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reation of Scientific and Cultural Content

과학문화콘텐츠 구성을 기반으로 한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

  • 조남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
  • 김소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양학부) ;
  • 손달임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4.09.16
  • Accepted : 2014.12.29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Recently there are growing needs and demand to enhance 'Unity of knowledge' as the concept of "Creating new value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is developing rapidly in many different areas in the society. This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 to education. Especially, it requires paradigm shift in terms of required capabilities and qualifications for the students with science major. To accommodate this trend,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s College has been increasing convergence education which focus on cultivating crea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capabilities as well as acquiring fundamental knowledge of individual majors. However, convergence education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Sciences college or liberal education so far has been mechanical combination of knowledge from different academic fields - not effectively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Given this situation,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propose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cultural contents" as an education tool to enhance capabilities to apply and re-create integrated knowledge as well as acquire and learn existing knowledg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aims to achieve two different and sequential capabilities. First is to underst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ural Archetype' which would be essential and useful to create cultural contents. Second is to develop capabilities to convert this understanding into cultural contents - a storytelling capability. This education program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defines cultural contents as a medium to converge and integrate science and technology and humanities. By leveraging the concept of cultural content and storytelling, this education program would be able to overcome restrictions of exist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 Also, this program would encourage students to try in-depth research and new applications, and develop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최근 우리 사회 전반에서 융복합의 개념이 새로운 가치 창출의 가능성으로 주목받게 되면서, 지식 통합에 대한 요구도 점차 확장되고 있다. 지식과 학문 분야에서 시대적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은 물론,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공계 대학에서는 전공 지식의 습득을 넘어, 종합적 사고력과 협동 학습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학제 간 융복합 교육'이 확대 실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공 지식과 현장 실무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취업률을 높이는 것만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발견적 창의적 융합적 사고의 바탕이 되는 인문학적 교양과 세계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재 전공 및 교양 교육 차원에서 개설된 융합 교과목의 대부분은 타 학문 분야의 지식이나 이론을 소재나 화제로 활용함으로써, 단편적인 지식 습득 차원에 머무르는 경향이 강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과학기술 분야와 인문학 분야의 지식을 균형적으로 통합하여 종합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지식 습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지식을 응용 재창조 할 수 있는 '융합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具案)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문화콘텐츠의 창조를 전제했을 때 유용한 '과학기술'과 '문화 원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습득된 지식을 가치 있는 결과물로 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토리텔링' 학습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과학 기술과 인문 분야를 융합할 수 있는 매개인 '과학문화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교육을 제공받게 된다. 이로써 전공 지식에 대한 탐구와 응용을 시도하는 가운데, 논리적 창의적 사고를 진작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그간 과학과 인문학이라는 두 영역을 대상으로 한 '다학제적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Heidi Hayes Jacob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Charles Dumont & Son Inc, 2007.
  2. 이용화, 2005년의 기술과 유망산업 예측, 삼성경제연구소, 1996.
  3. 홍성민, 김형주, 조가원, 박기범, 김선우, 정재호, 미래 과학기술 인재상과 이공계대학 지원정책의 전환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4. 허영주,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제11권, 제1호, pp.45-79, 2013.
  5. 이희용,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제5권, 제2호, pp.11-37, 2011.
  6. 윤미희, "국내 예술.디자인 대학의 융합 교육 현황 및 제안", 한국디자인문학 제20권, 제1호, pp.431-444, 2014.
  7. 권성호, 강경희,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 정으로의 접근 - 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2권, 제2호, pp.7-24, 2008.
  8.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2005.
  9.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2권, 제2호, pp.388-403,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388
  10. 송원찬, 신병철, 안창현, 이건웅, 문화콘텐츠 그경쾌한 상상력, 북코리아, 2010.
  11. 한혜원, "창의형 미디어 스토리텔링 교육 방안", 인문콘텐츠, 제32호, pp.59-75, 2014.
  12. 박기수, 안숭범, 이동은, 한혜원,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현황과 전망", 인문콘텐츠, 제27권, pp.9-25, 2012.
  13. http://word.tta.or.kr/terms/terms.jsp
  14. 박희주, 이영아, 이현주, 조성경, 박정오, "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한국교양 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3권, 제11호, pp.407-444, 2013.
  15.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엮음, 문화콘텐츠와 퍼블릭 도메인 스토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6. 이병민, "대학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문화콘텐츠 교육 개선방안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81-49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481
  17. 신동희, 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180-189,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18. 이진경, 노마디즘 2, humanist,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