacent to Korean peninsula were main investment target regions. However recently, coastal and inland provinces far away from Korea have been important for attracting Korean manufacturing capital. If further affiliated studies a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more beneficial to understand the logistics flows of regional supply chain based on the manufacturing FDI.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