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체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웨어러블 센싱 디바이스 디자인

Wearable Sensing Device Design for Biological Monitoring

  •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이은지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지은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김유리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 조신원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Lee, Jee Hy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Lee, Eun Ji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Ji Eu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Yoolee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Cho, Sinwo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4.09.23
  • 심사 : 2014.12.30
  • 발행 : 2015.01.31

초록

In recent years, smart clothing had been developed in order to better detect and monitor physical movement of the patient, so that such activities such as location identification and biometric recognition could be done. However, most of the sensing devices of smart clothing were limited to smart sensing sports clothing and the designs did not conside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behavior of the wear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reate an open protection system by developing a wearable sensing device for health monitoring and location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eleven types of wearable sensing design that could be commercially sold and worn by people who needed their biological information to be constantly monitored. The study conducted four tests in order to develop three types of sensing devices for various sensing w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user rang of smart sensing wear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stinctive wearable sensing devices reflecting the user. Furthermore, contribute to the design for the person subject to prote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철 (2013), 사회적 약자.사회적 일자리, 한국경제연구원 세미나집, 2013(9), p. 43.
  2. 조하경 (2007), 실버 세대를 위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박혜원 외 (2006), 국내 치매환자복의 디자인 현황 조사 분석, 복식, 56(6), p. 46.
  4. 박현문 외 (2013),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개인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의류 시스템, 멀티미디어학회, 16(8),pp. 963-965.
  5. 조하경 외 (2006), 센서 기반형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생체 신호 센서 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의류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9(2), pp.141-150.
  6. 조길수 외 (2008), 바이오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와 E-textile개발 현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10), p. 2.
  7. 채진미 외 (2009), 상용화된 스마트 의류제품에 대한소비자의 수용도, 감성과학, 12(2), p. 183.
  8. Davis, D. (2001), 빠르고 정확한 심전도 이해, 채장성외 역, 서울: 군자출판사, p. 55.
  9. "Electrocardiography (ECG)", 자료검색일 2014. 7. 29, http://www.osceskills.com/e-learning/subjects/electroc ardiography-ecg/
  10. "File:Precordial leads in ECG.png", 자료검색일 2014. 7. 29,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Precordial_leads_in_ECG.png
  11. 조하경 (2007), 실버 세대를 위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4.
  12. 구수민 (2008),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재모듈화형 디자인 연구 : 심전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장세은 (2006), 소재의 신축성과 인체동작이 심전도 모니터링 의복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Dunne, L. E. (2004), The design of wearable technology: addressing the human-device interface through functional apparel design, Doctoral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15. 장세은 (2006), 소재의 신축성과 인체동작이 심전도 모니터링 의복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5.
  16. 손용기 외 (2008),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및 개발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3(5), pp. 79-88. https://doi.org/10.22648/ETRI.2008.J.230510
  17. 이슬기 외 (2008),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웨어러블 컴퓨팅 네트워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3, pp. 13-21.
  18. 조광년, 정재석 (2013), IT융합 섬유제품을 위한 전도성 섬유의 개발동향, 정보과학회지, 31(1), pp. 88-96.
  19. 조하경 외 (2010),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의 디자인 연구, 감성과학, 13(3), pp. 467-474.
  20. 남경숙, 송나윤 (2012), 치매노인을 위한 서울시 치매 노인센터의 스마트 치유 환경 제안, 브랜드디자인학연구, 23, pp. 304-313.
  21. 김정기, 정복희 (2007), 신체활동이 치매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1(2), pp. 70-79.
  22. Miller, P. A. & Butin, D. (2000),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dementia-C.O.P.E., International Journal Geriatr Psychiatry, 15(1), pp. 86-89.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200001)15:1<86::AID-GPS124>3.0.CO;2-8
  23. Goldman, W. P. et al. (1999), Motor dysfunction in mildly demented AD individuals without extra pyramidal signs, Neurology, 53(5), pp. 956-965. https://doi.org/10.1212/WNL.53.5.956
  24. 백수진 (2012),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노인용 보행보조차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은숙 외 (2012), 연구논문: 고령자의 신체 기능이 의복 착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1), pp. 136-143. https://doi.org/10.5805/KSCI.2012.14.1.136
  26. 송명견, 박순자 (1998), 기능복, 서울: 수학사.
  27. 임현정, 이경희 (2011), 국외 거동불편노인을 위한 기능성 의류에 나타난 의복의 특성 및 아이템 유형,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1), pp. 17-24. https://doi.org/10.5805/KSCI.2011.13.1.017
  28. 김혜경 (1993), 노년기 여성의 체형분석에 따른 의복 설계, 생활과학논집, 7(1), pp. 135-146.
  29. 이용재 (2003), 노년기 여성 체형 특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양경 (2008), 노년여성의 측면체형 분석 : 비만과 체형 변형을 중심으로, 배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김경화 (1995), 노년기 여성 체형의 특성 및 유형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김인순, 성화경 (2002), 노년기 여성의 체형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pp. 27-38.
  33. 김영숙, 손희순 (1996), 노년기 여성의 상반신 체형의 유형화, 대한가정학회지, 34(3), pp. 219-232.
  34. 남윤자, 최인순 (1997), op. cit, pp.19-36.
  35. 여혜린 (2008), 노년기 여성의 상의 패턴 설계를 위한 몸통 체형 분류, 한국자료분석학회, 10(5), pp. 2937-2951.
  36. 류은정 외 (2006), 치매 환자복의 착의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pp. 123-131.
  37. 최용순 (2007), 의복 패스닝시스템을 이용한 웨어러블컴퓨터 인터페이스 디자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피인용 문헌

  1. Research on Heart Rate Sensing Clothing Design for Seniors Based on Universal Fashion vol.19, pp.6,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6.692
  2.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Wireless Wearable Sensing Devices in Interactive Music vol.2021, pp.None, 2015, https://doi.org/10.1155/2021/7608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