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하복가옥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Site and Space of Lee Ha-Bock's Traditional House

  • 한종구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건축공학과)
  • Han, Jong-Ko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투고 : 2015.08.24
  • 심사 : 2015.12.04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논문은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 120번지에 위치한 중요민속자료 제197호로 지정된 이하복 가옥을 대상으로 입지분석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하복가옥의 입지는 풍수적으로 잘 갖추어진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면견형(眠犬形)의 터를 입지로 선정하였다. 가옥의 공간구성은 ㄱ자형 안채, ㅡ자형 사랑채와 광채 등을 대지에 순응해서 ㅁ자 배치로 조성한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농가의 모습을 하고 있는 초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늘날 화려하고 규모가 큰 반가들이 많이 남은 현실에서 조선시대 민가의 모습을 보여주는 몇 채 안 되는 초가로서 건축학적인 가치가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The paper studies on the site and space composition of Lee Ha-Bock's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The house is located at a site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nd the rear and front mountains formulate a shape of Myungeonhyung(a sleeping dog figure) with HyungGug theory of Pungsu. The house has ㄱ shaped Anchae, ㅡ shaped Sarangchae and Gwangchae. Those are formulate ㅁ lay out followed the land form.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the house shows a typical traditional farmhouse in the middle of Korea of Josen period. Nowadays there are many large Giwajip(tile roofed house) of Josen period is remained but only a few thatched-roof house is lived. In this situation, the house has considerable architectural values as a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키워드

참고문헌

  1. Cheongam Cultural Foundation, Watda, Saranghaetda grigo Gatda, Hagerim Medea, 2011, p.94
  2. Wang-gi Lee, Architectural Heritage 5 (Chungnam), Gimundang, 1999
  3. Jong-koo Han, Seocheon Lee Ha-Bok's House, Hanokmunhwa V.33, Hanok Munhwawon, 2013
  4. Du-gyu Kim, Pungsu Dictionary Bibongchulpansa,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