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순자, 김용구, 정인철, 임근광 (2006). 수학영재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1), 41-55.
- 강승호 (1992) 학습자의 학년수준과 성별에 따른 정의적 특성 차이와 학업성취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6(1), 57-110.
- 강신포, 김판수, 유화전 (2003).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학교수학, 5(4), 441-457.
- 계영희, 김종명 (1997). 수학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의 성별차이에 관한 정의적 태도. 수학교육, 36(2), 95-106.
- 권나영, 전미현, 황규찬 (2014).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8(4), 475-492.
- 교육과학기술부 (2012).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쉽게 이해하고 재미있게 배우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의 구현을 위한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발표.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2. 1. 11.
-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을 위한 방향 제시. 교육부 보도자료, 2015. 9. 24.
-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 추진. 교육부 보도자료, 2015. 3. 16.
- 김경희, 임은영, 신진아 (2013).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초.중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종단분석과 예측. 교육평가연구, 26(5), 981-1014.
- 김부미, 김수진 (2012).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및 특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4), 1229-1252.
-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 김선희, 김기연 (2011).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수학교육, 44(1), 113-124.
- 김수진, 김경희, 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 김수진, 동효관, 박지현, 김지영, 진의남, 서지희, 김민정 (2013).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7-2.
- 김은형, 백석윤 (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25-148.
- 김혜숙, 함은혜 (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 남미선, 박만구 (2008). 서술 및 면담 평가를 통한 수학학습 부진아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2(2), 229-252.
- 박경미, 나귀수, 박영은 (2014). 탈북학생의 수학적 태도 및 수학 학습 인식에 대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4(4), 499-514.
- 박경미, 이환철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연구 현황.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자료집 (pp. 3-15.), 5월 1일. 서울: 건국대학교 법학관.
- 박선화 (2015). 수학 교과 핵심역량과 수학과의 성격 및 목표 시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 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자료집 (pp, 19-40). 5월 1일. 서울: 건국대학교 법학관.
-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10-9.
- 박수희, 노영순 (2011).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99-213.
-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 박지현, 김윤민, 최승현 (2014).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145-164.
- 변창진 (1993) 교과 교육에서의 정의적 특성의 사정. 교육이론과 실천, 3, 35-57.
- 설정현, 백석윤 (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 안귀덕 (1997).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의 회고와 전망. 교육심리연구, 11(1), 33-48.
- 양명희 (2003). 수학에 대한 태도의 발달경향성 및 학습자 유형 분석. 교육심리연구 17(3), 149-163.
- 이봉주, 송미영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65-84.
- 이종희, 김기연, 김수진 (2011).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학교수학, 13(2), 307-321.
- 이종희, 김선희 (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 이종희, 김선희, 김수진, 김기연, 김부미, 윤수철, 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수학교육, 50(2), 247-261.
-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 임성환, 황우형 (2010). 초등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귀인성향과 수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24(2), 415-444.
- 임해미 (2014). PISA 2012 수학 소양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성취 특성 분석. PISA 2012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pp.29-8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ORM 2014-13,
- 정혜영, 이경화 (2006). 초등학생용 수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아동학회지 27(5), 49-65.
-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3), 1019-1041.
- 주영주, 이종희, 유나연 (2012). 중학생의 수학 교과에 대한 자신감, 긍정적 태도, 교수활동,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규명과 남.녀 집단 간의 영향력 차이 검증. 중등교육연구, 60(4), 963-986.
- 최계현, 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2(3), 423-442.
- 최승현 (2014). 국외 우수 사례를 통한 수학과 정의적 특성 함양 고찰: 싱가포르와 캐나다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2014 춘계학술대회 프로시딩, 77-80.
- 최승현, 황혜정 (2014a).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8(1), 19-44.
- 최승현, 황혜정 (2014b).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 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8(2), 235-253.
- 최영기, 도종훈 (2004). 수학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6(4), 361-372.
- 한혜숙, 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 한혜숙, 최계현 (2012).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6(4), 363-381.
- 황우형, 이유나 (2009).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23(1), 1-38.
- 카타기리 시게오 (2004).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수학의 진정한 학력 향상을 지향하여. 이용률, 정동권(2013) 옮김. 서울: 경문사.
- Education Bureau, Hong Kong (2002). Mathematics education: key learning area curriculum guide (Primary 1 - Secondary 3). http://www.edb.gov.hk/ 에서 2015년 4월 인출
- Education Bureau, Hong Kong (2007). Mathematics curriculum and assessment guide (Secondary 4-6). http://www.edb.gov.hk/ 에서 2015년 4월 인출
-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3).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general upper secondary education. http://www.oph.fi/ 에서 2015년 4월 인출.
- Finnish National Board of Education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for basic education. http://www.oph.fi/ 에서 2015년 4월 인출.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a). Additional mathematics (O and N(A) level)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b). N(T)-level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c). O- & N(A) level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d). Primary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syllabu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
-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12e). Secondary mathematics syllabuses. http://www.moe.gov.sg/에서 2015년 4월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