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지리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제50권6호
- /
- Pages.641-657
- /
- 2015
- /
- 1225-6633(pISSN)
공동저술 논문을 이용한 연구협력에 대한 공간적 분석
A Spatial Analysis of Research Collaboration by Using Co-authorship Publications
- 백영기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Beck, Yeong K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5.12.26
- 발행 : 2015.12.31
초록
오늘날 대학, 기업, 공공연구기관 사이의 연구협력은 과학 기반 기술 혁신과 연관되어 주요 정책 현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2002~2012) 동안 7개의 과학 기반 기술에서의 한국인 과학자와 연구자들이 참여하여 세계의 주요 과학 저널에 발행된 공동저술 논문을 조사하여 연구협력의 공간적 패턴을 탐구한다. 공동 저자의 소속 기관과 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공동저술 논문을 연구협력의 지표로 이용하여 국내와 국제적 스케일에서 여러 형태의 협력 패턴과 추세를 기술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공저 논문의 수와 참여 공저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과학적 연구협력이 공간적으로 분산하는 증거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협력의 분산 추세에도 불구하고 지식 흐름이 혁신 중심 지역에 편향되며, 지역 내에서 과학적 지식 생산이 국지화하는 증거도 발견되었다.
Nowadays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the business, academic and governmental community is high on the policy agenda in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with regard to science-base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of th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research collaboration by carrying out bibliometric analysis of co-authorship publications in major international and scientific journals that are jointly realized by Korean scientists and researchers in the seven science-based technologies for the period 2002~2012. Using the co-authored papers as an indicator of research collaboration with the institutional address of each co-authoring researcher and the geographic location of their affiliation, this paper describes some trends and patter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s. Identifying a rapid increase in the volume of co-authored papers and the trend towards multiple authorships over the last decade, the paper finds collaborative scientific research to be geographically dispersed at the different spatial scales. Despite the rising geographic dispersion of research collaboration within the nation, this paper finds that there were empirical evidences for the presence of localized knowledge production processes at regional level, and biased knowledge flows towards core areas with advanced research resour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