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ve Film Space and Modern Space - With Focus on Museum Space -

표현주의 영화적 공간과 현대공간의 상관성연구 - 뮤지엄 공간 중심으로 -

  • 이한나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전시디자인과) ;
  • 이찬 (국민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전시디자인과)
  • Received : 2015.11.24
  • Accepted : 2015.12.1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Expressionism is an art trend that prospe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was represented in art activities in the diverse fields. As capitalism spread and people underwent wars, people's consciousness became impoverished, and it was created by the artists as a reaction against this, and notable achievements were made in film art and this is called expressive film which still inspires many artists. The modern age is a multicultural age and art is not limited to one area but influences many fields and interchanges and communicates with one another.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how an art trend has been passed down and developed and has influenced moder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keywords of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expressive films and to study how expressionism has been transformed and represented by putting them into modern space and to explore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xpressionism and expressive film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researches, and the typ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represented in the films were classified. Based on this, the representative expressive films were selected and the keyword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ve films were derived. A museum among modern spaces is a space that reflects the art trends and culture of the times and modern spaces are represented best in it. Also,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museums has been vitalized and has explosively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shows diverse designs to the point that they are called the laboratory of modern architecture, so by analyzing the cases focusing on museums among modern spaces, the conclusion was derived.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expressive film space is represented diversely in the museums by the architects' inner desire of expression, centering on nonlinear expression, nonobjective form, and representational perception.

Keywords

References

  1. 진중권, 진중권의 서양 미술사 모더니즘편, 휴머니스트, 2011
  2. 하요 뒤히팅, 어떻게 이해할까? 표현주의, 미술문화, 2007
  3. 홍진경, 칸딘스키와 청기사파, 예경, 2007
  4. 구본수, 현대영화매체의 이미지 특성적용을 위한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현대상업공간을 중심으로, 한서대 석사논문, 2002
  5. 권순영. 한국영화미술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 석사논문, 2007
  6. 김미경. 독일 표현주의 영화미술 연구. 상명대 석사논문, 2007
  7. 김미정.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특성 연구. 국민대 석사논문, 2007
  8. 김수진, 표현주의 조형특성을 적용한 도시 근린공원 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8
  9. 서영주, 독일 표현주의 회화와 영와 연구 :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2004
  10. 연혜경, 니체의 예술철학과 표현주의, 카톨릭대 석사논문, 2002
  11. 유한아, 공포스러운 이중자아 모티프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 20세기 초 독일 표현주의 영화를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11
  12. 최정인, 표현주의 영화의 이원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14
  13. 한연숙, 영화 속의 공간에서 빛과 색채의 인식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 피터 그리너웨이의 구조주의 영화를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2001
  14. 황은희, 공간디자인에 나타나는 영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영화의 환영주의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특성을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2003
  15. 박은초, 공간디자인에 적용 가능한 영화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8권 3호, 통권 25호, 2013
  16. 이관석, 현대 뮤지엄 건축의 흐름과 건축가,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2010
  17. 이철재, 한국 고전영화를 통해 본 실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표현주의 영화 하녀에 나타난 1960년대 주택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21권 2호, 통권91호, 2012
  18. 최근식, 영화 속에 표현된 실내공간 구성요소를 통한 의미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3호, 2002
  19. 황보봉, 독일 표현주의 건축의 재인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제 15권 5호, 통권58호, 2006
  2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78955&cid=40942&categoryId=33091
  21.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2.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3085&cid=42621&categoryId=44431
  2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3098&cid=42621&categoryId=44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