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anding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and Classifying the Types

문화재 활용의 개념 확장과 활용 유형 분류체계 구축

  • Ryu, Ho-cheol (Anyang University Majoring in Cultural Heritage Policy)
  • 류호철 (안양대학교, 문화재 정책 전공)
  • Received : 2013.08.31
  • Accepted : 2014.02.05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more income and free time people have, the more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they ge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light of this, Local governments put more effort to create colorful events using their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also starts to implement policies to enhanc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To keep those efforts on utilizing cultural heritage, however, several issues seem to be addressed in advance. Firstly, it needs to define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at could cover its current policy trend. Secondly, the utilization methodology should be categorized and classified. Therefore, the study for those issues should be carried out to utilize the cultural heritage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This study contains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evant policies and projects; the trend and meaning of the utilization. And, in this study,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was defined as all activities producing positive effects or influences by cultural heritage such as enjoying cultural heritage values and creating additional profits. Furthermore,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the value, the objective, and the type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Finally, the final part of the study includes proposals on the future policy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보호해야 할 대상에서 활용 가치를 가진 자원으로 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문화재 활용 정책을 본격화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들도 문화재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민간의 관심과 참여도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문화재 활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최근의 활용 경향과 사례들을 포괄할 수 있는 문화재 활용의 개념이 아직 정립되지 못했고, 활용 유형 분류체계도 확립하지 못한 상태이다. 문화재 활용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활용의 개념 설정과 유형 분류 등 그 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활용 사례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문화재 활용의 범위와 경향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재 활용은 대상 문화재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활용 목적과 방법 등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을 포괄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정 등록 문화재를 중심으로 하던 것에서 미지정문화재와 전통문화 전반으로 문화재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재 활용은 '문화재로부터 효용을 얻는 일', 즉 '문화재로부터 긍정적 효과 또는 영향을 얻는 모든 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늘날의 사례와 정책들을 살펴보면 문화재 활용은 그 목적과 형태, 방식 등을 기준으로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우선 활용 목적을 기준으로 문화재 향유, 교육적 활용, 학술적 활용, 지역적 활용, 경제적 활용, 세계적 활용 등으로 나눌 수 있고, 활용 형태를 기준으로 해서는 단독 활용, 연계 활용, 융합 활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활용 방식에 따라 원형 활용(현재화)과 변형 활용(현대화)으로 분류할 수도 있고, 직접(1차적)활용과 간접(2차적) 활용 등으로도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문화재 활용의 개념을 확장하고, 실질적 기준에 따라 활용 유형을 분류하는 등 기본적인 틀이 구축될 때 문화재 활용은 더욱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간척의 역사적 의미와 간척문화유산의 보존·활용 방안 연구 - 새만금 지역 근·현대 간척 시설을 중심으로 - vol.53, pp.2, 2020, https://doi.org/10.22755/kjchs.2020.53.2.110
  2.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vol.38, pp.4, 2020, https://doi.org/10.14700/kitla.2020.38.4.086