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Research on the Field Placement Activation Plan on Demand of Gwangyang Bay Area Industry

광양만권 산업체 맞춤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인식 연구

  • 이재환 (순천제일대학교 산학협력처)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9.02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ubjective perception types and needs of interested group on the Field Placement on Demand of Gwangyang Bay Area Industry by Q methodology, then to search for political measures to improve Field Placement in the implication of the sorted subjective perception typ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three major sorts of subjectivities on the Field Placement Activation Plan on Demand of Gwangyang Bay Area Industry: emphasizes indusrty-college cooperation(Type1), emphasizes industry demand analysis(Type2), emphasizes field-centered education(Type3). And a new study showed that results can improve Field Placement on Demand of Gwangyang Bay Area Industry: positive industry-college partnership building, manpower training total support system building by manpower demand analysis and the situation of local industry,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the training on demand of local industry on-the-job, trasition into field-centered education system b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본 연구는 광양만권 산업체 맞춤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Q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집단의 구성원-산업체 종사자, 산업체 연수생, 현장실습 담당 지도교수, 현장실습 담당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이들이 현장실습에 대해 갖는 주관적인 인식과 태도를 유형화하고, 선행연구 검토 결과와 도출된 유형별 특성을 바탕으로 현장실습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산학협력형(제1유형), 수요분석형(제2유형), 현장중심교육형(제3유형) 등 3가지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과 산업체 상호간 긍정적인 산학협력관계 구축과 함께 지역 산업동향 및 인력수요 분석을 통한 인력 양성 종합지원 시스템 구축, 지역 산업체 현장직무 맞춤형 교육훈련을 위한 기반 인프라 구축,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현장중심 교육 체계로의 전환 등을 통해 광양만권 산업체 맞춤 현장실습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연구재단, 장기현장실습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 2015.
  2. 고용노동부, 2015년 정부의 고용노동정책 방향, 2014.
  3.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 2014 지역 대학생 입주기업 체험학습 지원사업 운영 결과보고서, 2015.
  4. 양정승, 황승수, 류지영, 지역 대학생들의 지역 내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5.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8.
  6. 이재환, 성혁제, "대학의 장애학생 취업지원에 관한 주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197-210,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197
  7. 이재환, "노인 장기요양인력 양성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172-18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8.172
  8. 박철우, 이치욱, 박상철, 최영섭, 이종향, 벌거벗은 공학교육과 산학협력, 푸른사상, 2008.
  9. 오창헌,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IPP 전담교수의 역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실천공학교육논문지, 제5권, 제2호, pp.129-137, 2013. https://doi.org/10.14702/JPEE.2013.129
  10. 김향아, 국내기업의 채용관행 변화실태와 개선과제: 대졸 인턴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3.
  11. R. Z. Waryszak, "Students' expectation from their cooperative education placement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Vol.41, No.1, pp.33-40, 1999. https://doi.org/10.1108/00400919910255924
  12. R. Mason, L. Furtado, and S. Husted, Cooperative occupational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the curriculum, The Interstate Printers & Publishers Inc, 1986.
  13. J. L. Hoerner and J. B. Wehrley, "Work-based learning; the key to school-to-worktransition," Glencoe, NY: McGraw-hill, pp.10-14, 1995.
  14. 강종훈, 김영상, 정향진,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5. 이우영, 조세형, 설진수, 손덕수, "대학 교육에서 강화된 장기현장실습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pp.99-107, 2012.
  16. 안재영, 이병욱, "특성화 고교 출신 취업자의 인식에 기초한 현장실습 효과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제38권, 제1호, pp.145-161, 2013.
  17. 정주연, 장수명, 최영섭, 대학생 기업 현장실습의 구조와 성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06-17-0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18. 최귀덕, 전문대학 관광현장 실습 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9. 강다원, "관광관련 부문의 산학협동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 제주관광대학논문집, 제6권, pp.437-455, 2000.
  20. 김근종, "산업체 현장실습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현장실습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12권, 제3호, pp.75-90, 2006.
  21. 성환경, 김원태, "치기공과의 현장실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제19권, 제1호, pp.21-34, 2001.
  22. 한화정, 호텔관광경영 산학협동에 대한 만족도 및 실험실습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3. 윤주리, 컨벤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산학협동 방안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4. 김덕환, 호텔 양식단의 조리관련 학과 학생대상 산학 실습 중요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5. 서강태, 대학생들의 산학실습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6. R. K. Wagner and R. J. Sternberg, "Practical intelligence in real-world pursuits: The role of tacit knowledge,"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79, 1985.
  27. J. F. Downey and Deveau, "Coordinating the hospitality internship," Cornell H. R. A. Quarterly, Vol.26, 1987.
  28. M. B. Loftus, "Internship in Embassy Suites Hotels," Toronto Semina Canada, pp.48-51, 1988.
  29. M. S. Taylor, "Effects of college internship on individual participa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234, 1988.
  30. T. C. Barrett and H. E. Tinsely, "Vocational self-concept crytallization &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124, 1990.
  31. Department of Labor, Traing America, pp.29-32, 1998.
  32. 최원균, 대학 관광교육이 산학협동실습 활성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3. 이종순, 관광인력양성을 위한 산학협동교육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34. 전용진, "현장실습이 취업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춘계 학술발표 논문집, pp.334-337, 2005.
  35. 김문락, 산학협동현장 실습생들의 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6. 박정민, 이규식, "현장실습교육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경북전문대학논문집, 제25권, pp.73-94, 2007.
  37. 이문구, "효율적인 산업체 현장실습 운영에 대한 연구," 전자공학회논문지, 제48권, 제3호, pp.167-173, 2011.
  38. 나정기, "산학 실습 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소고," 경기관광연구, 제3권, pp.31-49, 1999.
  39. 석윤희, 호텔산학협동 현장실습생의 기대와 성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40. 조영림, 산학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41. G. C. Thompson, "The evaluation of public opinion. In B, berelson and M. Janowitz(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2nd ed, New York: Free Press,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