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work-family role conflict and spousal support resources on parenting stress among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07.01
  • Accepted : 2015.08.22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spousal support resources on parenting stress among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involved a total of 232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enrolled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s conducting a survey. First, the higher the work-family conflict (inter-role conflict caused by the impact of work on family life), the higher the family-work conflict (inter-role conflict caused by the impact of family life on work). Moreover, the lower the level of spousal support resources (emotional spousal support resources, instrumental spousal resources), the higher the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was higher in working mothers experiencing greater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both and lower levels of spousal support resources for parenting. Second,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amount of work-family conflict and instrumental spousal support resourc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stress. Thus, the higher the number of children, the greater the work-family conflict, and the lower the level of instrumental spousal support resources,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relative effects of role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and of spousal support resources on parenting stress in working mothers. Husbands' being involved in parenting, in particular,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support function for healthy child-rearing by successfully combining career and family responsibil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1998).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직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 21-37.
  3. 고은숙.김명자(1993). 취업부인의 스트레스원, 내외통제성 및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1), 45-60.
  4. 기획재정부(2014). 2014년 경력단절여성 통계. 2014. 11. 26.보도자료.
  5. 김기현.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6. 김기현.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7. 김리진.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8. 김민정(2007). 취업모의 사회적지지,양육스트레스,결혼만족도,직업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리.이수림.유정이(2015). 직업 경력단절 기혼 여성에 대한 질적 연구: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9(2). 75-99.
  10. 김유리(2010). 기혼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직장-가정의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순(2013). 기혼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정(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정.이지현(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1.
  14. 김재현(2014). 취업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행정논총, 50(4), 251-280.
  16. 김지연(2003). 취업모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 교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지혜(2010). 기혼유아교사의 일-가정 역할 갈등, 남편의 양육참여, 근무환경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현희.박천만.이종렬.신효순(2009). 어머니가 지각하는 Parenting Daily Hassles가 양육 스트레스및 부적절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3(2), 207-219.
  19. 김희진(2008). 가족 및 직장지지가 일-가정 갈등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9(1),109-122.
  21. 민은홍(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성연.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23. 박성옥(1997).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6(2), 37-45.
  24. 박신아(2014).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여성 노동자의 직업 지위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영아(2005).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영유아교육연구, 8, 97-113.
  26. 박주희(2003a). 동아시아 기혼여자대학원생들과 미국 기혼여자 대학원생들의 가족 및 직업역할 만족도와 긴장도: 동아시아 기혼여자 대학원생들의 성역할 재사회화와 관련하여. 대한가정학회지, 41(6), 29-45.
  27. 박주희(2003b). 가족과 일. 도서출판, 하우.
  28. 박주희(2010).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 만족도, 양육 및 교육한경 만족도, 생활환경 정보 접근성을 중심으로. 가정관리학회지, 28(5), 53-66.
  29. 박주희(2011). 취업주부의 역할만족도와 역할 긴장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201-216. https://doi.org/10.7466/JKHMA.2011.29.6.201
  30. 박주희(2012).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갈등의 대처전략이 맞벌이 취업남녀의 역할만족도와 역할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2), 59-83.
  31. 박주희(2014a). 중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 및 어머니의 사교육 스트레스와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 41-56. https://doi.org/10.7466/JKHMA.2014.32.4.41
  32. 박주희(2014b). 미혼자의 가족가치관, 부모의 자원제공 요소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8(3). 177-193.
  33. 박주희.김양호(2012).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만족도 및 역할긴장도가 기혼 취업남녀의 결혼향상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7(3), 187-210.
  34. 박정윤.장영은(2013). 기혼취업여성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59-172. https://doi.org/10.7466/JKHMA.2013.31.5.159
  35. 박해미(1994). 자녀의 행동에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37. 신희숙(2014).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양육스트레스: 남편의 지원 및 사회적 지원과의 관련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유희정.홍승아.김지혜.이솔.동제연.이향란(2014). 취업여성의 직종 및 고용형태에 따른 자녀양육지원정책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 이선애(2012). 양육스트레스와 참여 동기가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 후 양육태도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성희.강성희(2002). 기혼직장 여성의 탁아 실태와 직무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101-111.
  41.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2. 이주희.이은희(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과의 관계에 대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5(2), 287-303.
  43. 이희정.이숙현(1995).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 대한가정학회지, 33(6), 25-41.
  44. 임희정(2000).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갈등과 경력몰입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여성가족부(2014). 2014 가족친화인증기업우수사례집. 가족이 행복한 즐거운 일터. 11-138000-00358-10.
  46. 여성가족부(2015). 여성가족부. 가족친화지원사업안내 http://ffm.mogef.go.kr/main/main.do
  47. 장영애(2003). 취학전 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 연구: 농촌주부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4(1), 1-12.
  48. 장희정(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50. 최정희(2012). 다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중재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통계청(2014).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52. 편은숙(2004).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역할 인식과 자녀양육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허순금(2006).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현온강.조복희(1994). 한국 부모의 부모역할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2(5), 97-108.
  55. 홍승아.이미화.김영란.유계숙.이영미.이연정.이채정(2009). 일가족 양립정책의 국제비교 연구: 정책이용실태 및 일가족양립현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과제, 147-379.
  56. 홍승아.이인선(2012). 남성의 육아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57. 황우상.이숙현.이나련(2012). 비표준근무를 하는 취업모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87-112.
  58.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59. Adams, G. A., King, L. A. & King, D. W. (1996). Relationship of job and family involvement, family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with job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4), 411-420. https://doi.org/10.1037/0021-9010.81.4.411
  60. Byron, K.(2005).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7(2), 169-198.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61. Chen, Z., Powell, G. N., Greenhaus, J. H. (2009). Work-to-family conflict, positive spillover, and boundary management: A person-environment fit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1). 82-93. https://doi.org/10.1016/j.jvb.2008.10.009
  62. Cr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https://doi.org/10.2307/1130770
  63. Crnic, K. A., Greenberg, M. T., Rogozin, A. S., Robinson, N. M. & Basham, R. B.(1983).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and premature and full-time infants. Child Development, 54(1), 209-217. https://doi.org/10.2307/1129878
  64. Deacon, R. E. & Firebaugh, F. M.(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oston: Allyn and Bacon, Inc.
  65. Dilworth, J. L.(2004). Predictors of negative spillover from family to work. Journal of Family Issues, 25(2). 241-261. https://doi.org/10.1177/0192513X03257406
  66.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1992).Antecedents and outcome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work-famil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1), 65-78. https://doi.org/10.1037/0021-9010.77.1.65
  67. Greenhaus, J. H. & Beutell, N. J.(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https://doi.org/10.5465/amr.1985.4277352
  68. Hewitt. P. L. & Flett. G. L.(1991).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1), 98-10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1.98
  69. Kelly, R. F. & Voydanff, P. (1985). Work/family role strain among employed parents. Family Relations, 34(3), 357-374.
  70. Luk. D. M. & Shaffer. M. A. (2005). Work and family domain stressors and support: Within-and cross-domain influences on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4), 489-508 https://doi.org/10.1348/096317905X26741
  71. Michel, J. S., Kotrba, L. M., Mitchelson, J. K., Clark, M. A. & Baltes, B. B.(2011).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2(5), 689-725. https://doi.org/10.1002/job.695
  72. Park. J. & Liao, F. T. (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s change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89. https://doi.org/10.1023/A:1007175601706
  73. Pichler, F.(2009). Determinants of work-life balance: Short comings in the contemporary measurement of WLB in large-scale surveys. Social Indicators Research, 92(3), 449-469. https://doi.org/10.1007/s11205-008-9297-5
  74. Stevens, D. P., Minotte, K.L., Mannon, S. E. & Kiger, G.(2007). Examining the "neglected side of the work-family interference": Antecedents of positive and negative family-to-work spillover. Journal of Family Issues, 28(2), 242-262. https://doi.org/10.1177/0192513X06294548
  75. Voydanoff, P.(2005).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work-family fit and balance: A demands and resources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4), 822-83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5.00178.x
  76. Wadsworth, L.L. & Owens, B.P.(2007).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7(1), 75-87. https://doi.org/10.1111/j.1540-6210.2006.0069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