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Motivations on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 in Mobile Messenger: Focusing on KakaoTalk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5.07.07
  • Accepted : 2015.08.03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mainly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in the environment of mobile messeng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dentified several determinant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s on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by an overview of prior research on Big 5 model and Uses and Gratification (U & G). An online survey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s and younger respondents have higher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than males and the older.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extraversion as personal traits has influences on the utilization. And they indicated that people increase their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s when they want to communicate with others efficiently and succinctly, and to follow the trend.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메신저 환경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포함한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성격 5 요인 모델 및 이용과 충족 관련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추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자료는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 성격 측면에서는 외향성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동기, 유행, 대화의 간결성 동기는 모두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실무적 이론적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황하성, 박성복, "문자메시지의 이모티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 동기와 사회적 현존감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9권, pp.133-162, 2008.
  2. 최준호, 이진성, 최성현, "모바일 메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품질 영향 요인: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디자인디지털연구, 제12권, 제3호, pp.211-220, 2012.
  3. 진보래, 이연경, 박남기, "모바일 메신저 이용의 스트레스 요인: 사회적 성향, 메신저의 관계적 유용성 및 중요성과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6호, pp.168-210, 2014.
  4. 장예빛,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행태 및 이용 강도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20-30대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1호, pp.541-548,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11.541
  5. 박현구, "온라인 환경의 이모티콘과 비언어 행위의 관계: 관계통제 기제로서의 이모티콘,"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273-302, 2005.
  6. 안원미, 김중완, 한광희,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HCI학회 논문지, pp.11-18, 2010.
  7. 양경모, 정문열, 홍성수, "방송 공동 시청을 위한 시청자 감성기반 이모티콘 메신저의 효과,"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1호, pp.303-312, 2007.
  8. 김승연, "이모티콘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 제38권, pp.1-25, 2012.
  9. A. Wolf, "Emotional Expression Online: Gender Differences in Emoticon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3, No.5, pp.827-833, 2000. https://doi.org/10.1089/10949310050191809
  10. R. McCae and P. Costa, "Validation of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cross Instruments and Observ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2, pp.81-90, 1987. https://doi.org/10.1037/0022-3514.52.1.81
  11. E. Katz, J. Blumler, and M. Guren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https://doi.org/10.1086/268109
  12. 김선진, "모바일 메신저의 이모티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국내, 해외 대표 앱(카카오톡, 라인, 페이스북, 왓츠앱)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87-96, 2014.
  13. J. B. Walther and K. P. D'Addario, "The Impact of Emoticons on Message Interpret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19, pp.324-347, 2001. https://doi.org/10.1177/089443930101900307
  14. 박현구, "CMC 유사언어와 대화간접성에 관한 연구: 대화간섭성척도(CIS), 냉소성자기보고척도(SSS)에 따른 반어적 모욕 메시지에서 유사언어 사용 분석," 언론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01-128, 2014.
  15. L. Rebazabek and J. Cochenour, "Visual Cue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upplementing Text with Emotions," Journal of Visual Literacy, Vol.18, pp.201-215, 1998. https://doi.org/10.1080/23796529.1998.11674539
  16. C. C. Tossell, P. Kortum, C. Shepard, L. H. Barg-Walkow, and A. Rahmati, "A Longitudinal Study of Emoticon Use in Text Messaging from Smartphon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659-663,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1.11.012
  17. 오미영, 정인숙,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2005.
  18. L. Xu, C. Yi, and Y. Xu, "Emotional Expression Online: the Impact of Task,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Perception on Emoticon Usage in Instant Messenger," PACIS Proceedings, 2007.
  19. D. Derks, A. Bos, and J. Grumkow, "Emotic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ocial Motives and Social Context',"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1, No.1, pp.99-101. https://doi.org/10.1089/cpb.2007.9926
  20. T. Correa, A. Hinsley, and H. Zuniga, "Who Intersect on the Web? The Intersection of Users' Personality and Social Media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pp.247-253, 2009.
  21. Y. Kim and J. Jeong, "Personality Predictors for the Use of Multiple Internet Functions," Internet Research, Vol.25, No.3, pp.399-415, 2015. https://doi.org/10.1108/IntR-11-2013-0250
  22. C. Ross, E. Orr, M. Sisic, J. Arseneault, M. Simmering, and R. Orr, "Personality and Motivations Associated with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pp.578-586, 2009. https://doi.org/10.1016/j.chb.2008.12.024
  23. R. Guadagno, B. Okdie, and C. Eno. "Who blogs? Personality Predictors of Blogg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4, No.5, pp.1993-2004, 2008. https://doi.org/10.1016/j.chb.2007.09.001
  24. 김석영, 전희원, "호텔종사원의 개인성격이 직무몰입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바탕으로," 관광연구, 제23권, 제2호, pp.239-257, 2008.
  25. L. R. Goldberg,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pp.1216-1229, 1981.
  26. R. Landers and J. Lounsbury, "An Investigation of Big Five and Narrow Personality Traits in Relation to Internet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2, No.2, pp.283-293, 2006. https://doi.org/10.1016/j.chb.2004.06.001
  27. 배진한, "이용자의 내향성-외향성에 따른 대인매체 이용의 차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인터넷, 이동전화 이용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5권, 제3호, pp.303-336, 2005.
  28. T. Ryan and S. Xenos,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Shyness, Narcissism, Loneliness,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No.5, pp.1658-1664, 2011. https://doi.org/10.1016/j.chb.2011.02.004
  29. D. Hughes, M. Rowe, M. Batey, and A. Lee, "A Tales of Two Sites: Twitter vs. Facebook and the Personality Predictors of Social Media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2, pp.561-569,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1.11.001
  30. 이성준, "개인 심리적 충족, 이용 충족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중독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 연구: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7-39, 2013.
  31. J. Walthe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3, pp.3-43, 1996.
  32.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호, pp.71-105, 2011.
  33. K. Kelin and S. Hodges, "Gender Difference, Motivation, and Empathic Accuracy: When It Pays to Understand,"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7, No.6, pp.720-730, 2001. https://doi.org/10.1177/0146167201276007
  34. 이상호, "스마트폰 메신저 앱의 지속사용 요인과 집단간 소통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6권, pp.7-43, 2011.
  35.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188-20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88
  36. 류철균, 김정연, "테크노-코드로서의 캐릭터 이모티콘 분류체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4호, pp.479-48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4.479
  37. 황유선, "유명인과의 트위터 매개 상호작용 특성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72-8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