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뮬레이션 학습단계에 따른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교연구 -응급실 내원 호흡곤란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as Simulation Learning Stage -Focused on Care for Patients with Asthma in Emergency Units

  • 투고 : 2014.10.08
  • 심사 : 2014.11.25
  • 발행 : 2015.01.28

초록

본 연구는 응급실 내원 호흡곤란 환자사례에 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시뮬레이션 학습단계에 따라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대상자는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2013년 4월 22일부터 5월 31일까지 성인 시뮬레이션 실습에 참여하는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117명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가 학습교육 실시 후 문제해결능력보다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후 문제해결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t=2.59, p=.010). 문제해결능력 하위 영역별로 분석하면 문제정의(t=2.95, p=.004), 문제해결책 고안(t=2.10, p=.0.37) 및 문제해결책 검토(t=3.06,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시뮬레이션 실습은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in case of simulation-based emergency care for respiratory distress patients. For this study, 117 third yea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dult simulation practice from April 22 to May 31, 2013.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problem solving abilities after simulation practic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fter self-directed learning(t=2.59, p=.010). In the analysis of subcategories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 of problem solving (t=2.95, p=.004), the device of problem solutions(t=2.10, p=.0.37), and the review of problem resolutions(t=3.06, p=.002).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imulation practice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problem solving skill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윤희, 장금성,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2호, pp.245-255,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2.245
  2. C. F. Durham and K. R. Alden,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AHRQ, 2008.
  3.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 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4-72, 2009.
  4.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90-94, 2007.
  5. 고일선, 김희순, 김인순,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이주희, 강세원,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수행 평가",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71-381, 2010.
  6. 허혜경, 박소미,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1-119,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111
  7. K. T. Waxman,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Clinical Simulation Scenarios: Guidelines for Nurse Educa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9, No.1, pp.29-35, 2010. https://doi.org/10.3928/01484834-20090916-07
  8. 강혜원, 허헤경, "간호사를 위한 호흡관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중환자간호학회지, 제3권, 제2호, pp.61-76, 2010.
  9.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 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1-60,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51
  10. 허혜경, 박소미, 신윤희, 임영미, 김기연, 김기경, 최향옥, 최지혜, "간호학생을 위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 개발 및 적합성 평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28-240,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28
  11. 박소미,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10-118, 2012.
  12. 박정환, 우옥희,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제15권, 제3호, pp.55-81, 1999.
  13. D. Ost, A. DeRosiers, E. J. Britt, A. M. Fein, M. L. Lesser, and A. C. Mehta, "Assessment of a Bronchoscopy Simulator,"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Vol.164, No.12, pp.2248-2255, 2001. https://doi.org/10.1164/ajrccm.164.12.2102087
  14. 양진수,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 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15. 엄미란, 김현숙, 김은경, 성가연,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피하주사 간호수행능력,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2호, pp.151-160,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2.151
  16. R. H. Steadman, W. C. Coates, Y. M. Huang, R. Matevosian, B. R. Larmon, L. McCullough, and D. L. Ariel, "Simulation-based Training is superior to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Acquisition of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Skill," Critical Care Medicine, Vol.34, No.1, pp.151-157, 2006. https://doi.org/10.1097/01.CCM.0000190619.42013.94
  17. W. F. Bond, L. M. Deitrick, D. C. Amold, M. Kostenbader, G. C. Barr, S. R. Kimmel, and C. C Worrilow, "Using Simulation to Instruct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in Cognition forcing Strategies," Academic Medicine, Vol.79, No.5, pp.438-446, 2004. https://doi.org/10.1097/00001888-200405000-00014
  18. 이숙희, 김미희, 선광순,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관련요인: 문제중심학습을 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제19권, 제5호, pp.753-762, 2007.
  19. 양진수, "웹기반 인공호흡기 실무 멀티미디어 컨텐츠 학습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31-239, 2006.
  20. M. L. Rhodes and C. Curran, "Use of the Human Patient Simulator to Teach Clinical Judgement Skill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23, No.5, pp.256-262, 2005. https://doi.org/10.1097/00024665-200509000-00009
  21. C. K. Shepherd, M. McCunnis, L. Brown, and M. Hair, "Investigating the use of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Nursing Standard, Vol.24, No.35, pp.42-48, 2010. https://doi.org/10.7748/ns2010.05.24.35.42.c7751
  22. 백지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3. 고종현, "시뮬레이션교육이 응급구조와 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 제11권, 제3호, pp.31-46, 2007.
  24. D. B. Wayne, J. Butter, V. J. Siddall, M. J. Fudala, L. A. Lindquist, J. Feinglass, L. D. Wade, and W. C. Mcgaghie, "Simulation-Based Training of Internal Medicine Residents i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Protocols: A Randomized Tria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Vol.17, No.3, pp.210-216, 2005.
  25. 김남영, "웹기반 근거-중심 간호 직무교육이 직무지식, 수행 및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6. C. A. Rauen,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ical Care Nurse, Vol.24, No.3, pp.46-51, 2004.
  27. C. S. McCaughey and M. K. Traynor, "The rol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30, No.8, pp.827-832, 2010. https://doi.org/10.1016/j.nedt.2010.03.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