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perception jochu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45 living resident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When purchasing jochung,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sidered both health and taste. Recognition rate scores for jochung were in the order of 'brown rice', 'balloon flower', 'plum', and 'corn'.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rate scores for 'purple radish', 'sword bean', and 'sasa quelpaertensis' were very low. Preference and intake levels of jochung were in the order of 'plum', 'corn', 'sorghum', 'strawberry' and 'balloon flower'. On the other hand, preferences for 'purple radish', 'sword bean', and 'Hovenia dulcis' were very low. Reasons for eating jochung as a sweetener were identified as due to 'family, friend, or neighbor' (40.1%) and 'for health' (39.2%), and 54.6% ate it once or twice per week. Consumers showed low preference for different jochung used as sweeteners, and did not exact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jochung. Furthermore, 70.8% replied "increasing" prospects for jochung consumption. To increase consumption of jochung, there is a need for greater hygiene and safety with regards to jochung products as well as variations and improvements in quality.
본 연구는 조청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와 대중화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주부 4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다음과 같다. 평소 가정에서 먹는 단맛의 정도는 적당하다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당류로는 올리고당 34.8%, 설탕 27.0%로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 유무로 72.8%가 구입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유로는 '가족, 친구, 이웃권유'와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빈도로 일주일에 1~2회 정도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건강'이 49.7%, '맛'이 3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만들기 힘들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 방안으로 '다양한 구매처'와 '조청의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 종류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화학감미료 1.56으로 가장 낮았으며, 꿀이 3.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청이 3.65로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에서는 꿀과 조청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판 조청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에서 대부분 인식도는 낮았으나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청을 음식에 활용하여 접목하였을 때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한과류, 특히 다식에서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시판 조청에 대한 인지도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조청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으며, 조청에 대한 인식 및 소비 증대를 위하여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조청 개발과 품질 향상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