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소
DOI QR Code
경복궁(景福宮)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전소(全燒)된 뒤 폐허로 남아 있다가 고종2년인 1865년 재건이 시작된다. 이때 경복궁 재건에 대한 의궤(儀軌)는 만들어지지 않고 기초 자료인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에 1865년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간의 기록이 남아 있다. 이 내용들을 정리하면 경복궁 재건에 사용된 석재들은 강화(江華), 동대문 밖의 영풍정(映楓亭), 삼청동(三淸洞) 등지에서 채취하기도 했으며, 경복궁 터에 남아 있던 간의대(簡儀臺) 등의 옛 석물을 재사용(再使用)하기도 했다. 또 경희궁(慶熙宮)에 있던 여러 건물 및 석조물을 이전(移轉)하기도 했다. 이러한 결과로 경복궁에는 재건기 19세기 뿐만 아니라 17~18세기의 석조물이 공존하고 있다. "경복궁영건일기"에는 경회루(慶會樓) 연못에서 출토된 청동용(靑銅龍)이 별간역(別看役) 김재수(金在洙)가 1865년 궁궐의 화재를 막아달라는 의미를 담아 제작했다는 내용이 있다. 김재수 등 별간역들은 석물의 설계 및 감동(監董)을 했던 인물들로 광화문 해치상을 조각했다고 전해지던 이세옥(李世玉) 역시 화원(畵員) 출신의 별간역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조각을 담당한 석장(石匠)들도 찾을 수 있었는데 근정전(勤政殿)은 장성복(張聖福), 광화문(光化門)은 김진명(金振明)이 참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경복궁의 서수상(瑞獸像) 중 비늘이 있는 인수형(鱗獸形) 서수상의 양식 특징을 찾은 결과 돌출된 입과 큰 코, 형식적인 귀, 등 갈기 등을 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양식 특징을 조선시대 능묘(陵墓) 석물들과 비교한 결과 이 작품들은 고종 재건시인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식 계승은 별간역, 석장들이 능묘의 석조물을 제작하면서 얻은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urnt down during the Imjin War(壬辰倭亂) of 1592,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remained in ruins until 1865, when in the second year of King Gojong's(高宗) reign, reconstruction work began. At the time, a royal protocol(uigwe, 儀軌) for the reconstruction was not produced. Instead, the Gyeongbokgung Palace Construction Diary(Gyeongbokgung yeonggeon ilgi, 景福宮營建日記) records the reconstruction process from June to September of 1865. The contents of this diary reveal that the stone used in the construction was obtained from Ganghwa(江華), the Yeongpung field(映楓亭) just beyond Dongdaemun, and Samcheongdong(三淸洞), among other sites. In addition, selected stone remaining from the original Gyeongbokgung Palace site - such as that from the palace astronomical observatory(ganuidae, 簡儀臺) - as reused, while a number of buildings and stonework from Gyeonghuigung Palace(慶熙宮) were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As a result, a number of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