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the Multicultural Society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다문화사회가 지역공동체에 미친 영향분석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0.13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In this study, the fact that the influx of multi-cultural society impact on local communities are examined to analysis the negative impact and positive impact with four types of political (government),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aw classified. Although some have a negative evalu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e influx of multi-cultural society had a positive impact on South Korea's development and believes a positive impact in the future.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as where multicultural society gives the most positive impact of local communities in political (administrative), economic, social, of the four segments of culture has been rated as the field of culture, on the other hand, areas that have the most negative impact has been evaluated as social sector. Though we live in nationalism culture for a long time and heterogeneous foreign residents has so rapidly increased that conflicts due to collision of values of differences and culture of each other have occurred, foreign residents are generally, have a positive impact on our society. Substantially marriage immigrants who successfully solve the rural bachelor of marriage problem are willing to prevent population decline phenomenon and reduce the crime rate in the society, of course. In addition, foreign workers who employed at low wages in the 3D industry which is avoided by the South Korean people have contributed to our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유입이 지역공동체에 미친 영향을 정치(행정) 경제 사회 문화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여 유형별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으로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일부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응답자는 다문화사회의 유입이 우리나라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향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분석결과 다문화사회가 지역공동체에 미친 가장 긍정적인 영향 분야는 정치(행정), 경제, 사회, 문화의 네 분야 중 문화분야 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반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분야는 사회분야라고 평가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는 획일화된 민족주의 문화속에서 살다가 이질적인 외국인주민들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서로 간의 가치관 차이와 문화충돌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고 있지만 외국인주민들은 대체적으로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질적으로 결혼이민자는 농촌총각의 결혼문제를 해결하여 사회범죄 발생률을 낮추는 효과는 물론 인구감소 현상을 막아주고 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회피하는 3D업종에 낮은 임금으로 취업하여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한국사회학, 제42집, 제2호, 2008.
  2. Joppke, Christian, "The reteatof multiculturalism in the liberal state: theory and policy,"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55, No.2, 2004.
  3. 류정아, "다문화지표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9.
  4. 최홍, "다문화사회 정착과 이민정책," 삼성경제연구원, 2010.
  5. Castles, Stephen and Mark J. Miller,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3rd Edit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3.
  6. 김미나, "다문화사회의 진행단계와 정책의 관점: 주요국과 한국의 다문화정책 비교연구," 행정논총, 제47권, 제4호, pp.193-223, 2009.
  7. 박진경, 원숙연, "중앙정부 공무원의 다문화정책정향성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한국행정학보, 제44권, 제3호, pp.191-217, 2010.
  8. 홍기원, "다문화사회의 정책과제와 방향: 문화정책의 역할과 과제," 2007년도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7.
  9. 강휘원, "한국의 다문화사회 형성과 지방정부," 한국행정학 회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10. 한승준, "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2008.
  11. 최무현, "다문화시대의 소수자정책 수단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3호, 2008.
  12. 정광호 외, "다문화가정을 위한 사회서비스 전달 과정 분석: 위탁과 바우처 방식의 비교," 한국공공관리학회보, 제23권, 제4호, pp.231-255, 2009.
  13. Harold Troper and Morton Weinfeld, Ethnicity, Politics, and Public Policy: Case Studies in Canadian Diversity,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